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11/12 14:23:34
Name   모모스
Subject   화병과 우울증
화병 (Hwabyeong, Hwabyung)

화병 또는 울화병은 우리 나라에서 많이 나타나는 병입니다. 지금 전 국민이 이병을 앓고 있다고 봐야죠. 화를 참는 일이 반복되어 스트레스성 장애를 일으키는 정신 질환으로 미국 정신과 협회에는 1996년 화병을 한국 고유 문화 관련 증후군의 하나로 등록했고 이 병의 국제 표준어는 우리말에서 유래한 Hwabyeong 또는 Hwabyung이라고 합니다. 우리 나라 국민들 같이 착한 국민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일종의 우울증이죠.


우울증 (Depression)

우울증은 많은 사람들이 앓고 있는 질환입니다. 소심한 성격, 심리적인 위축감, 정신적인 충격, 과도한 스트레스 등이 우울증을 일으키는 원인들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울증은 슬픔이나 후회 등이 과도하게 나타나면서 발생하는데 어린 아이, 어른, 노인 등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는 질환입니다. 특히 가난한 사람, 부자, 예술인, 권력자 등을 가리지 않고 무차별적으로 발생하는데 지난 번에 말씀드린 미국 대통령 링컨을 비롯해 로마 2대 황제 티베리우스, 그 유명한 발레곡 "백조의 호수", "호도깍기인형" 을 작곡한 차이코프스키, "죄와 벌" 의 도스토예프스키, 프랑스 대사상가 루소, 헤밍웨이, 프로이트 까지 아주 많은 사람들이 우울증에 시달렸습니다. 일반적으로 흥미상실, 체중감소, 수면장애, 죄책감 등이 동반됩니다. 우울증과 멀어 보이는 정상인들도 여러가지 원인으로 일정 기간 심한 우울에 빠지기도 하는데 요즘 같은 시기에는 누구나 화병,우울증에 빠지기 쉽습니다. 요즘 뉴스를 보면 아무리 낙천적인 사람이라도 없는 화병, 우울증이 생길 만큼 어처구니 없는 일이 일어나는 세상입니다. 우울증상이 심해지면 피해의식, 환각, 환청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며 무엇보다도 자살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사회적인 관심이 필요한 질환입니다.    


계절성 우울증 (Seasonal affective disorder, SAD)

특히  햇볕 부족으로도 일시적인 우울증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를 계절성 우울증 (Seasonal affective disorder, SAD) 이라고 합니다. 우리보다 위도가 높은 유럽은 겨울철에 낮이 짧고 밤이 길어 겨울철 일조량이 부족하여 계절성 우울증에 쉽게 걸렸다고 합니다. 반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장마철이 긴 초여름에 많이 나타났다고 하네요. 요즘은 장마철이 길지 않아서 별 의미는 없을 것 같아요. 햇볕 부족으로 체내 비타민D가 고갈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있는데 아직 비타민D와 세로토닌 (serotonin) 생성과의 관계는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이런 계절성 우울증에 시달리는 사람들은 세로토닌 (serotonin) 의 전구물질인 트립토판 (tryptophan) 함유 음식이나 콜레스테롤 비율이 높은 음식을 찾게 되는데 유럽인들은 주로 비오는 날이나 긴 겨울에 감자칩을 찾는데 우리 나라 사람들은 비오는 날 파전을 찾죠. 보통  활동량 감소, 탄수화물 과식, 과수면 등의 증상이 동반됩니다.


항우울제 (Antidepressants)

우울증치료제 중 2세대 항우울제인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SSRI,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이 많이 쓰이는데 그 유명한 푸로작 (fluoxetine) 이 대표적입니다.  


3세대 항우울제인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 Serotonin-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들도 많이 쓰이는데 이팩사 (Venlafaxine) 등이 대표적입니다.


항우울제 약물은 약 자체의 의존성은 별로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약에 대한 심리적인 의존성은 높은 편입니다.

