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5/05/24 08:12:21
Name   다마고
Subject   이재명에게 중재자로의 변화를 바라며
한국 정치에서 대중은 흔히 ‘중재자’보다 ‘해결사’를 더 신뢰해 왔습니다. 복잡한 갈등을 조정하는 이보다, 단호하고 빠르게 결론을 내리는 인물에게 더 강한 지지를 보내는 경향이 있습니다. 임기 중에 노무현 대통령의 조정적 리더십이 흔들렸던 것도 이러한 대중 심리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이재명은 이러한 사회적 정서를 간파한 듯, 정치 무대에 ‘해결사’ 이미지로 등장했습니다. 성남시장과 경기도지사 시절, 강한 추진력과 속도감 있는 정책으로 실적 중심의 리더십을 구축했습니다. 그의 직설적이고 감정이 담긴 화법은 ‘사이다 발언’으로 소비되며, 지지층의 열광을 이끌어냈습니다. 

  

이재명 화법의 딜레마

이재명의 화법은 강력하고 단순하며, 통쾌합니다. 문제의 원인을 명확히 규정하고, 적대적 대상에게 비판을 집중시키며, ‘국민 편에 선다’는 이미지를 강화합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화법은 반복될수록 양면적 부작용을 낳습니다.


첫째, 그의 언어는 종종 갈등의 양극화를 강화합니다. ‘누가 적인가’를 분명히 하기 위해 동원되는 단어들은 정치적 상대뿐 아니라 중도 유권자까지도 불편하게 만듭니다. 정치적 동지에게는 결집 효과를 주지만, 반대 진영에는 혐오와 반발을 유발하며, 결과적으로 협치의 가능성을 차단합니다.


둘째, 그의 발언은 때로 사실보다 감정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강한 수사적 표현은 현안을 단순화하고, 감정을 동원하여 공감을 유도하지만, 그만큼 복잡한 현실을 설명하는 데는 취약합니다. 이는 국정 운영에 필요한 정책의 설계 능력보다 ‘정치적 프레이밍’에 능한 인물이라는 인식을 낳게 됩니다.

  

이러한 화법은 시간이 지날수록 정치적 피로감을 누적시켰으며, 보수 진영의 조직적 반발을 더욱 강하게 자극했습니다. 

  

대통령이 되기 위한 화법의 재구성

이제 그의 중재자 역할은 선택이 아니라 구조적 제약의 산물입니다. ‘싸움의 정치’로는 더 이상 유의미한 변화를 만들 수 없으며, 다층적인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해관계를 조율하고, 합의를 이끌어내는 리더십이 필요합니다. 이재명이 이를 인식하고 새로운 정치 언어로 전환하지 않는다면, 그의 리더십은 더 큰 벽에 부딪힐 것입니다.

대통령은 문제를 ‘때리는’ 사람이 아니라, 문제를 ‘이해시키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이재명의 화법이 진정한 지도자의 언어로 진화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전환이 필요합니다.
  • 첫째, 분노와 단죄의 언어에서 벗어나, 공감과 설득의 서사를 갖춘 화법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     
  • 둘째, 즉각적인 반응을 넘어, 장기적 설계와 정책 비전이 담긴 복합적 언어의 구성력이 필요합니다.
  •     
  • 셋째, 감정적 공세 대신 정제된 판단과 책임감 있는 언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국민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은 강한 말이 아니라, 공동의 미래를 설계하는 신뢰의 언어입니다.


중재는 굴복이 아니라 성숙입니다

한국 정치에서 중재자는 종종 무기력한 인물로 오해받습니다. 하지만 실은, 진정한 중재자는 갈등을 직면하고, 조정하며, 지속 가능한 해법을 설계하는 능력자입니다. 이재명이 단순한 해결사를 넘어서, 이처럼 결정력 있는 중재자로 거듭난다면, 그는 개인적 성공을 넘어 정치 문화의 진보를 이끌 수 있습니다.
  

정치는 말의 싸움이 아니라, 말의 책임입니다. 지금 이재명에게 필요한 것은 더 강한 말이 아니라, 더 깊이 있는 말, 더 멀리 보는 말입니다. 중재자로의 전환은 타협이 아니라 성숙이며, 그것이야말로 대통령의 길입니다.


중재자 역할을 이재명에게 바랍니다

우리는 종종 노무현 대통령을 그리워합니다. 그의 언어는 거칠었지만 권위적이지 않았고, 갈등을 없애려 하지 않았으나, 끝까지 조정하려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단호함보다 이해를, 속도보다 신뢰를 중시했던 정치인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이재명에게도 강함을 기대하기보다, 그리운 중재자의 리더십을 잇는 새로운 형태의 조정자, 결정력 있는 중재자로의 변화를 바라는 것이 정치적으로도 올바른 길일지 모릅니다.
  

협상과 타협은 때로 ‘휘둘리는 것처럼’ 보이기 쉽습니다. 특히 강한 해결사를 원했던 대중에게는 더더욱 그렇게 비춰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진정한 리더는 당장의 인기를 좇기보다, 오랜 시간 신뢰를 쌓을 줄 아는 사람입니다. 갈등의 진영을 조율하고, 이해관계자를 설득하며, 불편한 타협을 감수하는 지도자야말로 미래를 준비하는 지도자입니다.


노무현 대통령이 그토록 많은 저항 속에서도 타협과 조정을 포기하지 않았던 이유는, 그것이 민주주의의 원리이자 미래의 길이라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바로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지금도 그를 기억하고, 그의 부족했던 정치적 성과보다 그의 태도와 철학을 더 높이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재명이 진정으로 국민의 지도자가 되고자 한다면, 보수 진영과의 갈등 속에서도 조정과 타협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것이 때론 후퇴처럼 보일지라도, 결국 국민은 그런 인내를 기억하고, 그런 리더십을 지지하게 될 것입니다.

