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08/13 10:55:57
Name   모모스
Subject   괴물폭탄 (블록버스터, 톨보이, 그랜드슬램, MOP)
블록버스터 (Blockbuster)
크게 흥행한 영화를 블록버스터라고 하고 2차대전 때 영국이 사용한 초대형폭탄에서 유래했음은 많이 알려져있습니다. 한 블럭을 날려버린다고 붙여진 이름이죠.

블록버스터는 사진상 숫자로 표시된 것처럼 5.4톤 (12000파운드), 1.8톤 (4000파운드)짜리가 일반적이었습니다. 다른 일반적인 폭탄과 비교하면 얼마나 큰 폭탄인지 알 수 있습니다. 당시 영국의 주력 대형폭격기가 랭커스터였는데 폭탄 탑재량이 8톤 정도 되었기 때문에 5.4톤짜리 블록버스터 1발 정도는 탑재가 가능했습니다. 반면 독일에 대해 주간 폭격을 담당하던 미군의 B-17 경우 폭탄 탑재량이 4톤미만이라서 블록버스터를 사용하지 못했습니다.

톨보이(Tall Boy), 그랜드슬램(Grand Slam)

톨보이와 그랜드슬램은 역시 2차대전 때 영국이 사용한 폭탄으로 일명 지진폭탄으로 불립니다. 블록버스터가 주로 많은 화약양(전체중량 중 화약양이 75%)에 의해 강한 폭발력으로 지상시설물을 파괴하는데 사용된 폭탄인 반면 톨보이나 그랜드슬램은 높은 높이에서 떨어뜨려서 빠른 속도로 낙하해 땅속을 파고 들어가 폭발함으로써 목표물에 직격해도 좋고 빗맞아도 충격파를 발생시켜 적의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전략적 목표인 다리 같은 것들을 파괴시킬 목적으로 만든 폭탄입니다. 벙커버스터 선조쯤 되겠네요. 5.4톤짜리 톨보이는 블록버스터처럼 랭커스터에 바로 탑재 가능해서 바로 사용되었지만 10톤의 그랜드슬램은  아무리 랭커스터여도 바로는 탑재가 불가능해서 랭커스터의 방어무기 등을 철거하고 연료도 적게 주입해서 기체의 무게를 줄인 다음 겨우 겨우 1발 탑재해서 투하했습니다. 지난 번 구스타프 열차포의 7톤짜리 포탄보다 더 큰 폭탄입니다.
1. 대서양변의 위치해있는 콘크리트로 보호된 독일 U보트기지들을 박살냈고  
2. 지난 번에 이야기드린 V3초장거리 대포도 완성되기 전 파괴시켜버리고
3. 영국의 자랑 세계최대순양전함 HMS 후드를 격침 시킨 비스마르크호의 자매함  티피츠호도 격침시켜 버립니다.  
그 밖에 독일 곳곳을 박살내버리죠.

MOP (Massive Ordnance Penetrator, GBU-57)

MOP는 현대 미군이 장비한 14톤짜리 폭탄입니다. 폭탄탑재량이 큰 B-52, B-1, B-2 같은 초대형 폭격기에도 고작 한두발 밖에 못 탑재하는 괴물폭탄입니다. 톨보이나 그랜드슬램과 비슷한 개념으로 개발된 폭탄으로 자유낙하 폭탄이지만 스마트폭탄계열이라서 명중률이 좋아 정밀 폭격이 가능합니다. 14톤 중에 폭약양은 고작 2톤밖에 안된다네요. 고작 2톤... 핵미사일 사일로 같은 지하의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을 박살낼 목적으로 만들어낸 재래식 무기입니다.

그 밖에 지하 60m 파고 들어가 폭발하는 2.2톤짜리 미군의 벙커버스터 (GBU-28, GBU-37) 가 있으며 기화 폭탄의 일종인 미국의 MOAB, 러시아의 FOAB 등도 있습니다.



0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36 역사후장식 드라이제 소총과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강 7 모모스 16/08/19 5788 3
    3532 역사"국왕" 대신 "국가와 조국" 위해 싸운 나폴레옹의 프랑스군 7 모모스 16/08/18 5751 3
    3528 역사페라리와 프란체스코 바라카 2 모모스 16/08/17 7282 2
    3524 역사2차대전 이탈리아 전투차량은 전부 병맛? 9 모모스 16/08/16 9489 2
    3506 역사괴물폭탄 (블록버스터, 톨보이, 그랜드슬램, MOP) 3 모모스 16/08/13 8328 0
    3495 역사세상에서 가장 큰 대포 10 모모스 16/08/11 10536 4
    3422 역사일본인은 어디에서 왔는가? - 재레드 다이아몬드 12 모모스 16/08/02 7348 3
    3408 역사만화 킹덤의 육대장군과 삼대천은 역사에 어떻게 기록되어 있을까 16 Raute 16/07/31 19009 0
    3200 역사왜 사계절이 뚜렷하면 좋은 나라일까. 39 기아트윈스 16/07/05 7112 3
    3170 역사"동북아 역사지도 프로젝트 폐기"에 부쳐 140 기아트윈스 16/07/01 6544 6
    2855 역사와이프 팝니다 38 기아트윈스 16/05/21 6839 10
    2711 역사유게에 올라온 유재흥 글에 대해 63 눈시 16/04/29 12992 36
    2694 역사시빌 워 - 미국 남북전쟁 (끝) 16 눈시 16/04/27 5362 9
    2687 역사시빌 워 - 미국 남북전쟁 (2) 10 눈시 16/04/26 5914 7
    2684 역사시빌 워 - 미국 남북전쟁 (1) 16 눈시 16/04/24 7360 6
    2672 역사일본 창작물 내에서의 임진왜란 16 눈시 16/04/22 5154 7
    2644 역사고든 베넷! (Gordon Bennett) 5 기아트윈스 16/04/19 7276 4
    2324 역사자화자찬(自畫自贊) 6 기아트윈스 16/03/01 4408 11
    2187 역사보쌈, 면사포, 결혼반지 4 모모스 16/02/07 6033 1
    2174 역사일본군이 져서 분하다는 말 18 Moira 16/02/05 8414 12
    2163 역사육두구 이야기 9 모모스 16/02/02 6887 5
    2158 역사[웹사이트 소개] 집에서 스미소니언 박물관을 둘러보자 7 기아트윈스 16/02/02 4263 1
    1669 역사러시아에서 푸틴의 인기에 대하여... 9 조홍 15/11/30 11035 6
    1575 역사아메리칸 프로그레스 또는 아메리칸 트래지디... 1 Neandertal 15/11/17 6954 1
    1514 역사사도세자의 아들 - 홍씨와 김씨 (2) 1 눈시 15/11/10 6346 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