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6/09/30 15:30:42 |
Name | 모모스 |
Subject | 모차르트와 돼지선모충 |
626곡의 아름다운 음악을 남긴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1756년 1월 27일 ~1791년 12월 5일) 는 35세의 나이로 요절했습니다. 아버지 레오폴트 모차르트 (1719~1787) 는 장수한 편으로 68세까지 살았지만 아들인 모차르트는 너무 일찍 죽어 많은 사람들이 안타까워하며 그의 죽음에 의문을 품어 왔습니다. ![]() 모차르트의 사망 원인에 대해서는 아주 여러 가지 설들이 있는데.. 1. 살리에르의 질투로 인해 독살되었다는 설은 영화 아마데우스 (1984년작) 에 나와있습니다. 정황상 그럴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 2. 프리메이슨에 의해 독살되었다는 설도 있습니다. 모차르트의 마지막 오페라는 1791년 9월 30일 초연 된 "밤의 여왕 아리아" 로 유명한 "마술피리 " 로 프리메이슨를 암시하는 내용이 많이 나옵니다. 이 오페라 초연 2개월 만에 모차르트는 죽습니다. 프리메이슨의 비밀을 폭로한 죄로 프리메이슨에 의해서 암살 되었다는 설로 잘 아시다시피 프리메이슨이 그리 엄청난 단체도 아니고 오히려 이 오페라에 대한 책임은 극작가 쉬카네더 (Emanuel Schikaneder 1751~1812, 초연시 파파게노 역할까지 했던 성악가 겸 극작가) 에게 있는데 그는 장수하였으니 그 원인은 아니었을 거에요. 또 마술피리는 그 후 1년간 만해도 아무 방해도 받지 않고 100회 이상 공연될 만큼 히트한 오페라 작품이었습니다. (기존 라틴어로 된 전통적인 오페라와 달리 마술피리는 독일어로 되어있고 독일 전통의 징슈필 형식을 많이 도입한 지라 당시 독일어권에서는 크게 성공하였습니다.) 그 밖에도 수많은 설이 있습니다. 지금처럼 정확한 부검을 할 수 있었던 시대가 아니라서 사망 원인은 앞으로도 계속 미스터리로 남아있을 것 같아요. 다만 당시의 증언을 보면 모차르트는 고열에 시달리면서 헛소리를 계속하다가 크게 기침을 하더니 검은 밤색 액체를 뿜은 뒤 쓰러져 죽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즉 심한 열과 근육통이 발생했고 심장 이상으로 수많은 혈전들이 발생했으며 결국 이를 토하면서 사망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돼지 선모충 (Trichinella spiralis) ![]() 꼭 돼지일 필요는 없는데 선모충에 오염된 고기를 날 것으로 먹으면 감염 되는 기생충 질환입니다. 야생에서는 선모충에 감염된 다른 동물의 사체를 먹으면 그 동물도 선모충에 감염이 됩니다. 현재 우리가 사육하여 먹는 돼지들은 사료만 먹기 때문에 선모충에 감염된 고기가 거의 나오지 않습니다. 하지만 과거 광우병 사태에도 알 수 있듯이 유럽 뿐만 아니라 전세계에서 오랫 동안 가축의 부산물을 다시 가축에게 먹이는 사료로 사용해왔고 역시 모차르트 시대에도 도축된 다른 돼지의 부산물을 다시 돼지에게 사료로 먹여왔기 때문에 한 번 돼지 생태계에 들어온 선모충은 돼지 집단에 널리 퍼져 있어 그 당시 돼지고기엔 선모충이 득실득실 하였습니다. 그러니 고기를 잘 익혀 먹어야 했죠. 선모충은 위 그림과 같은 라이프 사이클을 가지고 있는데 주로 근육조직 (고기) 으로 이동하여 자리를 잡고 초기에 심한 근육통과 고열을 일으키며 심장에 침입한 경우 사망에 이르기도 합니다. 그리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숙주와 평화롭게 지내면서 기생하고 다음 번식을 위해 다른 동물들이 이 숙주를 먹기를 기다리며 최대 40년간 잠복하기도 한다네요. 이론적으로 인간을 감염 시켜 인간의 근육 조직으로 들어간 선모충들도 다시 종족을 번식시키기 위해 감염된 인간의 고기를 다른 동물이 먹기를 기대하지만....글쎄 이 선모충들은.... 아무튼 돼지는 이렇게 선모충도 많고 더운 날씨에 잘 상하고 무엇보다도 사육하는데 물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물부족지역에서 발원한 유대교와 이슬람에서는 경전에서 돼지고기를 금하고 있습니다. 근육조직에 기생하는 선모충 ![]() 슈니첼 (Schnitzel) ![]() 슈니첼 (Schnitzel) 은 오스트리아 전통 음식으로 모차르트가 가장 좋아했던 음식이었다고 합니다. 돈가스나 포크커틀릿의 원조격으로 돈가스와 달리 고기가 좀 더 두꺼워서 잘 튀기지 않으면 안쪽은 잘 익지 않을 수도 있다고 합니다. 선모충에 오염된 고기일 가능성이 높은 모차르트 시대의 돼지고기로 만든 슈니첼은 튀겼음에도 불구하고 선모충이 살아 남아있을 수도 있고 이를 먹은 인간은 선모충에 감염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모차르트는 죽기 몇 달 전까지 슈니첼을 즐겨 먹었다고 하니 선모충 감염으로 모차르트가 사망한 것이 아닌지 하는 의심의 시각도 있습니다. 