우울증의 가장 큰 문제는 자살위험성이라고 소개해드렸죠. 정작 우울증이 가장 심할 때는 자살률이 높지 않습니다. 우울증이 심할 때는 일반적으로 몸 자체를 움직이지 못할 만큼 무기력합니다. 그래서 심한 우울증으로 자살을 하고자해도 실행에 옮길 수 없을 만큼 에너지 자체가 부족하여 실제 자살률이 높지 않습니다. 그래서 더 위험한 것이 우울증을 치료 후 어느 정도 호전된 사람들이나 치료 후 다시 우울증이 발병할 경우 자살 위험이 높아집니다. 즉 치료초기, 약물의 증감, 약물의 중단 등의 시기에 자살 위험성이 높아지므로 이 때 우울증 환자들에게 더 주의를 해야하는 상당히 까다로운 질환이기도 합니다.

우울증 치료에 플라시보효과도 매우 높습니다. 우울증 치료에 상담을 하는 의사의 자상함, 친철, 믿음 등에 의해서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즉 우울증 치료에 서로 이해하고 이야기할 수 있는 상대는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전 국민이 화병과 우울증에 시달리는 이쯤에

1. 너무 화를 참지 마시고
2. 밖에 나가 햇볕을 쬐시고
3. 파전 같은 느끼한 음식 드시고 (트립토판이 많이 함유된 음식은 주로 단백질과 견과류입니다.)
4. 서로 서로에게 이야기 나누면서 화병과 우울증을 날려버리세요.

이것 저것 복잡하게 생각할 것 없이 이 화병과 우울증을 한방에 해결할려면 밖으로 나가야겠죠.

"1112 민중총궐기"로...서울시청광장으로 가면 되죠?



8
  • 우울우울!
  • 으앙 글 너무 좋아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157 의료/건강Dr. Feel Good 과 직업윤리 15 Beer Inside 16/11/15 5726 4
4154 의료/건강프로포폴과 IV infusion 6 모모스 16/11/15 8882 4
4143 의료/건강화병과 우울증 3 모모스 16/11/12 6483 8
4112 의료/건강일본 예능에 나온 살 빼는 이야기 9 빠른포기 16/11/08 7273 0
4003 의료/건강너무 착한 병 17 눈부심 16/10/25 4077 11
3946 의료/건강여성의 자기 결정권 40 Beer Inside 16/10/18 7115 0
3895 의료/건강억울한 인플루엔자와 타미플루 4 모모스 16/10/13 6864 3
3893 의료/건강LCHF를 궁금해하실 분들을 위한 야매 경험담 28 쉬군 16/10/13 6899 0
3879 의료/건강첫 하프마라톤 후기 28 파란아게하 16/10/12 6880 12
3856 의료/건강시력의 정의(definition) 9 April_fool 16/10/09 12108 3
3855 의료/건강오메가3/오메가6 균형 3 모모스 16/10/09 6264 2
3852 의료/건강이런 경우에 사망 원인을 뭐라고 하시겠습니까 ? 4 렐랴 16/10/08 4360 2
3802 의료/건강모차르트와 돼지선모충 11 모모스 16/09/30 7063 1
3777 의료/건강뱀독과 고혈압치료제 (ACE inhibitor) 3 모모스 16/09/26 9420 2
3776 의료/건강이규연의 스포트라이트 보셨나요? 7 jsclub 16/09/26 4971 0
3752 의료/건강"MBC 스페셜 - 지방의 오해" 어떻게들 보셨나요? 20 몽유도원 16/09/22 6958 1
3728 의료/건강금연과 챔픽스 8 모모스 16/09/19 6521 6
3721 의료/건강엔돌핀 vs 모르핀 10 모모스 16/09/17 12854 2
3719 의료/건강헤로인과 모르핀 이야기 9 모모스 16/09/17 15682 1
3708 의료/건강니코틴과 히로뽕 이야기 5 모모스 16/09/15 11199 6
3569 의료/건강기면증과 Modafinil ( 왜 감기약을 먹으면 졸릴까?) 3 모모스 16/08/24 5269 0
3198 의료/건강fMRI 관련 연구에 핵폭탄이 터졌습니다. 28 Azurespace 16/07/05 9153 4
3185 의료/건강기분을 먹고 사는 어떤 장내세균 23 눈부심 16/07/04 4449 2
3171 의료/건강담배는 파킨슨병을 줄여줄 것인가? 22 레지엔 16/07/01 4549 2
3147 의료/건강콜린성 두드러기 앓는 분이 혹시 계신지 궁금하네요 22 우너모 16/06/28 8236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