-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6/12/12 21:33:32 |
Name | SCV |
Subject | 취준생 분들을 위한 깨알 면접 팁... |
예전에 학교 커뮤니티에 써뒀던 글인데... 여기에서도 필요하신 분이 있을까 싶어서 옮겨적어봅니다. 사실 여기에다 이거저거 더 살 붙이고 싶은 것도 많은데... 바쁘다는 핑계로 이정도만 옮기고 필요하신 내용은 댓글 주시면 좀 더 살을 붙여보겠습니다. 학교 후배들한테 쓰듯이 좀 편하게 써서 어찌 보면 무례할 수도 있는데 -_- 너그러이 봐주세요. 지금 전략자료 편집하느라 시간이 없슾셉슾.. ㅠㅠ --------- 1. 길게 말하려 하지 마시고 침착하고 정확하게 말하려 하세요. 업과 직무의 본질을 알아야 한다, 두괄식 말하기 해야 한다, '세 가지' 기법 써야 한다 이런게 다 이거와 일맥상통 합니다. 2. 컨텐츠보다는 태도 사실 현직자 입장에서 보면 여러분이 가지고 있는 컨텐츠는 별거 아닙니다. 그리고 면접관들도 면접자들이 어느정도 뻥치는거 다 알아요. 면접관 vs 면접자 마인드가 아니라 우리 팀장님 vs 신입사원 의 마인드로 들어가시는게 좋습니다. 제가 면접 컨설팅할때 괜히 인사만 두시간씩 시키면서 갈구는게 아닙니다. 물론 컨텐츠적인 측면에서도 자기 자소서 dig 정도는 해야 합니다. 자기가 털릴만한 부분을 미리 다른 사람에게 털어달라고 부탁해서 방어수단을 갖추고 나가야 합니다. 기본적인거에요. 3. 장점이 많은 것 보다는 단점이 적은 것이 좋다. 회사의 많은 직무들은 risk 하고 관련되어있는게 대부분입니다. 사실 어떤 직무든 빵꾸나면 다 risky 하죠. 그런 면에서 장점이 많~은 사람을 찾기 보다 단점이 적은 것이 좋습니다. 침착하고, 판단력이 좋고, 본질을 알고 있고, 성실하고, Integrity가 있고... 이런 면을 요구하는것이 바로 회사의 특징이라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단점이 적은 사람은 장점도 빨리 성장합니다. 하지만 장점이 많아도 단점이 많거나 크리티컬한 단점이 있으면 오히려 벽에 부딫히기 쉽습니다. 4. 확신을 가져라. 저는 최종 면접 앞두고 너무 떨리고 힘들었는데, "나는 이미 입사한 사원이고, 우리 팀장님한테 인사하러 가는거다" 라고 스스로에게 주문을 걸었습니다. 이것도 제 인생 멘토님께 배운거긴 합니다만 ㅎㅎ "20대는 열정으로 살고, 30대는 확신으로 산다" 라는 말씀을 해주셨는데, 나이를 떠나 구직자에게 필요한 것은 확신인 것 같습니다. 확신을 가지세요. 안되는 것은 되려고 하는거지 안되려고 하는게 아닙니다. 저는 학과공부에 실패해서 방황하고, 고시공부에 실패하고, 취업에 50번 가까이 실패했지만 그 실패들이 모여서 하나의 작은 성공을 만들어냈습니다. 5. Practice. 메이저리그 역사상 최고의 너클볼 투수인 필 니크로와, 전설의 저격수인 시모 하이하는 어떻게 해서 최고가 될 수 있었냐는 질문에 한 단어로 대답합니다. "Practice." 즉, 최고가 되는 방법의 본질은 Practice에 있다는 것이지요. 태도를 고치는건 어렵습니다. 연습하세요. PT면접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되냐고요? 연습하세요. 저는 5분 PT를 위해 100번 연습했습니다. 스크립트 다 짜고 카메라 켜놓고 녹화 100번 했습니다. 쪽팔리고 민망하지만 스스로를 까면서 연습했습니다. 면접장 들어갔더니 머리 위에 프롬프터가 떠다니네요? 토시 하나 안틀리고 스크립트대로 다 말하고 나왔습니다. 