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6/03/09 14:13:51 |
Name | 눈부심 |
Subject | 서구의 세대양극화 |
http://www.theguardian.com/world/2016/mar/07/revealed-30-year-economic-betrayal-dragging-down-generation-y-income 1980년대에서부터 1990년대 중반의 해에 태어난 이들을 두고 서구에서 Generation Y라고들 하는데 이들의 소득은 기성세대의 소득보다 엄청난 차이로 급격하게 낮아졌습니다. 30년 전 젊은 세대의 소득은 국민평균소득보다 높은 편에 속했지만 지금은 평균보다 20%나 모자란 소득을 벌고 있습니다. 대신 연금수령자들의 소득은 가파르게 상승 중이고요. 아래 표는 각 나라의 세대별로 국민평균에 비해 증가하거나 하락한 가처분소득을 보여주고 있어요. ![]() 그러니까 젊어서 열심히 일해 벌어 들이는 가처분 소득이 은퇴하고 연금을 수령하고 사는 이들의 가처분 소득보다 훨씬 적어요. 영국은 연금수령자의 가처분소득이 젊은 세대보다 3배나 많다고 합니다. 세대 간 양극화가 심화되면 부모의 재산이 큰 영향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더더욱 사회가 불평등하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우리 나라 자료는 나오지 않지만 비슷한 이야기라 가지고 와 봤어요. 단 우리나라의 경우 노인빈곤층이 젊은이들의 빈곤층보다 더욱 두텁다는 차이가 있겠네요.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눈부심님의 최근 게시물
|
http://ridibooks.com/v2/Detail?id=222000952
저도 이 책에서 비슷한 내용 읽었는데; 대부분의 서구 사회가 겪을 문제같더군요;
한국은..에효...그만큼 누려보지도 못하고 당하게 생겼;
저도 이 책에서 비슷한 내용 읽었는데; 대부분의 서구 사회가 겪을 문제같더군요;
한국은..에효...그만큼 누려보지도 못하고 당하게 생겼;
이미 재벌은 코어비지니스도 다른 동네로 옮기는 중이지요.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092135541 리서치 센터를 이렇게 크게 하면 국내서 더 이상 10년 후에는 박사급 인재를 뽑을 필요도 없을 듯 싶어요.
저는 제너레이션Y 입니다. 신난다.
http://mediaspider.joins.com/?art_id=A14121227362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8/31/2015083101326.html
확률가족이라는 책이 있었고 관련 전시회도 다녀왔었는데 참 기억에 많이 남더군요. 내가 얼마나 잘 살지는 부모 부동산도 아니고 내 소득도 아니고, 부모의 소득에 가장 크게 의존한다네요. 신난다. 내가 흙수저라니.
http://mediaspider.joins.com/?art_id=A14121227362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8/31/2015083101326.html
확률가족이라는 책이 있었고 관련 전시회도 다녀왔었는데 참 기억에 많이 남더군요. 내가 얼마나 잘 살지는 부모 부동산도 아니고 내 소득도 아니고, 부모의 소득에 가장 크게 의존한다네요. 신난다. 내가 흙수저라니.
한국의 경우를 살펴봐도 세대간 복지부담과 수혜에 대한 논란이 심각한 수준입니다. 실제로 국민 1명이 전 생애에 걸쳐 받는 사회보장 순부담(부담-혜택)의 크기를 살펴보면 세대별로 큰 격차를 보이거든요. 고령층으로 갈수록 부담보다 혜택이 많고, 나이가 젊을수록 순부담이 늘어나요.
LG경제연구원의 연구 결과를 보면 현 30대의 생애 순부담은 1억9000만원(2011년 기준)으로 나와요. 평생 동안 총 12억7000만원의 조세 부담을 지는 대신 받는 혜택은 10억8000만원밖에 안되는거죠. 근데 40대의 순부담은 620만원으로 크게... 더 보기
LG경제연구원의 연구 결과를 보면 현 30대의 생애 순부담은 1억9000만원(2011년 기준)으로 나와요. 평생 동안 총 12억7000만원의 조세 부담을 지는 대신 받는 혜택은 10억8000만원밖에 안되는거죠. 근데 40대의 순부담은 620만원으로 크게... 더 보기
한국의 경우를 살펴봐도 세대간 복지부담과 수혜에 대한 논란이 심각한 수준입니다. 실제로 국민 1명이 전 생애에 걸쳐 받는 사회보장 순부담(부담-혜택)의 크기를 살펴보면 세대별로 큰 격차를 보이거든요. 고령층으로 갈수록 부담보다 혜택이 많고, 나이가 젊을수록 순부담이 늘어나요.
