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05/07 09:07:48
Name   모모스
Subject   설사하면 왜 \"죽\"을 먹어야하나?
설사병 이야기 https://kongcha.net/?b=3&n=1322
에서 내용을 추가해보았습니다.

콜레라 ( Cholera )
콜레라는 과거 극심한 설사 유발시켜 많은 사람을 죽인 무서운 유행성 질병입니다. 물론 현재에도 많은 저개발국에서 이 콜레라로 고통 받고 있구요. 원인은 콜레라 비브리오균 때문입니다. 마치 쉼표처럼 생겨 비브리오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다만 바이러스나 기생충에 비해 콜레라는 세균성 질환이기 때문에 항생제로 치료하기 수월한 편입니다. 콜레레균은 소장에 붙어서 장의 세포들이 물을 흡수하지 못하게 하고 수분과 염분을 상실하게 하는 독소 ( Cholera toxin ) 를 분비합니다. 이로 인해 심한 설사 (정말 심한 설사, 하루에 20리터 정도) 를 하게 되고 탈수로 파랗게 피부색이 변하면서 사망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1종 법정전염병으로 무서운 질환이지만 현대 의료체계가 확립되어있는 선진국에서는 사망자가 거의 나오지 않습니다. 이온성 음료를 투여하거나 우리 몸과 등장액인 링거액을 정맥 투여해서 우리 몸 수분을 유지시켜 급격한 쇼크를 막고 항생제를 투여해 콜레라균을 죽이는 게 일반적인 치료 방법입니다.

콜레라 독소  ( Cholera toxin )

콜레라 독소가 소장상피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GM1 Ganglioside 결합 후 둘(A,B)로 나눠져서 B-unit이 세포 내로 들어가 G-protein과 결합하여 ADP ribosyltransferase로 작용하고 이에 cAMP 농도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 를 증가하고 cAMP가 Protein kinase를 활성화시키며 이에 소장상피세포내의 Cl-가 소장내강으로 급속히 분비됩니다. 이렇게 되면 Na+도 흡수가 저해되고 소장내강으로의 분비되고 소장내강에 Na+Cl- 축적되어 몸 내부의 수분이 급속히 소장 내강 모이고 아주 심한 설사를 유발하며 몸의 탈수를 일으켜 심한 쇼크를 줍니다.


과거에는 콜레라에 걸리거나 심한 설사를 하면 흰죽이나 닭죽같은 걸 먹였습니다. 지금도 설사를 하면 죽을 먹지요. 설사로 수분이 빠져나가는데 단백질 함유된 흰죽은 아주 좋은 수분 공급원이 됩니다. 잘 이해가 안되시겠지만 콜레라 독소가 Na+을 소장내강으로 급속히 분비되도록해서 탈수가 일어나는데 위의 그림처럼 죽을 먹어서 glucose와 amino acid를 공급해주면 Na+ 가 glucose와 amino acid와 함께 다시 소장상피세포로 흡수되어 탈수를 막을 수 있습니다. 즉 잘 끓여 흡수가 쉽도록 만든 단백질 함유된 죽이 Na+를 재흡수시키고 결국 수분도 같이 재흡수되어 탈수를 막는 이치입니다. 설사가 심하시면 지사제를 먹거나 병원에 가시고 견딜만한 수준이면 닭죽이나 전복죽 드셔서 원기를 회복하세요.  



0


    설사에는 이온음료가 최고 아닌가욥
    April_fool
    경구수액이 최고인 걸로…
    글 맨 마지막에 나오는 내용은 1960년대에 콜레라 연구 과정에서 밝혀진 것인데, 저걸 이론적 기반으로 해서 경구수액이란 게 만들어졌지요.
    Beer Inside
    경구수액은 잘 팔지도 않고 팔아봤자 돈도 않되기 때문에 이온음료를 권하지요
    April_fool
    DIY한다거나…? (;;;)
    모모스
    \"페디라산\"이라는 제품 나와있어요.
    damianhwang
    페디라는 사실상 소아과에서만 주로 쓰는 제품처럼 되어 있습지요;
    damianhwang
    아프간에서 저개발국가 지원용으로 미군이 뿌리던 ORS salt가 있어서 그걸 물에 타먹으면 되긴 헌데;
    그넘의 나라에서는 깨끗한 물 구하는 것도 일이라 ;;;;;;
    차라리 이온음료 캔을 나눠주는게 낫긴 하죠.
    그냥 물마시는 것 보다 죽이 더 수분흡수가 잘 되나요?
    리틀미
    몸에서 물이 이동하는 경로는 나트륨(소듐) 이온의 이동 경로와 거의 일치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을 흡수할 때는 장에서 흡수하고 버릴 때는 신장에서 버리는데 대부분 나트륨을 이동시켜서 물을 간접적으로 펌프하는 방법을 씁니다. 이 펌프라는 것이 분자 단위의 아주 작은건데 포도당, 아미노산, 물, 소듐 같은 생명체에 필수적인 분자들은 전부 이 아주 작은 펌프의 균형에 의해서 흡수됩니다. 그냥 물이나 음식을 먹으면 장에서 흡수하는 게 아니라 생각보다 복잡하죠.