떨어져도 괜찮다고 생각할 만큼 잘 하고 나왔고, 다행이 그게 통했는지 지금 이러고 있네요. 신입사원 대상으로 교육하시는 부장님이 계신데, 그분의 PT를 보고 있으면 단절된 화면 화면의 PT가 아니라 하나의 모노드라마 처럼 느껴졌습니다. 같이 한라산을 오르면서 여쭤봤습니다. 부장님의 PT를 보고 있으면 엄청난 연습량이 느껴지는데 어느 정도 연습해야 그정도 될까요? 라는 질문에 웃으시며 "못해도 100번은 해야 강단에 설 수 있고, 200번은 해야 부끄럽지 않고, 300번을 해야 비로소 만족할 수 있더라" 라고 하셨습니다. 참고로 그분이 신입사원 교육 기간에 하시는 강의의 양은 못해도 4시간, 많으면 8~10시간입니다. 아무렇게나 강의해도 신입사원들이 군기가 바짝 들어 열심히 들을 만한 부장이라는 직급에 계신 분 조차도 그정도 연습을 하십니다. 그러면 신입사원이 될 구직자인 여러분은 얼만큼 해야 할까요? ----- 8
이 게시판에 등록된 SCV님의 최근 게시물
|
거야 몽골인 마냥 옛날 시골 사람이라 눈이 좋은거라...
물론 재능도 필요하지만 어쨌든 시모 하이하한테 비결을 물었을 때 저리 답한건 사실이니까요.
뭐.... 저정도 재능러니까 '걍 연습 했더니 되던데?' 라는 뜻으로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저런 양반의 '연습' 이라는건 상상을 초월하는 양이라.
제가 수능 공부 하던 시절 이야기 한 가지 하자면, '어떻게 하면 공부를 잘 하냐' 라는 질문에 제가 '일단 시중에 나온 문제집을 다 풀고 오답정리를 해서 더 이상 풀 문제집이 없을 정도로 풀고 나서 그 질문을 다시 해봐라' ... 더 보기
물론 재능도 필요하지만 어쨌든 시모 하이하한테 비결을 물었을 때 저리 답한건 사실이니까요.
뭐.... 저정도 재능러니까 '걍 연습 했더니 되던데?' 라는 뜻으로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저런 양반의 '연습' 이라는건 상상을 초월하는 양이라.
제가 수능 공부 하던 시절 이야기 한 가지 하자면, '어떻게 하면 공부를 잘 하냐' 라는 질문에 제가 '일단 시중에 나온 문제집을 다 풀고 오답정리를 해서 더 이상 풀 문제집이 없을 정도로 풀고 나서 그 질문을 다시 해봐라' ... 더 보기
거야 몽골인 마냥 옛날 시골 사람이라 눈이 좋은거라...
물론 재능도 필요하지만 어쨌든 시모 하이하한테 비결을 물었을 때 저리 답한건 사실이니까요.
뭐.... 저정도 재능러니까 '걍 연습 했더니 되던데?' 라는 뜻으로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저런 양반의 '연습' 이라는건 상상을 초월하는 양이라.
제가 수능 공부 하던 시절 이야기 한 가지 하자면, '어떻게 하면 공부를 잘 하냐' 라는 질문에 제가 '일단 시중에 나온 문제집을 다 풀고 오답정리를 해서 더 이상 풀 문제집이 없을 정도로 풀고 나서 그 질문을 다시 해봐라' 라고 조언해도 거의 대부분이 그걸 못하더라고요. 근데 사실 제가 수능 성적이 좋았던건 (물론 운빨도 있지만) 압도적인 절대 독서량과 푼 문제집 수 때문이었거든요. (수능 치기 몇 주 전쯤에 새 문제집을 사러 서점에 나갔는데 더 이상 살 문제집이 없더라고요. 다 풀어서.... 기출문제는 쳐다만 봐도 답이 보이는 정도였죠)
재능이 중요한건 맞지만, 난 재능이 없어서 안되나 봐 라고 말할 수 있으려면, 아 여기까지가 내 재능의 한계구나 라는걸 느낄 수 있을 정도까진 가봐야 하는건데 사람들은 노력없이 얻어지는걸 재능이라고 생각하는건지 아주 조금 노력해보고 나는 재능이 없다고 생각하는거 같아요.
