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04/13 14:34:56
Name   모모스
Subject   판피린 3형제 이야기
판피린 3형제는 판피린, 판콜, 판토로 이번에도 제 마음대로 정해보았습니다.
이 중 판토는 인지도가 너무 떨어지는데 판피린, 판콜 단 두형제로만 하기엔 지난 번 게보린 3형제 이야기도 있고 해서 깔맞춤 할라고 억지로 집어 넣어보았습니다.

우선 판피린 성분을 보시죠. 판콜, 판토도 대동소이 합니다.
- 아세트아미노펜 300mg
- 말레인산클로르페니라민 2.5mg
- 무수카페인 30mg
- dl-염산메칠에페드린 20mg
- 구아이페네신 40mg
- 구연산티페피딘 5mg

소염진통제, 카페인, 항히스타민제, 진해거담제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아세트아미노펜은 소염진통제, 클로르페니라민은 항히스타민제, 카페인은 카페인이구요. 그 밖에 염산메칠에페드린, 구아이페네신, 구연산티페피딘 등은 진해거담제들로 주로 교감신경을 자극하여 기관지을 확장시켜 가래를 배출하거나 기침 중추를 억제하여 기침을 억제 시키는 역할 등을 합니다.  

판피린 3형제는 원래는 종합감기약 ( 감기를 직접 치료하는 약이란게 존재할까요? 그냥 소염진통제와 항히스타민제 등으로 각각의 증상을 경감시키는 약들이죠.) 으로 출시되었으나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감기 걸렸을 때도 먹고, 목이 아파도 먹고, 몸살에도 먹고, 허리 아파도 먹고, 무릎 아파도 먹고, 멀미해도 먹고, 컨디션 안좋아도 먹고, 그냥도 먹고 그렇습니다. 전형적인 약물 중독 현상으로 통증을 완화시켜주는 소염진통제와 피로감을 줄여주는 카페인 그리고 중추신경에 작용하는 다양한 진해거담제들 짬뽕으로 먹어서 중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입니다. 만병통치약이 되어버린 거죠. 이 약물에 중독된 할머니 할아버지들은 판피린 형제들을 박스째 사서 쟁여놓고 먹습니다. 그나마 약국에서 판매하고 있으니 대량으로 사기가 좀 그렇지만 코스트코나 이마트에 진열해두고 팔면 아마 카트 가져와서 듬뿍 담아서 집에 가져가 가족 모두에게 권해서 가족 전체가  약물 중독에 빠질 겁니다. 맛도 어마어마하게 없더만...우리나라에서는 이것보다 중독성이 심한 약들은 다들 의사 처방전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으로 묶여있습니다. 그나마 다행이라 할 수 있겠네요. 이런 사소한 감기약도 중독 현상이 일어날 만큼 약들이란 정말 무서운 것들입니다. 본인의 의지로 자제할 수가 없어요.