    콜레라가 콜레라 독소를 내뿜으면 소장에 갈고리처럼 딱 붙어서 안 떨어지... 더 보기
    몸에서 물이 이동하는 경로는 나트륨(소듐) 이온의 이동 경로와 거의 일치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을 흡수할 때는 장에서 흡수하고 버릴 때는 신장에서 버리는데 대부분 나트륨을 이동시켜서 물을 간접적으로 펌프하는 방법을 씁니다. 이 펌프라는 것이 분자 단위의 아주 작은건데 포도당, 아미노산, 물, 소듐 같은 생명체에 필수적인 분자들은 전부 이 아주 작은 펌프의 균형에 의해서 흡수됩니다. 그냥 물이나 음식을 먹으면 장에서 흡수하는 게 아니라 생각보다 복잡하죠.

    콜레라가 콜레라 독소를 내뿜으면 소장에 갈고리처럼 딱 붙어서 안 떨어지는데, 이 독소가 소장 표면에 있는 이 펌프들을 고장내기 시작합니다. 가장 망가뜨리는 펌프가 염소 이온을 운반하는 것입니다. 염소 이온은 소듐 이온이랑 같이 만나면 소금(NaCl)이 되죠? 러프하게 얘기해서 화학적 원리로 소듐이랑 염소는 같이 있으려고 합니다. 그런데 콜레라 독소가 소장의 염소 펌프를 고장내서 염소가 흡수되기는 커녕 바깥으로 질질 새는 겁니다. 그러면 소듐도 바깥으로 빠져나가고 소듐이랑 같이 다니는 물도 빠져나가 버리는 거죠. 삼투압 현상 때문에 절인 배추가 쪼그라드는 것처럼 장 바깥으로 소금이 빠져나가니 장이 절여지는 것 마냥 탈수되는 겁니다.

    그런데 소듐은 물 뿐만 아니라 포도당이나 아미노산과도 같이 움직이는 펌프가 많습니다. 포도당이랑 아미노산을 장으로 많이 보내주면 일단 아픈 사람이니까 영양 보충을 해줘서 좋은 걸 넘어서 소듐을 장으로 억지로 같이 끌고 들어갑니다. 이게 또다른 펌프인데 같이 끌고 들어간다고 해서 Co-Transporter인 거죠. 소듐을 끌고 들어가니 장 바깥의 소금 농도가 낮아지고 물이 빠져나가는 것이 줄어드는 겁니다.

    그런데 밥은 탄수화물이잖아요. 이걸 열을 가해서 으깨고 끓이다보면 분해되어서 상대적으로 포도당이나 아미노산으로 분해되는 게 많아집니다. 이온 음료랑 비슷해지는 거죠. 요즘은 이렇게 힘들 게 안하고 직접 정맥에 물을 꽂아 넣어서 보충해주는 것이 가장 좋은 것으로 판명나서 그렇게 치료하는 거죠. 아무리 죽이어도 먹으면 계속 설사를 할 수 밖에 없고 일단 굶고 좀 기다리면 장 세포가 계속 새로 자라면서 결국 독소는 떨어지고 콜레라 균 자체는 항생제로 잡고 몸이 이렇게 싸우는 동안에 물은 주사로 주고 그런 전략을 쓰는 겁니다.

    ㅋㅋ 교수님 강의 끝나고 조교가 질문 받은 기분이네요
    꽤나 복잡하네요.
    설명 감사합니다.
    damianhwang
    모교수-미조교 크로스? ~_~
    눈부심
    콜레라의 후크를 떼면 항생제 없이 방광염을 고친대요. 갈고리로 요도에 척 붙어서 염증을 일으킨다 그러더라고요. 후크만 없으면 소변 눌 때 다 쓸려나와요. 후크 떼는 화학식 만들어 주세요.
    리틀미
    ㅋㅋ이미 제약회사들에서 몇백억씩 들여가면서 만들고 있어요! 막 똑똑한 사람이 번뜩이는 영감으로 뚝딱하던 시대는 백년 전에 끝났죠... 이득인지 손핸지 모르겠다!
    April_fool
    순수한 맹물보다는 약간의 탄수화물 성분이 있는 것이 삼투압 때문에 수분흡수 속도가 더 빠르고, 또 탄수화물인 포도당과 나트륨은 짝을 지어 흡수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바로 [경구수액]이라는 것이지요. 하지만 설사병 걸린 게 아니라면 아무 상관없습니다.

