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6/05 13:57:35
Name   ArcanumToss
Subject   요즘 제가 하는 감기(메르스) 예방 생활 참고하세요.
저는 박원순 서울시장님의 행보를 지지합니다.
하지만 이미 메르스로 인한 격리자 수가 1000명을 넘은 지금은 이미 거의 통제 불능 상태에 치달은 것으로 보입니다.
자택 격리도 좋고 다 좋지만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으니

- 메르스가 전파되는 속도를 늦출 수 있도록 메르스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 개개인들이 취할 수 있는 메르스 예방법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 메르스에 감염되었을 때에 전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병원을 확보함으로써
- 시민들을 안심시키는 것이

최선의 조치가 아닌가 합니다.
아... 저는 전문가는 절대 아닙니다.
의료쪽으로는 공부해 본 적도 없고 컴퓨터를 좋아하는 평범한 소시민일 뿐입니다.
그러니 제가 아래에 적을 것들은 지극히 평범하고 상식적인 것들 뿐입니다.
하지만 감기 예방에는 매우 효과적이라고 생각합니다(사실 메르스는 감기일 뿐이니까요).
그리고 감기는 본질적으로 '치료 백신'이라는 것을 개발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감기로 인한 대증 치료는 모두 가능)해서
그저 우리의 면역력이 잘 작동하도록 해서 그것을 충실히 겪어내도록 하는 것이 최선의 치료법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감기로 인해 나타나는 콧물, 기침, 가래, 오한 등은 우리의 몸이 감기 바이러스와 싸우는 과정 중에 나타나는 현상들이고 이것은 건강한 몸의 면역 체계가 제대로 작동하는 것이니 오히려 인위적으로 통제하는 것은 안좋을 수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정도가 지나치면 안 좋을테니 그럴 때에는 약을 좀 먹어주는 것도 방법일테죠(하지만 개인적으로 저는 약을 안 먹고 그냥 잘 먹고 몸을 따뜻하게 해 주고 푹 쉬면서 자가치유를 하는 것을 선택하는 편입니다).
메르스의 경우도 감기이기 때문에 다를 것은 없다고 알고 있습니다.
평소에 감기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을 하듯 하면 메르스에는 웬만하면 감염되지 않고 감염되더라도 치료법은 존재하니 걱정할 필요는 없다는 생각입니다.
예를 들어 호흡기 장애, 급성 신부전, 소화기 장애가 메르스의 대표적 특징들이지만 이에 대한 치료법은 모두 존재하는 것으로 압니다.
그러니 호흡기 장애가 오면 이에 대한 대증 치료를 하고 급성 신부전이 오면 이에 대한 대증 치료를 하고 소화기 장애가 오면 이에 대한 대증 치료를 하면 우리 몸의 면역력이 자연스레 메르스 바이러스를 이겨내어 회복(위에서 '우리의 면역력이 잘 작동하도록 해서 그것을 충실히 겪어내도록 하는 것이 최선의 치료법'이라고 한 것이 이런 뜻입니다)될 것이라 생각하고 확인을 해 보니 의사들도 동의하더군요.
다만 우리나라에서 메르스로 인한 사망자가 나오는 것은 이미 메르스의 대표적인 3 가지 특징이 이와 관련된 기저질환을 가진 환자들과 맞물려서 일어난 것일 뿐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어쨌든 간단히 정리하면 우리의 면역력이 제대로 작동하는 한 메르스도 감기일 뿐이니 충분히 예방이 가능하고 자연치유도 가능합니다.
물론 제일 좋은 것은 예방이겠죠.
최초의 메르스 환자가 평택에서 치료를 받다가 수원으로 옮겨가려다 쇼크가 와서 화성의 동탄에 있는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저는 봉담 지역에서 살고 있고 수원과 동탄을 수시로 왔다갔다 하면서 지내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도 장대비가 쏟아질 때는 일단은 비를 피하는 것이 우선이라 메르스 예방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하는 것을 보니 역대 최고의 무능함을 보여주니 자구책을 강구한 것이죠. ^^
국민은 메르스로 공포에 떨고 있는데 정쟁이나 하고 있고 대책은 세월와 네월아를 넘어서 오월아 유월아를 하고 있으니...
그런데 박원순 서울시장님이 정보를 공개하니 빛의 속도로 까대는 것을 보면 썩을대로 썩은 여당의 정치의 현주소가 여지없이 드러나더군요.
아이고... 워낙 정부의 무능에 쌓인 것이 많아서 이런 말을 하면 한도 끝도 없으니 일단 메르스 예방을 위해 제가 하고 있는 것들을 적어보겠습니다.



