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6/05/07 09:07:48 |
Name | 모모스 |
Subject | 설사하면 왜 \"죽\"을 먹어야하나? |
설사병 이야기 https://kongcha.net/?b=3&n=1322 에서 내용을 추가해보았습니다. 콜레라 ( Cholera ) 콜레라는 과거 극심한 설사 유발시켜 많은 사람을 죽인 무서운 유행성 질병입니다. 물론 현재에도 많은 저개발국에서 이 콜레라로 고통 받고 있구요. 원인은 콜레라 비브리오균 때문입니다. 마치 쉼표처럼 생겨 비브리오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다만 바이러스나 기생충에 비해 콜레라는 세균성 질환이기 때문에 항생제로 치료하기 수월한 편입니다. 콜레레균은 소장에 붙어서 장의 세포들이 물을 흡수하지 못하게 하고 수분과 염분을 상실하게 하는 독소 ( Cholera toxin ) 를 분비합니다. 이로 인해 심한 설사 (정말 심한 설사, 하루에 20리터 정도) 를 하게 되고 탈수로 파랗게 피부색이 변하면서 사망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1종 법정전염병으로 무서운 질환이지만 현대 의료체계가 확립되어있는 선진국에서는 사망자가 거의 나오지 않습니다. 이온성 음료를 투여하거나 우리 몸과 등장액인 링거액을 정맥 투여해서 우리 몸 수분을 유지시켜 급격한 쇼크를 막고 항생제를 투여해 콜레라균을 죽이는 게 일반적인 치료 방법입니다. 콜레라 독소 ( Cholera toxin ) ![]() 콜레라 독소가 소장상피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GM1 Ganglioside 결합 후 둘(A,B)로 나눠져서 B-unit이 세포 내로 들어가 G-protein과 결합하여 ADP ribosyltransferase로 작용하고 이에 cAMP 농도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 를 증가하고 cAMP가 Protein kinase를 활성화시키며 이에 소장상피세포내의 Cl-가 소장내강으로 급속히 분비됩니다. 이렇게 되면 Na+도 흡수가 저해되고 소장내강으로의 분비되고 소장내강에 Na+Cl- 축적되어 몸 내부의 수분이 급속히 소장 내강 모이고 아주 심한 설사를 유발하며 몸의 탈수를 일으켜 심한 쇼크를 줍니다. ![]() 과거에는 콜레라에 걸리거나 심한 설사를 하면 흰죽이나 닭죽같은 걸 먹였습니다. 지금도 설사를 하면 죽을 먹지요. 설사로 수분이 빠져나가는데 단백질 함유된 흰죽은 아주 좋은 수분 공급원이 됩니다. 잘 이해가 안되시겠지만 콜레라 독소가 Na+을 소장내강으로 급속히 분비되도록해서 탈수가 일어나는데 위의 그림처럼 죽을 먹어서 glucose와 amino acid를 공급해주면 Na+ 가 glucose와 amino acid와 함께 다시 소장상피세포로 흡수되어 탈수를 막을 수 있습니다. 즉 잘 끓여 흡수가 쉽도록 만든 단백질 함유된 죽이 Na+를 재흡수시키고 결국 수분도 같이 재흡수되어 탈수를 막는 이치입니다. 설사가 심하시면 지사제를 먹거나 병원에 가시고 견딜만한 수준이면 닭죽이나 전복죽 드셔서 원기를 회복하세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모모스님의 최근 게시물
|
몸에서 물이 이동하는 경로는 나트륨(소듐) 이온의 이동 경로와 거의 일치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을 흡수할 때는 장에서 흡수하고 버릴 때는 신장에서 버리는데 대부분 나트륨을 이동시켜서 물을 간접적으로 펌프하는 방법을 씁니다. 이 펌프라는 것이 분자 단위의 아주 작은건데 포도당, 아미노산, 물, 소듐 같은 생명체에 필수적인 분자들은 전부 이 아주 작은 펌프의 균형에 의해서 흡수됩니다. 그냥 물이나 음식을 먹으면 장에서 흡수하는 게 아니라 생각보다 복잡하죠.