    참고 :
    https://namu.wiki/w/%EA%B2%BD%EA%B5%AC%EC%88%98%EC%95%A1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damianhwang
    방송때도 했던 이야기인데
    포카리 스웨트가 마시는 수액이라는 컨셉으로 만든 제품이라고 하더라구요;
    오츠카가 625때 울나라에서 수액장사로 재벌이 된 회사라;;;
    DoubleYellowDot
    일본에서 살다온 지인의 말론 장염으로 병원가니 포카리 데워 먹으라 했다더군요.
    damianhwang
    한국에서도 이온음료 데워먹으라 합니다 ;-)
    DoubleYellowDot
    으엉 저는 매번 그냥 먹으라고만 들어서 찬거 먹었거든요...이온음료를 데운다는게 업청 신기했는데.;;
    관대한 개장수
    죽을 먹어야 죽이는데!
    근데 항상 궁금한 것이 ...
    사실 밥이나 죽이나 위를 지나면 모두 죽이 되어있을텐데, 왜 그렇게 죽을 강조하는지 사실 잘 모르겠어요.
    모모스
    위에서 강산과 소화액을 분비해서 밥을 시간을 두고 처리하여 죽으로 만들고 소장으로 보내는데 설사병에 걸리면 그 기능이 떨어지니 아예 죽을 만들어서 먹는 게 효율적이라서 그런 것 같아요.
    침묵의현자
    위장이 정상적으로 역할을 한다면 모두 밥도 죽이 되겠지만 위장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문제가 됩니다.
    DoubleYellowDot
    최소 두 달에 한 번 장염 오고 설사는 거의 항상 달고 사는 입장에서 장염에 닭죽은 사형선고입니다...그 기름기를 몸이 감당하지 못해요. 일단 당일 굶어서 최대한 빼내고 흰쌀죽에 괜히 싱겁다고 간장+참기름 이런거 하지 말고 쌀죽만 열심히 먹어주는게 병원 가지 않아도 가장 빠르게 낫더라구요..
    근데 저는 간혹 장염이 올때 설사를 하는 것이 아니라 대장에 혹은 소장까지 가스만 차고 장이 파업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이경우엔 굶는거고 뭐고 없고 그냥 병원 바로 가서 주사 맞았습니다. 이 경우는 정말 고통스럽고 대책도 없습니다.
    모모스
    지난 번 글에 써 있는 거처럼 설사가 심한 병으로 IBS ( Irritable Bowel Syndrome ) 와 IBD ( Inflammatory Bowel Disease ) 가 있습니다. IBS ( Irritable Bowel Syndrome ) 가 과민성대장증후군으로 긴장하거나 예민해지면 화장실을 자주가는 질환입니다. 병이라고 하기보단 불편함이죠. 반면 더 예후가 안좋은 IBD ( Inflammatory Bowel Disease) 는 크게 UC ( Ulcerative Colitis ) 와 그 유명한 CD (Crohn\'s Disease), 즉 크론병으로 분류됩니다. IBD는 일반 설사병을 뛰어 넘어 설사 뿐만 아니라 장내 염증과 궤양을 발생시키기도 하죠. 자가면역 질환으로 여겨지며 이 때문에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단백질이나 기름기 등은 일반적으로 별로 좋지 않습니다. 식단을 완벽하게 관리해야한다고 들었습니다. 인간의 행복함 중 하나를 뺏아가는 질병이죠.
    눈부심
    쪼기 아래 캡슐에 대해선 어케 생각하세요?
    모모스
    크론병이 자가면역 질환으로 의심되며 돼지구충으로 치료하려는 시도를 하는데 돼지구충이 우리의 면역시스템을 온순하게 만들어서 효과를 보는 겁니다. 다른 종류의 장내세균이 우리몸에 접종되면 아마도 그런 효과가 아닐지 예상해봅니다.
    눈부심
    캡슐을 삼키면 위로 가서 강산 때문에 견디기가 힘들 것 같은데 박테리아가 살아나나요? 혹시 둔부를 통해서 대장내시경 하듯 기다란 뭘 집어넣어서 박테리아(캡슐)를 장 군데군데 심어주면 효과가 더 있을까요....?
    모모스
    장용피라는 코팅기술도 있고 아예 장용 캡슐도 있으니까요. 위산처럼 산에서 녹지않고 장에서 가서 녹아나오는 캡슐입니다.
    눈부심
    건강한 변이 주는 부작용은 없는 것 같으니 IBS나 IBS용으로도 변이식 해도 될 것 같은데 왜 이 좋은 걸 두고 그냥 행복을 뺏긴채로 살아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아래의 제이너는 캡슐을 이용하는 이유는 맨똥은 역해서 못먹기 때문이라고 하더라고요 ㅎ. 답변 고맙습니다.