노인들의 약물 중독이 뭐가 문제냐 하면...
소염진통제 ( 애드빌, 이부프로펜, 덱시부프로펜, 맥시부펜, 나프록센, 게보린, 펜잘, 사리돈, 이지엔6, 이브, 모트린- 타이레놀, 울트라셋-마지막 둘은 NSAID계열이 아니고 위장관부작용보다는 간독성이 문제가 됩니다. )의 다른 말은 암살자입니다. 조용하게 사람을 죽인다고 붙인 무시무시한 별명이죠. 소염진통제 자체는 중독성이 별로 없는 편입니다. 그러나  약물 중독 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계속 소염진통제를 장기적으로 복용하게 되면 지난 번에 말씀 드린 대로 필연적으로 위장관 부작용을 겪게되고 특히 체력적으로 약한 나이가 많은 노인들은 이런 위장관질환으로 사망에 이르기까지도 합니다. 미국에서 매년 1만명이상이 소염진통제 부작용으로 사망한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20세기 보고이고 이는 과장되었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지난번 바이옥스사태에서 알 수 있듯이 노인사망자들은 그 원인을 판별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사망원인이 복합적이기도 하고 이견도 많구요. )  위장관 출혈을 일으켜 때로는 피를 토하면서 사망하기도 합니다.  일부 노인들은 각종 통증과 염증으로 정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한데 이런 소염진통제를 먹고 그나마 일상생활을 누리며 살다가 결국 소염진통제라는 암살자에게 살해 당하면서 죽음을 맞이하기도 하는 겁니다. 물론 통증에 시달리면서 고통스럽게 오랜 삶을 사는 것과 소염진통제를 먹고 위장장애을 앓지만 다른 통증에서 벗어나 정상 생활을 하면서 행복하지만 더 짧은 삶을 사는 것 중에  어떤 것이 옳은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거동이 불편할 만큼 통증이 심하지 않는 노인들이나  젊은 사람들이 약물 중독에 빠져 소염진통제를 장기 복용하는 것은 너무나도 위험한 일입니다. 약물 중독으로 이렇게 소염진통제를 장기 복용하는 것은 본인의 수명을 깍아내리는 일이라 생각합니다. 소염진통제로 인한 위장관 부작용은 가역적인 것이라 소염진통제를 끊으면 다시 위장관 부작용은 사라지므로  많이 두려워 할 필요는 없습니다. 아시다시피 소염진통제의 수많은 사람들에게 이로움을 주는 고마운 존재입니다. 다만 무분별하게 장기복용하는 것을 경계하자는 말입니다.  광고처럼 정말 꼭 먹어야 한다면 그 때 소염진통제를 드시고 장기 복용은 피하는게 좋습니다. 소염진통제를 끝까지 먹으면 끝이 안좋아요.  


판피린은 알약도 있는데 지금 말씀드린 판피린은 판피린큐로 내복액입니다. 기본적으로 액제로 만들어진 제제는 흡수가 빠릅니다. 우리가 알약을 먹는다고 알약의 고체 성분 자체가 바로 흡수가 되지 않아요. 정제가 부서지고 ( 용출 )  다시 각각의 개별 분자 형태로 녹아 ( 용해 ) 소장관 벽을 통해 우리 몸으로 흡수된 다음 전신으로 퍼져서 효과가 발휘합니다. (그래서 약을 먹으면서 물을 먹죠) 그런데 기본적으로 액제는 각 약물이 단분자 형태로 녹아져있기 때문에 용출-용해 과정을 거치지 않아 다른 고체형 알약보다 훨씬 빠르게 흡수가 진행되어 효과도 빠르게 나타납니다.

어떤 분이 녹십자의 탁센에 대해서 물어보셨는데 탁센은 겉보기엔 알약으로 되어있지만 실은 액상제제입니다. 탁센은 나프록센250mg으로 일반 나프록센제제(보통 375~500mg) 보다 함량이 낮지만 액상제제로 되어있어서 흡수가 빠르고 제제 특성상 생체이용률 (Bioavailability) 이 높은 편이라서 250mg로 충분하게 효과를 발휘하고 무엇보다도 액상제제라 단분자형태의 나프록센이 캡슐 안에 녹아있는 상태로 있어 약을 먹자마자 흡수가 일어나 빠른 시간 안에 효과가 나타납니다. 