콜레라가 콜레라 독소를 내뿜으면 소장에 갈고리처럼 딱 붙어서 안 떨어지... 더 보기
콜레라가 콜레라 독소를 내뿜으면 소장에 갈고리처럼 딱 붙어서 안 떨어지... 더 보기
몸에서 물이 이동하는 경로는 나트륨(소듐) 이온의 이동 경로와 거의 일치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을 흡수할 때는 장에서 흡수하고 버릴 때는 신장에서 버리는데 대부분 나트륨을 이동시켜서 물을 간접적으로 펌프하는 방법을 씁니다. 이 펌프라는 것이 분자 단위의 아주 작은건데 포도당, 아미노산, 물, 소듐 같은 생명체에 필수적인 분자들은 전부 이 아주 작은 펌프의 균형에 의해서 흡수됩니다. 그냥 물이나 음식을 먹으면 장에서 흡수하는 게 아니라 생각보다 복잡하죠.
콜레라가 콜레라 독소를 내뿜으면 소장에 갈고리처럼 딱 붙어서 안 떨어지는데, 이 독소가 소장 표면에 있는 이 펌프들을 고장내기 시작합니다. 가장 망가뜨리는 펌프가 염소 이온을 운반하는 것입니다. 염소 이온은 소듐 이온이랑 같이 만나면 소금(NaCl)이 되죠? 러프하게 얘기해서 화학적 원리로 소듐이랑 염소는 같이 있으려고 합니다. 그런데 콜레라 독소가 소장의 염소 펌프를 고장내서 염소가 흡수되기는 커녕 바깥으로 질질 새는 겁니다. 그러면 소듐도 바깥으로 빠져나가고 소듐이랑 같이 다니는 물도 빠져나가 버리는 거죠. 삼투압 현상 때문에 절인 배추가 쪼그라드는 것처럼 장 바깥으로 소금이 빠져나가니 장이 절여지는 것 마냥 탈수되는 겁니다.
그런데 소듐은 물 뿐만 아니라 포도당이나 아미노산과도 같이 움직이는 펌프가 많습니다. 포도당이랑 아미노산을 장으로 많이 보내주면 일단 아픈 사람이니까 영양 보충을 해줘서 좋은 걸 넘어서 소듐을 장으로 억지로 같이 끌고 들어갑니다. 이게 또다른 펌프인데 같이 끌고 들어간다고 해서 Co-Transporter인 거죠. 소듐을 끌고 들어가니 장 바깥의 소금 농도가 낮아지고 물이 빠져나가는 것이 줄어드는 겁니다.
그런데 밥은 탄수화물이잖아요. 이걸 열을 가해서 으깨고 끓이다보면 분해되어서 상대적으로 포도당이나 아미노산으로 분해되는 게 많아집니다. 이온 음료랑 비슷해지는 거죠. 요즘은 이렇게 힘들 게 안하고 직접 정맥에 물을 꽂아 넣어서 보충해주는 것이 가장 좋은 것으로 판명나서 그렇게 치료하는 거죠. 아무리 죽이어도 먹으면 계속 설사를 할 수 밖에 없고 일단 굶고 좀 기다리면 장 세포가 계속 새로 자라면서 결국 독소는 떨어지고 콜레라 균 자체는 항생제로 잡고 몸이 이렇게 싸우는 동안에 물은 주사로 주고 그런 전략을 쓰는 겁니다.
