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6/12/05 08:50:25 |
Name | Credit |
Subject | 인생의 두가지 방향, 그리고 기본소득. |
1)정확하게 계산되고 재단된 미래는 안정적이면서도 정신적으로는 꽤나 고통스럽다. 변화가 없기에 그 지루함이 익숙해지지 않는다면 떠나는것이 좋다. 2)불확실한 미래는 두렵지만 지루하지 않고, 행동하는 만큼 바뀌기에 열정을 쏟아부을 수 있다. 그러나 그 변화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다면 도태될 수 있다. 활동량이 많아서 금방 지치기도 한다. 사람의 인생을 큰 범주로 나눌 때 이 두가지로 나눈다고 보면 어떤 인생이 삶에 더 '유리할까.' 물론, 미시적으로 본다면 사람이 존재하는 수 만큼의 경우의 수가 늘어나겠지만 말이다. 여태까지의 삶이 물리적으로 고통스러웠던 사람들은 1)번을 원할것이다. 여태까지의 삶이 정신적으로 고통스러웠던 사람들은 2)번을 원할것이다. 이때, [기본소득]이 정착한다면 위의 두가지 경우의 수에서 '해방'될 수 있다. 생계에 대한 걱정이 없다면 1)을 선택할 때 좀 더 많은 불확실성에 도전을 할 수 있게 된다. 가령 사업을 한다고 치면 현재는 불확실한 투자보다 안정적인 투자의 비율이 높을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는 한번 엎어지면 재기가 불가능한 구조이고-그렇기에 자영업자의 비율이 그렇게 높을수밖에 없었던 것이다(http://www.nocutnews.co.kr/news/4686878)-, 그렇게 시스템이 만들어져왔기에 수익률보다 안정성을 중시하게 되었다. 자영업을 하기 위해 계산하고 재단해서 '선택'한 사람보다 방법이 없어서 시작한 사람들의 비율이 높다. 그래서 가계부채가 현재 1257조가 된 원인일 지도 모른다. 사회안전망이 없거나 제대로 시행되지 못한다는 것. 참고:https://goo.gl/L6zyTD 생계에 대한 걱정이 없다면 2)를 선택할 때 두려움의 결정적인 요소가 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좀 더 하고싶은대로 살 수 있게 된다. '사람은 하고 싶은 것을 하며 살아야 뭐라도 성과가 나온다고 믿는다,억지로 하는 것은 안하느니만 못하다.'는 것은 필자의 인생철학이기도 하다.(..) 뭔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면서도 시스템에 도전을 하지 못하는 결정적인 이유는 생계에 대한 두려움 때문 아니던가. 브렉시트니 트럼프 당선이니 하는 세계적인 불확실성의 시대에 우리가 해야 하는 것은 어찌보면 단순할 수도 있다.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선에서 내가 하고싶은대로,내 의지대로 살다 보면 '우연에 의해 이루어지는 균형'이 우리를 생존,균형,발전시킨다고 보기에 하고싶은대로 하며 사는게 좋지 않겠는가. (사실 근본적으로 생각해본다면 하려는 의지가 부족한 일을 하면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내놓기는 지극히 어렵고 힘든 일이다) ..철학적으로 '인생은 무엇인가?'를 작성하려 했는데 의식의 흐름대로 작성하다보니까 결국 경제이야기로 빠져버렸군요.ㅇ_ㅇ).. 어쩌겠어요. 이미 쓰여진 글(..) 인생에 두가지 방향만 있는것은 아니지만 그냥 포괄적으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말로 작성하고 존댓말로 수정하려 했으나 존댓말로 하면 글의 맛이 안살것 같아 그냥 올립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2
이 게시판에 등록된 Credit님의 최근 게시물
|
저는 기본소득제에 대해 찬성합니다.
제대로만 시행된다면 소득의 50%를 내야 한다고 해도 찬성입니다.
그 이상을 낸다고 해도, 그래서 오히려 제 수입이 더 줄어든다고 해도 찬성입니다.
왜냐하면 제 수입이 줄어들어도 사회의 분위기가 인심이 후해지고 각박한 환경이 변하기 때문에 사회 전체의 스트레스가 줄어들어 사회적 여러 병리현상이 줄어들 것이라고 보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제 삶의 만족도가 증가할 것 같습니다.
돈 자체보다는 마음의 평온이 훨씬 더 중요하다는 걸 체험했기 때문에.
그리고 먹고 사는 문제가 해결되면 사람들이 ... 더 보기
제대로만 시행된다면 소득의 50%를 내야 한다고 해도 찬성입니다.
그 이상을 낸다고 해도, 그래서 오히려 제 수입이 더 줄어든다고 해도 찬성입니다.
왜냐하면 제 수입이 줄어들어도 사회의 분위기가 인심이 후해지고 각박한 환경이 변하기 때문에 사회 전체의 스트레스가 줄어들어 사회적 여러 병리현상이 줄어들 것이라고 보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제 삶의 만족도가 증가할 것 같습니다.
돈 자체보다는 마음의 평온이 훨씬 더 중요하다는 걸 체험했기 때문에.
그리고 먹고 사는 문제가 해결되면 사람들이 ... 더 보기
저는 기본소득제에 대해 찬성합니다.
제대로만 시행된다면 소득의 50%를 내야 한다고 해도 찬성입니다.
그 이상을 낸다고 해도, 그래서 오히려 제 수입이 더 줄어든다고 해도 찬성입니다.
왜냐하면 제 수입이 줄어들어도 사회의 분위기가 인심이 후해지고 각박한 환경이 변하기 때문에 사회 전체의 스트레스가 줄어들어 사회적 여러 병리현상이 줄어들 것이라고 보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제 삶의 만족도가 증가할 것 같습니다.
돈 자체보다는 마음의 평온이 훨씬 더 중요하다는 걸 체험했기 때문에.
그리고 먹고 사는 문제가 해결되면 사람들이 어떻게 변하는지... 얼마나 극적인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본 적도 있어서 사회 전체가 질적으로 극적인 변화를 맞이할 가능성도 높은 편이라고 보고요.
하지만 이 제도를 시행하더라도 반드시 전제가 되어야 할 것은 이 제도의 투명성을 보장하는 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고 봅니다.
더 나아가 이 제도 자체의 투명성 외에도 사회 전체의 공정성과 투명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고요.
제대로만 시행된다면 소득의 50%를 내야 한다고 해도 찬성입니다.
그 이상을 낸다고 해도, 그래서 오히려 제 수입이 더 줄어든다고 해도 찬성입니다.
왜냐하면 제 수입이 줄어들어도 사회의 분위기가 인심이 후해지고 각박한 환경이 변하기 때문에 사회 전체의 스트레스가 줄어들어 사회적 여러 병리현상이 줄어들 것이라고 보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제 삶의 만족도가 증가할 것 같습니다.
돈 자체보다는 마음의 평온이 훨씬 더 중요하다는 걸 체험했기 때문에.
그리고 먹고 사는 문제가 해결되면 사람들이 어떻게 변하는지... 얼마나 극적인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본 적도 있어서 사회 전체가 질적으로 극적인 변화를 맞이할 가능성도 높은 편이라고 보고요.
하지만 이 제도를 시행하더라도 반드시 전제가 되어야 할 것은 이 제도의 투명성을 보장하는 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고 봅니다.
더 나아가 이 제도 자체의 투명성 외에도 사회 전체의 공정성과 투명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고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