"액상제제로 되어있어서 흡수가 빠르고 제제 특성상 생체이용률 (Bioavailability) 이 높은 편이라서" 이 내용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 계시네요.
약물에 따라 다르지만 액상을 만들 때 용해보조제가 들어가므로 약물의 흡수가 용출에 의한 결정되는 약물들 예를 들면 용해도가 낮고 흡수율이 높은 약물들은 액상제제가 투여할 경우 생체이용률이 급격히 높아집니다. 모든 약물이 용해도가 높고 흡수율이 높은 게 아니므로 용해도가 낮고 흡수율이 낮은 약물일수록 액상제제의 생체이용률이 급격히 올라갑니다. 하지만 논문들에 나오는 Dose가 같은 액상제제와 정제제제와의 비교는 주로 BEtest  (생물학적동등성, Bioequivalence Test) 에 대한 내용들 입니다. 이들은 주로 오랜전부터 시판되어 팔리고 있는 약물들이나  임상자료가 있는 약물에 대해 새로운 제형과 비교적 간단한 BEtest를 통해 허가를 내주는 제도로 제약회사 입장에서 쉽게 허가 내는 방법입니다. 주로 AUC, Cmax, Tmax를 기존제제와 비교하며 동등성이 인정되면 판매허가가 이루어집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BA값으로 판단하지는 않습니다. Dose가 다르거나 제형의 획기적인 변화가 생겨  BA값이 변한 경우 임상자료와  독성자료 및 각종 PK 자료를 요구합니다. 언급하신 논문들과 달리 BA는 같은 용량에서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IV 투여대비 PO의 AUC 를 비교하는 것으로 Dose dependency 가 있는 구간에서 행하는 것입니다. 즉 IV 1mpk 에서 하더라도 PO는 dose dependency가 있는 구간이라면 10mpk 와 비교해서 환산해 각 AUC를 구해 BA를 구합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언급하신 논문들은 주로 용출시험이나 BE test 쪽일 겁니다.  Dose가 다르고 제형의 획기적인 변화로 BA값이 달라진 경우 우선 BA=AUCpo/AUCiv로 일반적으로 dose denpendency 가 있는 구간에서는 AUCiv는 Dose에  비례합니다. ( D/AUC= CL(Clearance) parameter 일정한 값이니까요.) 탁센 (250mg) 의 경우 기존 나프록센제제(375mg)와 비교할 경우 따라서 BA는 우선IV 100mpk 데이터 있다고 가정하고 100~375mpk 가 dose denpendency 가 있는 구간이라고 가정하며 D/AUCiv =CL 로 일정한 momoexponential decay 따른다고 가정할 시에 AUCpo250mpk/ AUCiv100mpk*2.5 : AUCpo375mpk/AUCiv100mpk*3.75 요렇게  BA값을 비교 계산하면 되겠네요. 그 밖에 아까 말씀 드린 임상자료, 독성자료, PK자료, TK자료 등을 첨부해야 하지만  몇가지 bridge test 퉁치는 경우도 많습니다. 지금 이 단락을 읽고 이해를 하신 분들은 저에게 컨설팅비를 주셔야합니다.주로 대학원 심화과정이나 제약회사 컨설팅 할 때 말씀 드리는 수준입니다.  제 CV 보내드릴테니 품의결제올려서 제계좌로 컨설팅비를~ 농담이구요. 컨설팅비 주시기 싫으시면 추천 한번으로 퉁치겠습니다. 일반인 분들은 패스해주세요.


특히 생리통같이 빠른 효과가 중요한 질환에서는 액상 제제가 아주 좋습니다. ( 물론 응급환자에게는 주사제겠죠. ) 생리통은 장기적으로 진통제를 복용하는게 아니라 아플 때 즉시 먹는 거라 일반 알약형 정제를 먹게 되면 용출 용해되어 흡수된 다음 효과를 나타내기까지 오랜 시간동안 통증을 견뎌야합니다. 전 겪어보지 않았지만 일부 여성들은 생리통으로 엄청나게 고생을 하죠.얼마나 고통스럽겠습니까? 약물을 복용하고 효과가 나타나는 시간을 Onset Time이라고 하는데 생리통 같은 긴급을 요하는 통증엔 액상제제가 Onset Time이 짧아서 매우 좋습니다. 생리통엔 액상제제 추천합니다. 나프록센과 덱시부프로펜 액상제제가 많이 판매되고 있으니 기타 다른 통증에도  빠른 진통효과를 원하시는 분들은 이용해보세요.  다만 액상제제가 일반 알약정제보다 약물 화학적 구조의 안정성 ( Stability ) 문제 등으로 인해 유효기간이 짧습니다. 액체 내에서 단분자형태로 존재하므로 각각의 약물의 구조마다 다르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약물이 쉽게 파괴되는 편입니다. 오래 두고 먹기는 좀 그렇죠.    