특히 선모충 감염에 의한 높은 열과 근육통, 그리고 선모충 심장 침입에 의한 혈전 발생으로 인한 심정지로 사망했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습니다. ![]() 그 밖에 연쇄상구균 (Streptococcus) 등에 의한 세균 감염에 의해 일어나는 급성 류마티스열 (Acute Rheumatic Fever)과 심내막염 (Carditis) 으로 사망했다는 설도 있습니다. 가장 유력한 설 중에 하나입니다. 또 그 당시 많은 사람들이 죽어간 병인 콜레라에 의해서 사망했다는 설도 있습니다. 다만 설사 이야기가 별로 없어서 이쪽은 살짝 가능성이 낮아 보입니다. 문제의 마술피리 (Die Zauberflote ) 에서 제일 유명한 아리아인 밤의 여왕 아리아 " 지옥의 복수심 내 마음 속에 불타 오르고 (Der Holle Rache kockt in meinem Herzen) ". 아리아는 원래 제목이 없어서 가사의 첫 줄을 제목으로 보통 사용합니다. 가사 내용이 무시무시하죠. Der hoelle Rache kocht in meinem Herzen 지옥의 복수심 내 마음 속에 불타오르고 Tod, und Verzweiflung, 죽음! 그리고 절망! Tod und Verzweiflung flammert um mich her 죽음과 절망이 내 주위에 불타오르네! Fuehlt nicht durch dich, Sarastro 너로 하여금 자라스트로가 Todesschmerzen, Sarastro Todesschmerzen, 죽음의 고통을 맛보지 않는다면 So bist du meine Tochter nimmer mehr. 그러면 넌 더이상 내 딸이 아니다 So bist du mein, meine Tochter nimmer mehr, 그러면 넌 더이상 내 딸이 아니다 Ah~ (화려한 기교[콜로라투라]) meine Tochter nimmer mehr 내 딸이 더이상 ! Ah~ [콜로라투라] So bist meine Tochter nimmer mehr! 넌 더 이상 내 딸이 아니다 Verstossen sei auf ewig, 영원토록 버림받고, verlassen sei auf ewig, zertruemmert sei auf ewig! 영원토록 빈궁하고, 영원토록 파괴될 것이다! (널 영원히 버릴 것이다.) alle Bande der Natur 자연의 모든 끈이 질서가 (피로 이어진 너와의 인연) Verstossen! Verlassen! Und zertruemmert! 버려지고! 빈궁해지고! 파괴되리라! (널 영원히 버릴 것이다.) alle Bande der Natur... 자연의 모든 질서들이 (피로 이어진 너와의 인연) alle~ a~ lle~ 모든~ 모든~! [콜로라투라] alle Bander der Natur! 모든 자연의 질서가! (피로 이어진 너와의 인연) Wenn nicht, durch dich, Sarastro wird erblassen! 만약 네가 자라스트로를 죽이지 않는다면! Hoert! Hoert! Hoert! Rachegoette! 들으소서! 들어주소서, 복수의 여신이여! Hoert! der Muttersschwur! 어머니의 소원을 들어주소서!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모모스님의 최근 게시물
|
정말 흥미로운 글 잘 읽었습니다. 모짜르트가 슈니첼의 선모충에 감염되어서 죽었을 가능성이 있었군요. 사실 모짜르트는 물론이거니와 음악, 음악역사에 대해 아무것도 모릅니다만 모짜르트가 요절했다는 건 알았는데;;
글의 요지와는 별개로 질문이 있는데요,
[그리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숙주와 평화롭게 지내면서 기생하고 다음 번식을 위해 다른 동물들이 이 숙주를 먹기를 기다리며 최대 40년간 잠복하기도 한다네요. 이론적으로 인간을 감염 시켜 인간의 근육 조직으로 들어간 선모충들도 다시 종족을 번식시키... 더 보기
글의 요지와는 별개로 질문이 있는데요,
[그리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숙주와 평화롭게 지내면서 기생하고 다음 번식을 위해 다른 동물들이 이 숙주를 먹기를 기다리며 최대 40년간 잠복하기도 한다네요. 이론적으로 인간을 감염 시켜 인간의 근육 조직으로 들어간 선모충들도 다시 종족을 번식시키... 더 보기
정말 흥미로운 글 잘 읽었습니다. 모짜르트가 슈니첼의 선모충에 감염되어서 죽었을 가능성이 있었군요. 사실 모짜르트는 물론이거니와 음악, 음악역사에 대해 아무것도 모릅니다만 모짜르트가 요절했다는 건 알았는데;;
글의 요지와는 별개로 질문이 있는데요,
[그리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숙주와 평화롭게 지내면서 기생하고 다음 번식을 위해 다른 동물들이 이 숙주를 먹기를 기다리며 최대 40년간 잠복하기도 한다네요. 이론적으로 인간을 감염 시켜 인간의 근육 조직으로 들어간 선모충들도 다시 종족을 번식시키기 위해 감염된 인간의 고기를 다른 동물이 먹기를 기대하지만....글쎄 이 선모충들은....]