    리틀미
    그런데 기본적으로 균이잖아요? 수술이 무서운 이유가 수술 자체보다 감염 때문이거든요. 장내세균총에 잘못 감염되면 죽을 수도 있죠. 일부러 세균을 접종하는 건 아무래도 위험하고 꺼려지겠죠. A형 간염을 비롯해서 아직도 많은 감염병이 대변을 통해 퍼지고요. 건강한 변이라는 게 글에도 나왔듯이 정말 정말 얻기 힘든 것이고요.
    눈부심
    건강한 변, 무난한 변을 누는 것이 굉장한 복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답변 고맙습니다.
    Beer Inside
    대장내시경을 통해서 접종(?)하기도 합니다.....
    눈부심
    그런 게 있군요. 뽐뿌질하면 끄트머리에서 뭐가 뿜어져 나오능? 머 그런건가 봐여.
    침묵의현자
    이온음료나 물과 죽을 비교하자면 온도도 중요합니다. 아무래도 따뜻한쪽이 낫겠지요.
    그리고 기력이 하나도 없을때에는 닭죽이나 전복죽, 특히 잣죽은 피해야합니다.
    미음이나 흰죽, 야채죽부터 먹기 시작해서 상태가 호전되고 기운차리기 시작했을때에 닭죽같은 것을 먹으면 좋겠지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894 과학/기술보톡스 (Botox) 7 모모스 16/05/25 8237 2
    2860 과학/기술외계로부터의 생명 전달 (리뉴얼버전) 5 모모스 16/05/22 8237 2
    2828 과학/기술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독 - 황금독화살개구리 4 모모스 16/05/17 18159 3
    2821 과학/기술이공계 병역특례 2023년 폐지 51 kpark 16/05/16 7520 0
    2759 과학/기술배틀크루저와 자연선택 12 모모스 16/05/07 7209 5
    2757 과학/기술설사하면 왜 "죽"을 먹어야하나? 35 모모스 16/05/07 15358 0
    2752 과학/기술쌀, 보리, 밀 이야기 (자화수분-자웅동주식물) 3 모모스 16/05/06 10336 5
    2742 과학/기술코카인과 코카콜라 8 모모스 16/05/04 8675 1
    2738 과학/기술미토콘드리아 (Mitochondria) 와 인류의 여정 5 모모스 16/05/03 9500 4
    2566 과학/기술적록색맹과 Vitamin C 이야기 19 모모스 16/04/07 8957 9
    2482 과학/기술전문성없이 쓴 짧은 MOF 이야기 8 NightBAya 16/03/27 15623 0
    2303 과학/기술맛없는 것 투성이었던 옛날 17 눈부심 16/02/28 5725 5
    2285 과학/기술보스톤 다이나믹스로봇의 오늘자 동영상 21 눈부심 16/02/24 5525 0
    2247 과학/기술이론물리학 vs 신경생물학 ... and 실존주의 23 리틀미 16/02/18 6351 15
    2242 과학/기술알파고vs이세돌 대국을 기대하며.... 33 커피최고 16/02/16 6763 4
    2227 과학/기술모든 물리는 국소적이다. 22 눈부심 16/02/15 8121 5
    2209 과학/기술왜 최근에 빌 게이츠, 엘론 머스크, 스티븐 호킹 등 많은 유명인들이 인공지능을 경계하라고 호소하는가? 46 절름발이이리 16/02/12 10407 7
    2053 과학/기술우주의 끝을 찾아서... 5 아케르나르 16/01/18 5640 1
    2021 과학/기술지루함에 대한 과학적 고찰 29 눈부심 16/01/13 5960 1
    1839 과학/기술엘런 머스크 스페이스 X의 팰컨 9, 로켓 회수 성공시키다 16 눈부심 15/12/22 7790 3
    1735 과학/기술재밌는 사이트 하나 소개해드립니다. 11 darwin4078 15/12/09 9138 1
    1732 과학/기술침팬지의 놀라운 작업기억력 16 눈부심 15/12/08 8683 0
    1577 과학/기술수학계에 천지개벽할 사건이 일어났네요. 19 darwin4078 15/11/17 8160 0
    1434 과학/기술콩고 사람의 로켓 무한도전 - 트로포스피어 시리즈 로켓 7 April_fool 15/11/03 10520 0
    1354 과학/기술지구의 온난화와 빙하기 4 모모스 15/10/27 18889 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