시판 중이 판피린 3형제의 성분은 각각 다음과 같습니다.
판피린큐 - 아세트아미노펜 300mg, 말레인산클로르페니라민 2.5mg, 무수카페인 30mg, dl-염산메칠에페드린 20mg, 구아이페네신 40mg, 구연산티페피딘 5mg,
판콜에스 - 아세트아미노펜 300mg , 말레인산클로르페니라민 2.5mg, 무수카페인 30mg, dl-염산메칠에페드린 17.5mg, 구아이페네신 83.3mg,
판토에이 - 아세트아미노펜 300mg, 말레인산클로르페니라민 2.5mg,  무수카페인 30mg, dl-염산메칠에페드린 17.5mg, 구아이페네신 83.3mg,


여담으로 종합감기약에서 마약을 만든다는 이야기 들어보셨을 겁니다.

제가 미드 " 브레이킹 베드 "를 보진 않았는데 거기서 평범한 화학교사가 마약을 만들어내죠?



아마도 이 반응을 통해서 슈도에페드린 ( Pseudoephedrine )  을  메스암페타민 ( Methamphetamine) 합성했지 않을까 하네요. 워낙 유명하니까... 메타암페타민은 그 유명한 필로폰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예전에 슈도에페드린이 종합감기약에 많이 들어갔었는데 요즘은 판피린 3형제처럼 클로르페니라민이나 메칠에페드린 같은 걸로 많이 바뀌었습니다. 판피린 3형제에 들어있는 성분으로는 메타암페타민으로 쉽게 바뀔 수 없어요. 물론 지금도 슈도에페드린 들어있는 제품들 있는데 액티피드가 대표적입니다. 삼일제약의 슈다페드 같은 슈도에페드린 성분의 약들은 가격도 어머어마하게 쌉니다. 이론적으로는 슈도에페드린이 들어있는 종합감기약을 대량으로 구입해서 간단한 추출로 슈도에페드린을 얻은 후 1step 반응으로 필로폰을 제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시스템상으로는  좀 힘들 것 같아요.


요즘 댓글을 보다가 영감을 받아 글을 쓰고 있습니다. 많은 댓글 부탁 드립니다. 저에게 글을 쓰는 원동력이 되고 있네요.



8
  • 그래도 아직은 게보린


리틀미
강의 중에 어떤 교수님이... \"작용기 한 두개 다른 약물을 보고 의사가 판단할 때 어쩌구\" 이러면서 리베이트에 대해 긍정적인 이야기를 했던 기억이 나네요. 카피약이 작용기 한 두개가 다를리도 없고... 슈도에페드린에서 OH 하나 떨어지면 메타암페타민이 되는 생리 작용의 신비함이란 직관적으로 이해하기란 거의 어려운 것 같아요.

제 댓글 보고 영감 받으신 것 같아서 신나네요 ㅋㅋ
damianhwang
구조활성 상관관계는 같은 계열 약물에 대해 쓰는 말이죠
스타틴계열중에 리피토 크레스토 리바로 메바로친 등등이 조금씩 다른 약동학 약력학 푸로파일을 가짐에 따라 임상적용이 달라지는 것요