LG경제연구원의 연구 결과를 보면 현 30대의 생애 순부담은 1억9000만원(2011년 기준)으로 나와요. 평생 동안 총 12억7000만원의 조세 부담을 지는 대신 받는 혜택은 10억8000만원밖에 안되는거죠. 근데 40대의 순부담은 620만원으로 크게 줄거든요. 심지어 50대부터는 혜택이 부담보다 많아지는데, 50대는 순혜택이 8000만원이에요. 60대는 9억3000만원의 부담을 지고, 11억5000만원의 혜택을 받아서 2억원 이상의 생애 순혜택을 본다고 전망하고요.
2014년 한국은행도 비슷한 연구 결과를 발표한 적이 있어요. 정부의 재정과 각종 공공 연금, 보험, 세금 등이 현재 상태(2011년 기준)를 유지한다고 할 때 세대별로 순부담이 어느 정도인지 따져본거죠. 5세 단위로 추정한 결과 현 30~35세 미만의 순부담이 1인당 1억1243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현 15세~40세 미만은 모두 순부담이 1억원 이상이었어요. 그러다 나이가 많을수록 순부담이 줄어들고, 55세 이상이면 순부담은 음수(-)로 바뀌거든요. 60~65세 미만은 4422만원으로 순혜택이 가장 크고요. 보고서에 보면 “현 시스템이 유지되고 (저출산과 고령화를 중심으로 한) 장래인구추계가 맞아 떨어진다면 2012년 이후 태어난 미래 세대의 1인당 순부담액은 약 4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어요. 막말로 날 때부터 빚지고 태어나는거죠. 이러다 진짜 죽창이라도 들어야 할지도 모르겠어요.
LG경제연구원의 연구 결과를 보면 현 30대의 생애 순부담은 1억9000만원(2011년 기준)으로 나와요. 평생 동안 총 12억7000만원의 조세 부담을 지는 대신 받는 혜택은 10억8000만원밖에 안되는거죠. 근데 40대의 순부담은 620만원으로 크게 줄거든요. 심지어 50대부터는 혜택이 부담보다 많아지는데, 50대는 순혜택이 8000만원이에요. 60대는 9억3000만원의 부담을 지고, 11억5000만원의 혜택을 받아서 2억원 이상의 생애 순혜택을 본다고 전망하고요.
2014년 한국은행도 비슷한 연구 결과를 발표한 적이 있어요. 정부의 재정과 각종 공공 연금, 보험, 세금 등이 현재 상태(2011년 기준)를 유지한다고 할 때 세대별로 순부담이 어느 정도인지 따져본거죠. 5세 단위로 추정한 결과 현 30~35세 미만의 순부담이 1인당 1억1243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현 15세~40세 미만은 모두 순부담이 1억원 이상이었어요. 그러다 나이가 많을수록 순부담이 줄어들고, 55세 이상이면 순부담은 음수(-)로 바뀌거든요. 60~65세 미만은 4422만원으로 순혜택이 가장 크고요. 보고서에 보면 “현 시스템이 유지되고 (저출산과 고령화를 중심으로 한) 장래인구추계가 맞아 떨어진다면 2012년 이후 태어난 미래 세대의 1인당 순부담액은 약 4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어요. 막말로 날 때부터 빚지고 태어나는거죠. 이러다 진짜 죽창이라도 들어야 할지도 모르겠어요.
호주는 유독 정반대의 경향을 보이는데 거긴 왜 그럴까 궁금하네요. 거긴 일자리도 잘 없다던데.
https://www.youtube.com/watch?v=44aNi4UgYAo
자연의 힘인가!
https://www.youtube.com/watch?v=44aNi4UgYAo
EP 3 - HUGE MUDCRABS Caught BAREHANDED - Catch n Cook - With BUTTER LEMON Sauce!
자연의 힘인가!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