제 친구 윕툰작가 한명이 지금은 동 세대 만화가중에서 그림 실력은 탑급으로 인정받는데 이 친구는 어릴때 만화 그리던 친구중에 그림 제일 못그렸던 친구거든요. 근데 얘보다 더 잘 그리던 친구들은 좀 하다가 아 나는 재능 없어 학 그만 둬버렸는데 이 친구는 내가 재능러인지 아닌지는 충분히 노력해서 갈 데 까지 가 봐야 아는거지 하는 심정으로 노력했다고 해요.
노오력 이라는 말로 희화되는게.... 요즘은 노력이 그만큼 대접받지 못하는 슬픈 세상이라 그렇긴 합니다. 그치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노력이 폄하될건 아닌거 같아요. 아마 시모 하이하도 자기가 그렇게 사격을 잘하는줄 몰랐을 수도 있어요. 아마도 생업(사냥) 을 위해 꾸준히 갈고 닦다 보니 재능과 합쳐져 무시무시해진 거겠죠.
물론 재능도 필요하지만 어쨌든 시모 하이하한테 비결을 물었을 때 저리 답한건 사실이니까요.
뭐.... 저정도 재능러니까 '걍 연습 했더니 되던데?' 라는 뜻으로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저런 양반의 '연습' 이라는건 상상을 초월하는 양이라.
제가 수능 공부 하던 시절 이야기 한 가지 하자면, '어떻게 하면 공부를 잘 하냐' 라는 질문에 제가 '일단 시중에 나온 문제집을 다 풀고 오답정리를 해서 더 이상 풀 문제집이 없을 정도로 풀고 나서 그 질문을 다시 해봐라' 라고 조언해도 거의 대부분이 그걸 못하더라고요. 근데 사실 제가 수능 성적이 좋았던건 (물론 운빨도 있지만) 압도적인 절대 독서량과 푼 문제집 수 때문이었거든요. (수능 치기 몇 주 전쯤에 새 문제집을 사러 서점에 나갔는데 더 이상 살 문제집이 없더라고요. 다 풀어서.... 기출문제는 쳐다만 봐도 답이 보이는 정도였죠)
재능이 중요한건 맞지만, 난 재능이 없어서 안되나 봐 라고 말할 수 있으려면, 아 여기까지가 내 재능의 한계구나 라는걸 느낄 수 있을 정도까진 가봐야 하는건데 사람들은 노력없이 얻어지는걸 재능이라고 생각하는건지 아주 조금 노력해보고 나는 재능이 없다고 생각하는거 같아요.
제 친구 윕툰작가 한명이 지금은 동 세대 만화가중에서 그림 실력은 탑급으로 인정받는데 이 친구는 어릴때 만화 그리던 친구중에 그림 제일 못그렸던 친구거든요. 근데 얘보다 더 잘 그리던 친구들은 좀 하다가 아 나는 재능 없어 학 그만 둬버렸는데 이 친구는 내가 재능러인지 아닌지는 충분히 노력해서 갈 데 까지 가 봐야 아는거지 하는 심정으로 노력했다고 해요.
노오력 이라는 말로 희화되는게.... 요즘은 노력이 그만큼 대접받지 못하는 슬픈 세상이라 그렇긴 합니다. 그치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노력이 폄하될건 아닌거 같아요. 아마 시모 하이하도 자기가 그렇게 사격을 잘하는줄 몰랐을 수도 있어요. 아마도 생업(사냥) 을 위해 꾸준히 갈고 닦다 보니 재능과 합쳐져 무시무시해진 거겠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