카피약. 즉 제네릭은 완전히 같은 화학구조를 가지는 물질입니다.
제약공장에서 약 품질관리하는 실력은 회사마다 다를 수 있겠지만요
리틀미
작용기가 아니라 뭔가 다른 걸 착각해서 잠깐 실수한 얘기였을 거라고 생각해요. 좀 벙찌긴 했지만요 ㅋㅋ
damianhwang
그걸 곧이 곧대로 믿으면 골룸됩니다 흫흫
ORIFixation
아세트아미노펜 계열도 NSAIDs로 같이 묶어 지나요? 쓸때는 구분해서 썼던 기억이 있어서...
모모스
그러게요. 써놓고 보니 그러네요. 아세트아미노펜이 불분명한게 많으니 전체 맥락은 문제 없을 것 같습니다.
damianhwang
보통은 따로 이야기하죠..
개발되었을 때의 근본이 다른 친구라..
ORIFixation
할머니들이 속이 쓰리다고 하시는 분들도 많고 엔세이드 쭉쭉 쓰다가 위궤양 터지며 큰일나는 분들도 있어서 노인분들은 엔세이드 함부로 주기가 꺼려지네요ㅎㅎㅎ 그래서 울트라셋 이알로;;;
damianhwang
하지만 옥시콘틴이 출동한다면? ㅎㅎㅎ
ORIFixation
너무 토하시고 깔아지시는 분들이 많아요ㅎㅎㅎ 하긴 한참 페인 컨트롤 한다고 수술전에 옥시콘틴 올라와서 IR codon 이렇게 주기도 했었네요
April_fool
그래서 부작용 없이 COX-2만 억제하는 신약이 필요한 거군요.
April_fool
판토라는 약은 처음 들어보네요. 근데 저게 약물중독을 일으킨다니 놀라울 뿐입니다.
damianhwang
속붕정이나 액제 제형으로 용해 용출이 절약되는 시간을 보통 오분에서 십분정도 보니까. a에서 d로 가는 시간을 보통 삼십분 잡으니
절약이 꽤 되긴 하죠..
다만 액제는 보관이랑 생산관리등이 지랄맞아서 어떻게든 알약으로 만드려 하긴 합니다..
레지엔
사실 NSAID 쓸 때 빈도로는 위장관이 높지만 의사 입장에서 이거 무서워서 못 쓰는 경우는 드물고(안되면 깔아주면 되는 약들이 많아서), 진짜 크리티컬한 건 역시 가끔씩 랜덤하게 오는 간질성 신염->급성 신부전 테크트리가 아닌가 싶습니다. NSAID 남발했다가 응급실로 오고 다음날 신장내과에서 쳐들어와서 니 새끼가 의사가 맞냐고 까고 뭐 그런 거 가끔 보는데...
ORIFixation
신장 컨설트 볼때 많이 깨진 기억이;;;
종합감기약에 항히스타민제가 들어가는군요. 피부병 때문에 먹던 거라 신기하네요.
기아트윈스
오... 다음엔 하이드로코르티솔 좀 부탁해도 될까요? 애들 피부 트러블에 쓰는 약인데 아무리 약하다해도 스테로이드라 쓰기 무서워서요. 근데 안쓰면 피부 난리나고 쓰면 금방 좋아져서 아주 안 쓸 수도 없고 쓰면 걱정되고 그렇습니다.
모모스
저쪽에서 누가 물어보길래 여기다가 답해볼게요. 액상제제의 생체이용률은 높아집니다. 물론 약물에 따라 다르지만 액상을 만들때 용해보조제가 들어가므로 약물의 흡수가 용출에 의한 결정되는 약물들 예를 들면 용해도가 낮고 흡수율이 높은 약물들은 액상제제가 투여할 경우 생체이용률이 급격히 높아집니다. 모든 약물이 용해도가 높고 흡수율이 높은 게 아니므로 용해도가 낮고 흡수율이 낮은 약물일수록 액상제제의 생체이용률이 급격히 올라갑니다.
damianhwang
bioavailability는 보통 정맥주사를 기준으로 비율을 계산해서 내는건데.. 스포라녹스처럼 원래 ba가 형편없는 약은 아예 개선을 목표로 신제형을 개발하지만..
덱시부프로펜류의 약은 신제형과 기존 제형의 ba가 차이없이 생물학적으로 동등하다는 생동검사를 해서 허가를 받게됩니다.
흡수시간의 차이는 노린거지만 ba개선은 다른 문제입니다.
모모스
그럴 수도 있겠네요. 제 상식수준으로 쓴 글이라서 하지만 나프록센 제제는 제 이야기가 맞을 수도 있을 것 같아요. 나프록센 다른제제의 비해 탁센은 용량이 낮으니까요.
damianhwang
ba는 같은 용량에서 비교하는 것이라 용량이 낮은건 의미가 없습니다;
또한 투여경로가 다를 때 비교하는 게 원래 목적이라. 용출속도를 빠르게 하여 ADME에서 A단계를 줄이는 목적의 제형을 설계할때는
ba 개선이 아니라 a->d로 가는 시간이 얼마나 줄어드나를 보통 강조 포인트로 씁니다.
모모스
BA는 같은 용량에서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IV 투여대비 PO의 AUC 를 비교하는 것으로 Dose dependency 가 있는 구간에서 행하는 것입니다. 즉 IV 1mpk 에서 하더라도 PO는 dose dependency가 있는 구간이라면 10mpk 와 비교해서 환산해 각 AUC를 구해 BA를 구합니다. 용출시험이나 BE test랑은 달라요.. 맥으로 쓰니까 잘 안써지네요.
damianhwang
말씀하신 내용대로의 계산식에서 liquid form이랑 tablet form간의 ba는 어떻게 구하나요?
나프록센 제제의 용량 낮은 것과 용량 높은 것간의 ba는요?;;;