ㅋㅋ 교수님 강의 끝나고 조교가 질문 받은 기분이네요
콜레라가 콜레라 독소를 내뿜으면 소장에 갈고리처럼 딱 붙어서 안 떨어지는데, 이 독소가 소장 표면에 있는 이 펌프들을 고장내기 시작합니다. 가장 망가뜨리는 펌프가 염소 이온을 운반하는 것입니다. 염소 이온은 소듐 이온이랑 같이 만나면 소금(NaCl)이 되죠? 러프하게 얘기해서 화학적 원리로 소듐이랑 염소는 같이 있으려고 합니다. 그런데 콜레라 독소가 소장의 염소 펌프를 고장내서 염소가 흡수되기는 커녕 바깥으로 질질 새는 겁니다. 그러면 소듐도 바깥으로 빠져나가고 소듐이랑 같이 다니는 물도 빠져나가 버리는 거죠. 삼투압 현상 때문에 절인 배추가 쪼그라드는 것처럼 장 바깥으로 소금이 빠져나가니 장이 절여지는 것 마냥 탈수되는 겁니다.
그런데 소듐은 물 뿐만 아니라 포도당이나 아미노산과도 같이 움직이는 펌프가 많습니다. 포도당이랑 아미노산을 장으로 많이 보내주면 일단 아픈 사람이니까 영양 보충을 해줘서 좋은 걸 넘어서 소듐을 장으로 억지로 같이 끌고 들어갑니다. 이게 또다른 펌프인데 같이 끌고 들어간다고 해서 Co-Transporter인 거죠. 소듐을 끌고 들어가니 장 바깥의 소금 농도가 낮아지고 물이 빠져나가는 것이 줄어드는 겁니다.
그런데 밥은 탄수화물이잖아요. 이걸 열을 가해서 으깨고 끓이다보면 분해되어서 상대적으로 포도당이나 아미노산으로 분해되는 게 많아집니다. 이온 음료랑 비슷해지는 거죠. 요즘은 이렇게 힘들 게 안하고 직접 정맥에 물을 꽂아 넣어서 보충해주는 것이 가장 좋은 것으로 판명나서 그렇게 치료하는 거죠. 아무리 죽이어도 먹으면 계속 설사를 할 수 밖에 없고 일단 굶고 좀 기다리면 장 세포가 계속 새로 자라면서 결국 독소는 떨어지고 콜레라 균 자체는 항생제로 잡고 몸이 이렇게 싸우는 동안에 물은 주사로 주고 그런 전략을 쓰는 겁니다.
ㅋㅋ 교수님 강의 끝나고 조교가 질문 받은 기분이네요
순수한 맹물보다는 약간의 탄수화물 성분이 있는 것이 삼투압 때문에 수분흡수 속도가 더 빠르고, 또 탄수화물인 포도당과 나트륨은 짝을 지어 흡수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바로 [경구수액]이라는 것이지요. 하지만 설사병 걸린 게 아니라면 아무 상관없습니다.
참고 :
https://namu.wiki/w/%EA%B2%BD%EA%B5%AC%EC%88%98%EC%95%A1
참고 :
https://namu.wiki/w/%EA%B2%BD%EA%B5%AC%EC%88%98%EC%95%A1
지난 번 글에 써 있는 거처럼 설사가 심한 병으로 IBS ( Irritable Bowel Syndrome ) 와 IBD ( Inflammatory Bowel Disease ) 가 있습니다. IBS ( Irritable Bowel Syndrome ) 가 과민성대장증후군으로 긴장하거나 예민해지면 화장실을 자주가는 질환입니다. 병이라고 하기보단 불편함이죠. 반면 더 예후가 안좋은 IBD ( Inflammatory Bowel Disease) 는 크게 UC ( Ulcerative Colitis ) 와 그 유명한 CD (Crohn\'s Disease), 즉 크론병으로 분류됩니다. IBD는 일반 설사병을 뛰어 넘어 설사 뿐만 아니라 장내 염증과 궤양을 발생시키기도 하죠. 자가면역 질환으로 여겨지며 이 때문에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단백질이나 기름기 등은 일반적으로 별로 좋지 않습니다. 식단을 완벽하게 관리해야한다고 들었습니다. 인간의 행복함 중 하나를 뺏아가는 질병이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