생물학이나 진화론 관련 서적에서 이런 방식의 표현이 종종 나오더군요. 선모충이 고등적인 사고를 가지지 않은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 숙주를 먹기를 기다리며' '종족을 번식시키기 위해' '다른 동물이 먹기를 기대하지만' 같은 고도의 사고에서 나오는 목적과 의도를 가진 듯한 서술이 나오는데요. 이런 표현은 어떤 식으로 받아들이면 좋을까요?
글의 요지와는 별개로 질문이 있는데요,
[그리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숙주와 평화롭게 지내면서 기생하고 다음 번식을 위해 다른 동물들이 이 숙주를 먹기를 기다리며 최대 40년간 잠복하기도 한다네요. 이론적으로 인간을 감염 시켜 인간의 근육 조직으로 들어간 선모충들도 다시 종족을 번식시키기 위해 감염된 인간의 고기를 다른 동물이 먹기를 기대하지만....글쎄 이 선모충들은....]
생물학이나 진화론 관련 서적에서 이런 방식의 표현이 종종 나오더군요. 선모충이 고등적인 사고를 가지지 않은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 숙주를 먹기를 기다리며' '종족을 번식시키기 위해' '다른 동물이 먹기를 기대하지만' 같은 고도의 사고에서 나오는 목적과 의도를 가진 듯한 서술이 나오는데요. 이런 표현은 어떤 식으로 받아들이면 좋을까요?
주로 면역반응 특히 지난번에 쓴 Ig E 반응으로 기생충 등 물리치는데 기생충도 이에 대한 대응으로 우리 몸의 면역반응을 감소시키는 물질들을 분비하는 방향으로 진화해왔습니다. 또 그런 삶의 방식이 돌연변이와 자연선택으로 결정 되었겠죠. 심지어 이런 특징을 이용하여 과도한 자가면역질환인 크론병에 돼지구충을 투여하여 치료하려는 시도도 있습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우리 몸에는 수많은 기생충들이 함께 하고 있고 큰 문제가 없다면 공생하고 있습니다. 톡사포자충이라는 고양이로 부터 기인한 기생충은 우리 인간 20억명이 감염시킨 기생... 더 보기
주로 면역반응 특히 지난번에 쓴 Ig E 반응으로 기생충 등 물리치는데 기생충도 이에 대한 대응으로 우리 몸의 면역반응을 감소시키는 물질들을 분비하는 방향으로 진화해왔습니다. 또 그런 삶의 방식이 돌연변이와 자연선택으로 결정 되었겠죠. 심지어 이런 특징을 이용하여 과도한 자가면역질환인 크론병에 돼지구충을 투여하여 치료하려는 시도도 있습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우리 몸에는 수많은 기생충들이 함께 하고 있고 큰 문제가 없다면 공생하고 있습니다. 톡사포자충이라는 고양이로 부터 기인한 기생충은 우리 인간 20억명이 감염시킨 기생충으로 주로 뇌에 기생하는데 인간의 면역반응 등으로 포위되어 조용히 공생하고 있습니다. 어떤 의도성 보다는 여러가지 방향으로 돌연변이체(그 생물의 특징뿐 아니라 생활방식까지) 가 나오고 이것들 중 자연선택되어 종족번식에 유리한 타입이 살아 남는 대표적인 진화의 원리로 설명된다고 생각합니다.
모모스님께서도 잘 알고 계시겠습니다만, 선모충 뿐 아니라, 돼지고기를 기피하거나 바짝 익혀 먹어야 한다는 인식에 기여한 것에는 유구낭미충증도 있지요.
유구낭미충증은 간질 발작의 원인이 될 수도 있기에 많이 두려워하지요.