절대ba랑 상대ba가 약간 다른 개념이긴 하지만요 ;-)
모모스
BA=AUCpo/AUCiv  입니다. 일반적으로 dose denpendency  가 있는 구간에서는 AUCiv 비례합니다. D/AUC= CL(Clearance) parameter 일정한 값이니까요 따라서 BA는 우선IV 100mpk 데이터 있다고 가정하고 100~375mpk 가 dose denpendency 가 있는 구간이라고 가정하며 D/AUCiv =CL  로 일정한 momoexponetial decay 따른다고 가정할 시에 AUCpo250mpk/ AUCiv100mpk*2.5 : AUCpo375mpk/AUCiv100mpk*3.75 요렇게 계산하면 되겠네요.
damianhwang
제가 학교다닐때 관련 학점이 개판이라서 ;-)
그러니까 말씀하신 내용대로라면 iv, po tab, po liquid 세개를 놓고 po tab/iv 랑 po liquid / iv 를 계산해서 비교한다는 얘기가 되나요?
저도 맥쓰는 데 한글 입력기가 가끔 씹히네요 ㅠ;
pk관련 저널에서 덱시부프로펜이나 파라세타몰 액상제제 개발시 제출한 자료들 몇건 훑어봐도
동등성 시험 통과를 위해 생체이용률을 기존 제형과 같은 수준으로 맞췄다는 식의 연구밖에 없긴 하더라구요;

글구 나프록센 제제간의 용량 다른건 좀 다른 이야기 아닐까 싶... 더 보기
제가 학교다닐때 관련 학점이 개판이라서 ;-)
그러니까 말씀하신 내용대로라면 iv, po tab, po liquid 세개를 놓고 po tab/iv 랑 po liquid / iv 를 계산해서 비교한다는 얘기가 되나요?
저도 맥쓰는 데 한글 입력기가 가끔 씹히네요 ㅠ;
pk관련 저널에서 덱시부프로펜이나 파라세타몰 액상제제 개발시 제출한 자료들 몇건 훑어봐도
동등성 시험 통과를 위해 생체이용률을 기존 제형과 같은 수준으로 맞췄다는 식의 연구밖에 없긴 하더라구요;

글구 나프록센 제제간의 용량 다른건 좀 다른 이야기 아닐까 싶은데요;
다른 용량으로 같은 효과를 얻는게 아니고서야;

아 혹시 아나프록스랑 낙센 이야기라면 (naproxen sodium vs naproxen)이라면 그건 타당할 수 있겠네요;
모모스
요런 것 큐즈로 낼 수도 있죠. ㅋㅋㅋ 맞아요. 보통 우리가 많이 접하는 비슷한 제형으로 하는 BE test 랑은 많이 다릅니다. 이런 경우 독성실험도 다시해야하고 dose dependency 실험도 다시해야하고 toxicokinetics도 다시 해야하는데 몇가지 bridge test로 퉁치죠. 이제 그만 저 밑천드러납니다.
damianhwang
모모스 님// 뭐 현실적으로는 돈문제를 고려해야 하니까요 ;-)
in vitro test 수두룩 빽빽해도 실제 in vivo는 또 다른 문제기도 하고요;^^;
TI가 왠만큼 되는 약들이면 그거 좀 바뀐다고 환자 어케 되는거 아니니 퉁친다고 봐야 ;;

