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6/05/13 03:07:24 |
Name | 2Novation |
File #1 | 20160513_030716.jpg (208.0 KB), Download : 7 |
Subject | 마약성 진통제 복용 후기 |
저는 요천추 5-1 디스크를 앓고 있는 환자입니다. 블럭 2대를 맞아도 효과가 없어서 그런지는 모르겠으나, 다니고 있는 병원(ㄱㄷㄱㅎㄷ)에서 마약성 진통제를 처방해주시며 반드시 아플때만 먹으라고 하시더군요. 그래서 아플때 먹어봤습니다. 제 통증의 경우 서있을 경우, 그리고 걷는 경우 발생했습니다. 통증이 심한 날엔 누워있다가 일어서자마자 허리, 꼬리뼈, 엉치를 거처 허벅지까지 통증이 들어오고 그렇지 않은 경우라도 20미터를 채 못가고 통증이 발생합니다. 통증의 강도는 주저앉을 정도로요. 근데 약을 먹으면 전혀 아프지가 않습니다. 진짜루요. 이게 무슨 조화인가 싶을 정도로 아프지가 않습니다. 이걸 왜 인제사 줬나 싶을정도로요. 이제 2알째 먹었지만 효과가 대단하다는 사실을 몸소 느꼈네요. 하우스가 왜 바이코딘에 환장하는지 이제 알게되었습니다. 0
|
미국에서 12시간 약효가 지속된다고 알려져 있는 옥시콘틴이라는 진통제가 있는데 이게 실제로 약효가 12시간만큼 길지도 않고 중독성이 강한데 식약청과 제약회사의 이익관계가 견고해서 제재를 가하지는 않고 있는 상태고 약물중독으로 목숨을 잃는 사람이 생긴다고 하더라고요. 저는 우리나라환자들이 진통제 등 의사가 처방해 준 약물에 중독되어 사망했단 뉴스를 들어본 적이 없거든요. 미국에선 꽤 자주 듣는 것 같아요. 미국이 참 못쓰겠다 싶음과 동시에 우리나라 제약사업과 의사들과의 관계는 \"미국에 비하면\" 엄청 순수한 것 같아요. 그렇다고 봐도 될까요?
http://static.latimes.com/oxycontin-part1/
http://static.latimes.com/oxycontin-part1/
음 우리도 의사 처방 받은 약물에 중독돼서 사고 생기는 경우 있습니다. 뉴스도 탄 적이 있고... 미국보다는 드물텐데, 일단 미국에 비해서 한국의 마약류 약물 취급이 번거로와서 의사들이 기피하는 경향이 강하고, 보통 처방 약물에 의해 중독된 사람은 그 약물에서 다른 비처방 약물(헤로인같은)로 넘어가다가 이제 사고가 터지는 경우가 많은데 한국은 그렇게 넘어가기도 현실적으로 어렵죠. 그래서 덜 보이는게 아닌가 싶고... 옥시콘틴을 포함한 마약류 제한의 경우는 미국 FDA와 제약회사의 유착이 심하고 우리는 덜해서라기보다는, 약물 처방에 대한 국가 개입의 문제+마약류 약물의 사용에 대한 사회적 심리적 터부의 차이로 설명하는게 맞을 겁니다.
뭐 제가 미국 정치를 잘 아는 것은 아닙니다만, 미국 제약회사는 이게 딱히 식약처랑 유착이 강하다기보다는 그 자체로 강력한 돈줄을 쥔 로비집단이고 식약처에 계속 공략을 해들어가려고 하지만 그럼에도 미국 식약처는 잘 버티고 있다... 뭐 그런 평을 본 적이 있습니다. 제약회사가 유도한 정경유착이 미국에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 적이 꽤 되긴 하는데 옥시콘틴은 그로 인한 문제가 불거진 것은 아니지 않을까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상용 판매되는 옥시콘틴 제제의 안전성과 사용목적은 잘 정립이 된 편이거든요. 남용이 문제인데 이게 제약회사가 남용을 유도했다라고 보기는 좀 어려워서... 미국 사회가 약물 전체에 대한 남용을 조장하고 있는 사회인 것은 명확하고, 옥시콘틴 문제도 그 연장선상에서 보는게 타당할 것 같아요.
최근에 미국에서 경구마약이 비암성 통증에서 남용되고 있으니 적절하게 사용해야한다는 권고안을 날렸습니다.
노인환자가 늘어나면서 마약성 진통제 남용으로 인한 사망도 증가하고 있고, 미국은 다른 약물도 구하기 쉬우니 남용 방지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지요..
이에 따라서 한국도 유사한 가이드라인을 제정하고 있습니다만,
얼마전 유럽쪽 전문가에게 물어보니 유럽은 회의결과 미국이나 그렇지 유럽은 적절하게 규제가 잘 되어 있어서 문제가 없다...
로 결론을 냈다고 하더군요.
한국이야... 마약에 마라는 글자만... 더 보기
노인환자가 늘어나면서 마약성 진통제 남용으로 인한 사망도 증가하고 있고, 미국은 다른 약물도 구하기 쉬우니 남용 방지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지요..
이에 따라서 한국도 유사한 가이드라인을 제정하고 있습니다만,
얼마전 유럽쪽 전문가에게 물어보니 유럽은 회의결과 미국이나 그렇지 유럽은 적절하게 규제가 잘 되어 있어서 문제가 없다...
로 결론을 냈다고 하더군요.
한국이야... 마약에 마라는 글자만... 더 보기
최근에 미국에서 경구마약이 비암성 통증에서 남용되고 있으니 적절하게 사용해야한다는 권고안을 날렸습니다.
노인환자가 늘어나면서 마약성 진통제 남용으로 인한 사망도 증가하고 있고, 미국은 다른 약물도 구하기 쉬우니 남용 방지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지요..
이에 따라서 한국도 유사한 가이드라인을 제정하고 있습니다만,
얼마전 유럽쪽 전문가에게 물어보니 유럽은 회의결과 미국이나 그렇지 유럽은 적절하게 규제가 잘 되어 있어서 문제가 없다...
로 결론을 냈다고 하더군요.
한국이야... 마약에 마라는 글자만 붙어 있어도 경기를 하는 나라라서 외국과는 차이가 있습니다만,
비암성통증에 있어서 무분별하게 처방되는 경향이 없다고 보기는 어려워서 고민거리 이기는 합니다....
노인환자가 늘어나면서 마약성 진통제 남용으로 인한 사망도 증가하고 있고, 미국은 다른 약물도 구하기 쉬우니 남용 방지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지요..
이에 따라서 한국도 유사한 가이드라인을 제정하고 있습니다만,
얼마전 유럽쪽 전문가에게 물어보니 유럽은 회의결과 미국이나 그렇지 유럽은 적절하게 규제가 잘 되어 있어서 문제가 없다...
로 결론을 냈다고 하더군요.
한국이야... 마약에 마라는 글자만 붙어 있어도 경기를 하는 나라라서 외국과는 차이가 있습니다만,
비암성통증에 있어서 무분별하게 처방되는 경향이 없다고 보기는 어려워서 고민거리 이기는 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