기생충의 생활사를 생각해보면 돼지에게 인분을 먹이는 '똥돼지'라는 것은 정말 심각한 사육 방식이었습니다.
어쨌든, 우리나라에서 선모충증은 멧돼지 등의 케이스에서만 발견되고 있고,
유구낭미충증은 2008년의 아주 드물게 발생한 한 건의 케이스 말고는 없어서 대한민국에서는 멸종 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 더 보기
유구낭미충증은 간질 발작의 원인이 될 수도 있기에 많이 두려워하지요.
기생충의 생활사를 생각해보면 돼지에게 인분을 먹이는 '똥돼지'라는 것은 정말 심각한 사육 방식이었습니다.
어쨌든, 우리나라에서 선모충증은 멧돼지 등의 케이스에서만 발견되고 있고,
유구낭미충증은 2008년의 아주 드물게 발생한 한 건의 케이스 말고는 없어서 대한민국에서는 멸종 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 더 보기
모모스님께서도 잘 알고 계시겠습니다만, 선모충 뿐 아니라, 돼지고기를 기피하거나 바짝 익혀 먹어야 한다는 인식에 기여한 것에는 유구낭미충증도 있지요.
유구낭미충증은 간질 발작의 원인이 될 수도 있기에 많이 두려워하지요.
기생충의 생활사를 생각해보면 돼지에게 인분을 먹이는 '똥돼지'라는 것은 정말 심각한 사육 방식이었습니다.
어쨌든, 우리나라에서 선모충증은 멧돼지 등의 케이스에서만 발견되고 있고,
유구낭미충증은 2008년의 아주 드물게 발생한 한 건의 케이스 말고는 없어서 대한민국에서는 멸종 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돼지고기를 수입하는 나라들도 우리보다 훨씬 양호한 위생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최소한 국내산 돼지고기라면, 기생충을 염려하여 바짝 익혀 드실 필요는 없습니다. 대부분의 수입산도 마찬가지이구요.
다만, 배합사료로 사육하지 않고, 자체 부산물을 아직도 먹이면서 키우는 나라를 방문하여 돼지고기를 먹을 때는 조심하는 것이 낫겠지요.
멧돼지 고기는 우리나라에서도 특히 조심하셔야 합니다.
유구낭미충증은 간질 발작의 원인이 될 수도 있기에 많이 두려워하지요.
기생충의 생활사를 생각해보면 돼지에게 인분을 먹이는 '똥돼지'라는 것은 정말 심각한 사육 방식이었습니다.
어쨌든, 우리나라에서 선모충증은 멧돼지 등의 케이스에서만 발견되고 있고,
유구낭미충증은 2008년의 아주 드물게 발생한 한 건의 케이스 말고는 없어서 대한민국에서는 멸종 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돼지고기를 수입하는 나라들도 우리보다 훨씬 양호한 위생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최소한 국내산 돼지고기라면, 기생충을 염려하여 바짝 익혀 드실 필요는 없습니다. 대부분의 수입산도 마찬가지이구요.
다만, 배합사료로 사육하지 않고, 자체 부산물을 아직도 먹이면서 키우는 나라를 방문하여 돼지고기를 먹을 때는 조심하는 것이 낫겠지요.
멧돼지 고기는 우리나라에서도 특히 조심하셔야 합니다.
모모스님 발제 글에 제가 답변을 드려 죄송스러운 마음이 있습니다만,
돼지에 기생하는 갈고리촌충의 알을 먹으면 유구낭미충증이라는 심각한 질병을 일으킬 수 있으나,
소에 기생하는 민촌충의 경우에는 그러한 질병을 일으키지 않아서, 민촌충에 감염 된다하여도 대체로 심각한 증세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돼지 기생충은 사람의 온몸으로 퍼져갈 수 있어 심각한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반면
소 기생충은 사람에서는 소장상부에 기생하고 소화기 내에 존재하여 증세가 없거나 소화불량 정도의 증세만 나타낸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제 짧은 지식은 여기까지인 관계로 어째서 그러한 차이가 있는지는 모모스님을 비롯한 전문가 분들께서....
돼지에 기생하는 갈고리촌충의 알을 먹으면 유구낭미충증이라는 심각한 질병을 일으킬 수 있으나,
소에 기생하는 민촌충의 경우에는 그러한 질병을 일으키지 않아서, 민촌충에 감염 된다하여도 대체로 심각한 증세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돼지 기생충은 사람의 온몸으로 퍼져갈 수 있어 심각한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반면
소 기생충은 사람에서는 소장상부에 기생하고 소화기 내에 존재하여 증세가 없거나 소화불량 정도의 증세만 나타낸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제 짧은 지식은 여기까지인 관계로 어째서 그러한 차이가 있는지는 모모스님을 비롯한 전문가 분들께서....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