이재명이 그 길을 선택할 때, 한국 정치는 단지 한 명의 대통령이 바뀌는 것이 아니라, 정치의 품격과 방향 자체가 진화하는 순간을 맞이할 것입니다.

*** 위 글은 챗지피티와 공동작업했습니다. ***



3


    과학상자
    저는 그래도 이재명이 시원한 말로 해결사인 척만 하지는 않는 것 같아서 말씀하신 중재자로서의 역할도 기대해보려 합니다. 유명한 계곡상인들의 일화에서도, 그저 불도저식으로 불법영업하는 상인들을 쫓아낸 것만은 아닌 것 같았어요. 진정성 어린 중재를 위한 노력이 없었다면, 그 상인들이 이재명 도지사를 구명하기 위한 탄원을 내고 그러지는 않았을 테니까요. 그 과정에 원가 120원 커피 얘기도 나왔던 거고, 이재명을 혐오하는 이들은 120원 발언을 정치공세 소재로 써먹고 있지만, 진짜 카페 업주들은 그동안 업계의 의견청취를 꾸준히 해왔던 민... 더 보기
    저는 그래도 이재명이 시원한 말로 해결사인 척만 하지는 않는 것 같아서 말씀하신 중재자로서의 역할도 기대해보려 합니다. 유명한 계곡상인들의 일화에서도, 그저 불도저식으로 불법영업하는 상인들을 쫓아낸 것만은 아닌 것 같았어요. 진정성 어린 중재를 위한 노력이 없었다면, 그 상인들이 이재명 도지사를 구명하기 위한 탄원을 내고 그러지는 않았을 테니까요. 그 과정에 원가 120원 커피 얘기도 나왔던 거고, 이재명을 혐오하는 이들은 120원 발언을 정치공세 소재로 써먹고 있지만, 진짜 카페 업주들은 그동안 업계의 의견청취를 꾸준히 해왔던 민주당 측 노력을 인정해서 이재명 지지 선언까지 했다고 하니 말이죠.

    그런데 한 쪽 손만으로 손뼉을 칠 수는 없어서, 극단적으로 이재명을 악마화하고 배척하는 이들에게 어떻게 손을 내밀어야 할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지도자가 되기로 했으니 그 어려운 걸 해줬으면 합니다. 당연히 내란세력을 청산해야겠지만, 가능하면 내란세력으로 끝내 남는 이들이 적어지도록, 같이 갈 수 있는 사람들이 많아지도록 유능한 중재자가 되어줬으면 하는 바램이 있습니다.
    3
    다마고
    맞는 말씀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비슷한 희망을 갖고 기다려보려고 합니다. 시간이 걸릴 일이라고 생각도 듭니다.
    2
    닭장군
    https://youtu.be/0w55GxBahxc?si=bcJRCsPpXenrQFag
    Arbiter Quotes KR - Starcraft Remaster

    님 가슴이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467 정치독립문 고가차로와, 국힘의 몰락 16 당근매니아 25/05/28 1684 1
    15466 정치이재명식 재정정책은 과연 필요한가. 다마고 25/05/28 1131 3
    15465 정치MB아바타를 뛰어넘을 발언이 앞으로 또 나올까 했는데 8 kien 25/05/27 1723 0
    15460 정치이재명에게 중재자로의 변화를 바라며 3 다마고 25/05/24 1493 3
    15457 정치단일화 사견 13 경계인 25/05/23 1560 0
    15455 정치누가 한은에서 호텔경제학 관련해서 올린 걸 찾았군요. 3 kien 25/05/22 1650 1
    15451 정치호텔경제학은 달라졌으나, 언론은 달라지지 않았다 9 meson 25/05/21 1529 2
    15450 정치이번 대선도 언행이 맘에 드는 후보는 없었다 17 The xian 25/05/21 2277 2
    15447 정치민주당이 사법부에 대한 압박은 이제는 중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32 kien 25/05/17 2970 5
    15446 정치호텔경제학 감상문 22 meson 25/05/17 2800 5
    15445 정치선거철 단상2 (어디로 가야하오.) moqq 25/05/16 1205 4
    15440 정치현재 가장 노무현스럽게 정치하는 사람은 김상욱 의원 같습니다. 10 kien 25/05/15 1869 5
    15437 정치민중당, 정의당, 민주노동당. 12 마키아토 25/05/12 2301 21
    15436 정치이준석의 일갈 29 당근매니아 25/05/12 2616 0
    15431 정치덕수옹은 대체.. 16 Picard 25/05/06 2569 0
    15426 정치운석은 막을 수 없다: 정상성(Normality)의 관점에서 8 meson 25/05/05 1416 13
    15425 정치내각제와 대법원 4 당근매니아 25/05/04 1266 13
    15424 정치한국현대사에 파시즘 정권이 존재했는가? 10 meson 25/05/04 1364 2
    15422 정치당연히 이재명이겠거니 하는 공유된 태도 29 명동의밤 25/05/03 3032 19
    15420 정치양비론이 가소로워진 시대 1 meson 25/05/01 1397 11
    15417 정치오늘의 일에 부쳐 영원한웬디 25/05/01 1179 3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2006 15
    15369 정치깨끗시티 깜찍이 이야기 3 명동의밤 25/04/08 1173 0
    15365 정치역적을 파면했다 - 순한 맛 버전 5 The xian 25/04/07 1582 13
    15364 정치날림으로 만들어 본 탄핵 아리랑.mp4 joel 25/04/06 1122 7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