그나저나 한글입력기는 여전히 빡치네요;;;바람이나 구름 다 맘에 안들어서 다시 기본 입력기로 돌아왔는데..
툭하면 씹어대서;;ㅠㅠ;
맥쓴지 25년도 넘었지만 최근이 제일 개판입니다;;;
NSAIDS얘기는 아닌데...개인적으로 궁금한게 있음다

antihistamine은 어떤가요?? 지르텍 주구장창 달고 살아도 괜찮은가요?
군대가서 접촉성 피부염같은걸 얻어왔는데 컨트롤이 안돼다가 결국 여차저차 스테로이드로 누르고 항히스타민제로 억제하고있습니다
근데 피부병쪽은 좀 많이 나아졌는데 한밤중에 갑자기 온몸이 가려워져서 상처나게 벅벅 긁어버리게 되는 순간들이 좀 있어서 세티리진을 먹는데
집에도 놔두고 회사에도 놔두고...평생 먹어야되나 싶네요. 페니라민이나 푸라콩이나 세티리진 이런거 달고 살아도 될까요?
damianhwang
항히스타민제는 진정작용 때문에 생활에 방해받는 부분만 없다면 장기복용에 대한 문제는 일단 없는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세상의빛
어떤 약이든 부작용의 위험을 내재하고 있습니다. 때로는 환자의 생명을 앗아갈 수 있는 치명적인 부작용의 위험은 약을 처방할 때 의사를 고민하게 만듭니다. 약이 줄 수 있는 이득과 해악을 항상 염두에 두고 이득을 늘리고 해악을 최소화하는 방향을 고민하게 되지요. 글쓴 분께서 NSAID계열 약들에 대해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글을 쓰신 것도 이런 측면으로 이해합니다. 저도 조금만 아프면 판피린 드시는 어르신 분들 열심히 말리고는 있는데 쉽지 않네요 ㅠㅠ
하나 덧붙이자면, NSAID계열 약들의 위장관계 부작용(특히 위장관 출혈)은 양성... 더 보기
어떤 약이든 부작용의 위험을 내재하고 있습니다. 때로는 환자의 생명을 앗아갈 수 있는 치명적인 부작용의 위험은 약을 처방할 때 의사를 고민하게 만듭니다. 약이 줄 수 있는 이득과 해악을 항상 염두에 두고 이득을 늘리고 해악을 최소화하는 방향을 고민하게 되지요. 글쓴 분께서 NSAID계열 약들에 대해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글을 쓰신 것도 이런 측면으로 이해합니다. 저도 조금만 아프면 판피린 드시는 어르신 분들 열심히 말리고는 있는데 쉽지 않네요 ㅠㅠ
하나 덧붙이자면, NSAID계열 약들의 위장관계 부작용(특히 위장관 출혈)은 양성자펌프억제제(PPI)를 같이 사용하면 상당부분 줄이거나 예방할수 있습니다. 요새는 비모보 정 같이 NSAID/PPI 병합제제도 쓰이고 있습니다. 또 NSAID 및 COX-2 차단제 계열 약의 무시할 수 없는 부작용은 심혈관계 부작용입니다. COX-2 차단은 혈관 프로스타사이클린(vascular prostacyclin)의 합성을 억제하여 심근경색 밍 혈전증과 같은 심혈관계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COX-2 차단제의 일종인 로페콕시브와 발데콕시브는 시장에서 퇴출되었죠.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성이 높거나 질환이 있는 분들은 이 계열 약을 피하는 것이 좋으며, 꼭 써야하는 상황이라면 심혈관계 위험도가 낮은 편인 나프록센 사용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반에반에반 정도 알아듣는둥 마는둥이긴 한데 .. 편두통이 간혹 있어 며칠씩 타이레놀을 먹다가 .. 최근에 탁센을 알게 되서 탁센을 며칠씩 먹은 적도 있는데.. 조심해서 먹어야 겠네요..
사나운나비
....우리 86세 외할머니가 판피린 신봉자입니다. 흑흑흑흑... 세상에서 제일 좋은 선물은 판피린이고, 다른거 다 필요없고 판피린만 사다드리면 그렇게 기뻐하세요..