1. 아침에 일어나면 제일 먼저 뜨거운 물을 끓여서 마십니다.
뜨거운 물을 마시는 것은 체온 상승을 통한 면역력 상승을 위함입니다.
몸이 따뜻해지면 면역력이 상승하는 것으로 알고 있고 그 효과가 상당한 수준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점심과 저녁에도 뜨거운 물을 끓여서 마십니다.

2. 세수를 할 때 미지근한 정도보다 약간 더 따뜻한 물로 하고 손(+손목), 발(+발목)을 비누로 꼼꼼하게 씻어줍니다.

3. 시간적 여유가 있으면 아침과 저녁에 족욕을 해 줍니다.
무릎 바로 밑까지 담글 수 있는 통에 43도 물을 붓고 20분 이하로 족욕을 합니다.
온도계를 꽂고 43도를 꾸준히 유지해 줍니다.
족욕이 끝나면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해서 땀을 씻어냅니다.
매번 비누칠을 하는 것이 부담되긴 하지만 메르스바이러스가 비누칠에 약하다니 요즘은 거의 비누칠을 합니다. -_-;
피부가 좀 걱정이 되긴 하지만 이럴 때는 해줘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4. 영양가가 듬뿍있는 식사를 합니다.
두부, 채소, 과일, 100% 현미, 비타민씨, 그리고 소금류와 설탕류는 거의 먹지 않습니다.
비타민씨는 하루 세번 좀 많다 싶은 양으로 챙겨서 먹습니다.

5. 야외 활동을 통해 햇빛을 쬐어 비타민D를 생성해 줍니다. ^^
외출이 싫다면 베란다에서~ ^^

6. 출타할 때는 누가 뭐라든 마스크를 씁니다.
내가 메르스에 감염되었을 수도 있고, 이곳저곳 돌아다녀야 하는 직업적 특성도 있고, 제가 먼지에 좀 민감한 편이기 때문에 마스크를 꼭 씁니다.
일반 면 마스크, 황사 마스크 둘 다 쓰는데 장기 출타시에는 황사마스크를 쓰고 집앞에 잠시 나갈 때는 면 마스크를 씁니다.
면마스크는 하루에 한번 뜨거운 물에 끓여주고 황사 마스크(KF80)는 혹시 몰라 소독용 에탄올을 듬뿍 뿌리고 쓰레기통에 버립니다.
에탄올이 아까우니 끓인 후에 말려서 버리는 것을 고려중입니다.

7. 손을 비누로 자주 씻어줍니다.
당연히 꼼꼼하게 손목까지 뽀드득 뽀드득 씻어줍니다.
비누가 없는 곳이 많아 비누 휴대를 고려중입니다.

8. 술을 마시지 않습니다.
피로하면 면역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9. 일찍 귀가해서 되도록 일찍 자려고 노력하고 푹 자지 못했다면 어떻게든 8시간은 채우려고 노력합니다.
피로하면 면역력이 떨어지니까요.

10. 땀이 나는 운동을 30분 정도를 해 주고 따뜻한 물에 샤워를 합니다.

11. 외출시 반팔보다는 긴팔을 입어서 약간 덥다는 느낌이 들게 합니다.
역시 몸이 따뜻하면 면역력이 향상되기 때문에요.

12. 애완견이 있는데 요놈들이 털이 좀 날리기 때문에 거실에 두지 않고 작은 방 하나에 몰아두고 키우고 있습니다.
제 호흡기는 소중하니까요.
당분간은 이렇게 할 생각이고 작은 방에 들어갈 때는 털을 마시지 않도록 면 마스크를 씁니다.