하루에 두 병, 세 병씩 들이키시는데 그걸 먹어야 살 수 있다며.. 안그러면 너무 아파서 잠도 못자고 아무것도 못한다고 그러셔요. 아무리 말려도 들은 척도 안하세요. 본인이 드시면서 살 것 같다고 느끼시니까 계속 드시고 계신 것 같아요.
안그래도 걱정이 많았는데 큰일이네요... 말리는게 불가능한 분이신데..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28 기타정도전 22화 2 천하대장군 15/06/06 15211 0
6037 IT/컴퓨터전일제 비전공자 코딩교육 업체에 대한 간단한 정리. 21 April_fool 17/08/01 15113 0
137 기타[불판] 히오스 ASD(한국팀) VS eStar(중국팀) 골드리그 3경기 6 Leeka 15/05/31 15072 0
3331 IT/컴퓨터어느 게임 회사 이야기 (13) 13 NULLPointer 16/07/23 15070 4
2321 기타제가 재미있게 했던 오락실 게임 4탄.jpg 5 김치찌개 16/02/29 15048 0
937 기타피시방 요금 설명과 흡연 신고 방법 11 하드코어 15/09/07 15027 0
1237 생활체육[F1] 그 재미를 느껴보자 -6 : F1 용어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2) 8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5/10/12 14965 0
509 영화터미네이터 2의 삭제된 엔딩... 21 Neandertal 15/07/04 14956 0
271 기타정도전 28화 천하대장군 15/06/08 14906 0
566 문화/예술예술가와 작품은 분리될 수 있는가? 53 Raute 15/07/11 14853 0
5060 꿀팁/강좌[사진]어떻게 하면 사진에 잘 나올까 - 인물사진 포즈 16 사슴도치 17/03/03 14835 3
1897 생활체육인테르 팬으로서 가장 행복했던 2009-2010 챔피언스리그 시즌을 돌아봅니다. 26 darwin4078 15/12/31 14823 3
2592 의료/건강이부프로펜, Cyclooxygenase, 아스피린 이야기 46 모모스 16/04/11 14777 6
1150 생활체육[F1] 그 재미를 느껴보자 -2 : 깃발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8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5/10/01 14757 3
520 기타장기 묘수풀이 하나 풀어보세요. (댓글에 해답 있음) 37 위솝 15/07/05 14753 0
5008 꿀팁/강좌[사진]렌즈의 초점거리에 따른 원근감의 변화를 알아봅시다. - 원근 왜곡 11 사슴도치 17/02/25 14733 4
1536 문화/예술모 웹툰의 디테일과 배경 수준 10 블랙이글 15/11/12 14732 0
2605 의료/건강판피린 3형제 이야기 32 모모스 16/04/13 14724 8
1429 문화/예술F(x) 4 Walls 가사 파고들어가보기 6 王天君 15/11/02 14696 4
111 기타이곳은 pgr21이 아닙니다. 17 아저씨 15/05/31 14670 0
3380 댓글잠금 일상/생각메진요 67 王天君 16/07/28 14562 3
415 기타빙빙돌아라 25 시부야린 15/06/23 14560 0
3344 IT/컴퓨터어느 게임 회사 이야기 (15) 16 NULLPointer 16/07/24 14554 3
7814 스포츠[사이클] 펠로톤(Peloton)에 대하여 7 Under Pressure 18/07/09 14535 7
1005 IT/컴퓨터iPad로 paperless 생활하기. 20 베이지안 15/09/16 14535 3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