다 적고 보니 좀 유난을 떠는 제 생활입니다만 이런 때에는 좀 유난을 떨어주는 것이 좋다는 생각입니다.
이렇게 하면 메르스에 대한 막연한 공포도 없고 건강 관리에도 좋으니 해서 손해볼 것은 없겠고요.
어쨌든 역대 최악의 무능 정부를 믿지 말고 스스로 건강관리를 합시다.
그리고 박원순 서울시장님도 개인의 건강관리 방법 소책자와 마스크를 확보하고 공공장소에 비누가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해 주셨으면 하네요.
당연히 전국의 모든 지자체들이 이렇게 했으면 하고요.
이렇게 해 주지 않아도 비누를 휴대하는 등 개인 건강 관리에 신경을 쓰면 '메르스 OUT !!!'이 되는 데에 쏠쏠한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ps.
메르스는 감기고 감기는 개인 건강 관리를 통해 얼마든지 예방이 가능하고 걸리더라도 대증 치료를 통해 충실히 겪어내면 자연치유가 된다는 생각에 제가 하는 건강 관리 방법을 적어봤는데 똑같이 하지는 않더라도 참고할 정도는 되길 빕니다.



0


    西木野真姫
    이번 프로젝트만 순조로이 마감되면 슬슬 정상화 될 수 있겠지요...
    (이번주는 맨날 26시 퇴근이었으니... 5월달에 출근 안한 날은 2일 뿐이었고...)
    양웬리
    뭐랄까 하나하나 다 수긍이 가는 좋은 글이고, 회원들님들의 건강을 걱정하는 뜻에서 쓰신 글이겠지만
    개인적으로 의료관련해서는 비전문가의 글은 믿지 말아야 된다는 것을 여러 사건을 통해 배운터라
    글쎄요...
    영현군
    감기예방으로 생각한다면
    굉장히 상식적이지만 알면서도 쉽게 지키지 못하는 것들을
    잘 정리해놓은 글이라 봅니다
    ArcanumToss
    저 내용 중에 당분간 저렇게 생활한다고 해서 건강에 오히려 해롭다거나 메르스에 더 감염될 확률이 높게 하는 건 없다고 봅니다.
    양웬리님이 보여주시는 합리적 의심이 너무나도 부럽습니다. ㅠㅠ;; 그나마 관련 전공자로서 말씀드릴 수 있어서 다행이군요.

    엄밀히 따지면 메르스로 의심되는 현 질환은 일종의 독감과 비슷한 호흡기 질환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감기/독감에 대한 대응법만 잘 숙지하고 따라도 특별한 문제를 일으킬 건 없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XX를 먹으면 면역력이 높아진다!라는 허무맹랑한 사이비들만 조심하면 될 듯 합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이대로만 제대로 잘 따르시면 상당히 좋은 예방책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왜자꾸시비네AI
    좋은 내용입니다. 여기에 꾸준한 양치질 추가해봅니다.
    켈로그김
    좋은 글인데 딱 하나만 테클(?) 걸께요.

    현미100%는 먹기 어려워요.. 그냥 7분도나 5분도.. 아니면 현미+백미로 드세요.. 그래도 괜찮아요 ㅡㅡ;;
    ArcanumToss
    그렇겠군요.
    저는 워낙 몇개월 전부터 100% 현미를 먹던 터라.. ^^;
    아케르나르
    저도 어디서 보기로는 현미100% 현미밥을 처음 접한 현대인? 들의 대부분은 현미밥을 잘 못 먹는다고 하더라고요. 근데 뭐 예외는 있는 법이라, 저는 무척 좋아합니다. 밥이 싱겁지 않고, 씹는 맛이 있어서요.
    ArcanumToss
    현미를 좀 질게 하면 백미랑 별다를 것도 없더라고요.
    아케르나르
    흐흐.. 전 진 밥은 또 잘 못 먹어서.. 뜨거운 거 못 먹는 고양이혀라 그런가봐요.
    왜 저는 현미 100%를 먹는데 살이 안빠지는 건지 ㅠㅠ 이건 밥맛이 좋은 탓에 순전히 양이 늘어서 그런겁니다???
    좋은 글 이네요. 관련 전공자보다 건강에 대해 더 핵심을 잘 아시는 것 같아서 부럽습니다.

    한가지만 추가하면, 물을 자주 드시라는 것을 추가하셨으면 좋겠습니다. 특히나 더워지는 시기에 탈수가 겹치면 면역력이 낮아지기 쉬우니까요. 특히, 혈압약을 드시는 분이 계신다면 의사의 권고대로 비타민을 드시는 것을 권합니다. (물론, 건강하신 분들이 굳이 비타민을 과하게 드실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ArcanumToss
    그냥 살아오면서 주워들은 것들을 실천할 뿐인데 전공자보다 건강에 대해 핵심을 잘 아는 것 같다는 말씀은 좀 부끄럽군요.
    그런데 저는 물을 많이 마시기 보다는 적당히 마시려고 노력합니다.
    낮에 물을 너무 많이 마시면 화장실에 너무 자주 가게 돼서 불편하고 자다가 소변이 마려워서 숙면을 못 취하게 되기 때문에...
    그래서 아침과 낮에는 물을 의식적으로 좀 마셔주고 저녁 즈음이 되면 물보다는 수분이 많은 채소나 블루베리를 먹는 편입니다.
    오늘 회사에서 마스크를 나누어주더군요. 오늘 동료들이랑 이야기하고 느낀 건 운동을 해서 면역력을 높이자는 정도...;
    ArcanumToss
    오호... 좋은 회사네요.
    허긴 회사 입장에서도 인적 자원 관리가 굉장히 중요하니 당연히 그래야죠.
    좋은 건가요. 저는 마스크를 받으면서 참 묘한 기분이었는데 ㅜ. 열심히 일하라는...
    물론 마스크를 못 구한 저에게는 좋은 선물이었습니다 ㅜ. 퇴근시에 쓰니 한결 마음이 편하더군요.
    다들 마스크 하세요. 두번 하세요. 확실히 하니 마음이 평온해지더군요. 그걸로 저는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운동을 너무 많이하면 면역력이 떨어지기도 합니다.
    요즘 같은 때는 적당히 하는 게 좋은 것 같습니다.
    사이바팡크
    감사합니다. 요즘 면역력이 약해진것 같았는데 어떻게 해서 이 글까지 찾아오게 되었네요 추가로 https://goblinslayer1.tistory.com/entry/면역력-강화에-도움되는-습관과-음식 이런 글을 한번 보셔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20 기타요즘 제가 하는 감기(메르스) 예방 생활 참고하세요. 19 ArcanumToss 15/06/05 8927 0
    221 기타[서평] 가계부채는 왜 위험한가?, <빚으로 지은 집> 23 그녀생각 15/06/05 10709 0
    223 기타최근 재미있게 보고 있는 예능(?) 한식대첩 이야기 9 힙합아부지 15/06/05 9032 0
    224 기타남성의 정력을 증강시키는 운동 67 스타-로드 15/06/05 16075 0
    225 기타2007-09 불황은 어떤 사람에게 가장 피해를 줬을까? (링크 수정) 3 낭만토토로 15/06/06 8283 0
    226 기타잘 지내요?.. (4) 8 박초롱 15/06/06 9489 1
    227 기타정도전 21화 4 천하대장군 15/06/06 15250 0
    228 기타정도전 22화 2 천하대장군 15/06/06 15214 0
    229 기타정도전 23화 2 천하대장군 15/06/06 15945 0
    230 기타송창의 + TV조선 = ? 2 마로니에 15/06/06 10497 0
    231 기타[회전목마의 심야영화] 악의 연대기 6 회전목마 15/06/06 9774 0
    232 기타Not the same old song and dance 11 레지엔 15/06/06 8697 0
    233 기타ROM 족 약 30년만의 커밍아웃 16 이젠늙었어 15/06/06 8283 0
    234 기타메르스 슈퍼스프레더 (Superspreader)? 21 Zel 15/06/06 11318 0
    235 기타적금 만기된 사연 15 블랙밀크티 15/06/06 8773 0
    238 기타2015년, 핫한 色 : Marsala(마르살라) 5 비빔면 15/06/06 9162 0
    239 기타간장파와 고추장파 17 Holy shit ! 15/06/06 9597 0
    240 영화산 안드레아스 보지마세요. 40 세계구조 15/06/06 16831 0
    242 기타업로더 16 김치찌개 15/06/07 9065 0
    243 기타[스포] 대부 보고 왔습니다. 3 王天君 15/06/07 7662 0
    244 기타동시에 대부 비판적으로 바라보기 1 王天君 15/06/07 10608 0
    245 기타586 컴퓨터 30 김치찌개 15/06/07 11850 0
    246 기타정도전 24화 2 천하대장군 15/06/07 13123 0
    247 기타보글보글 6 헬리제의우울 15/06/07 9247 0
    248 기타정도전 25화 4 천하대장군 15/06/07 13383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