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5/01/05 12:37:40
Name   T.Robin
Subject   인공지능 시대,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말빨"
오랜만에 티타임에 올릴만한 글이 하나 생겼습니다. 저희집 최고존엄(......)께서 소소하게 독서논술 홈스쿨 공부방을 운영하시는데, 인공지능이 활성화되면 AI가 다 알아서 해줄건데 독서논술은 뭘 먹고 살아야 하는가......라는 한탄을 하셨는데,  모처의 팟캐스트에서 인공지능으로 영상 연출을 제어한 에피소드를 듣다가 영감이 떠올라 졸필이나마 몇 자 끼적였습니다.

아무쪼록, 우리가 인공지능이라 말하는 것들을 이해하고 어떻게 활용해야 될지에 대해서 소소하게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요약]
- 인공지능 시대에 필요한 언어능력은 다양한 언어를 구사하는 것이 아니라, 한두개의 언어를 매우 유창하게 구사하는데 있음
- 모든 사람은 인공지능을 업무의 협력자 또는 공동 작업자로서 활용할 것이나, 인공지능은 과제를 지시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하지 않으므로, 내가 일을 시켜야 됨
- 이런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능력은 인공지능에게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명료하게 요청하고, 인공지능의 응답에 따라 원하는 결과에 맞추어 지시사항을 수정하거나 자신의 요구사항에 맞게 수정하는 능력임. 즉, 언어를 통해 자신의 요청을 명료하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함

[현대 사회에서 인공지능의 위상]
- 인공지능은 모든 산업에서 이미 큰 지분을 차지하고 있음
- 문서를 요약하고, 언어의 표현을 좀 더 적합하게 수정하고, 새로운 지식을 찾을 뿐 아니라 기존 지식을 조합하여 새로운 지식을 제안하는 수준에 이르렀음
- 다만, 이 모든 것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연어로 된 인간의 명령이 필요함

[프롬프트 엔지니어링(Prompt Engineering)]
- 인공지능에게 수행할 명령을 프롬프트(Prompt)라고 함
- 사용자가 인공지능에게 원하는 바를 명확하게 인식시키고, 원하는 결과를 얻어내기 위해 명령을 수정/보완하거나 적절한 피드백을 주기 위한 과정을 프롬프트 엔지니어링(prompt engineering)이라고 함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단순히 처음 명령을 잘 내리는 것 뿐만이 아님: 인공지능이 도출한 결과를 보고 그 결과를 평가하고 적절한 피드백을 주어서 필요에 따라 결과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거나, 해당 결과가 적합하다는 평가를 내려 인공지능이 올바른 방향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음
- 즉, 인공지능과의 협업은 일방적인 지시가 아닌, 동료와의 상호작용에 더 가까운 작업이라 하겠음

[문제는 표현력]
- 적절한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내가 원하는 바를 명료하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함
- 이후 나온 결과에 대해서는, 해당 결과를 명확히 이해하고 필요에 따라 잘못된 부분을 명확하게 짚어주고 어떤 방향으로 수정해야 할지를 정확히 해줄 필요가 있음
- 이 모든 작업은 자연어로 이루어짐. 즉, 내가 말을 잘 할 수 있는 능력과 상대방의 말을 잘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동시에 필요함

[사용자가 구사할 언어의 종류가 다양할 필요는 없음]
- 인공지능은 서로 다른 언어를 이해하고 번역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음. 이를테면, 한국어로 인도네시아어에 대한 질문을 해도 적절하게 대답함(예: 인도네시아어로 아이들의 놀이와 관련된 주요 단어와 표현은 무엇이 있을까?)
- 인공지능 내부의 지식은 거미줄 또는 그물과 같은 형태: 하나의 지식이 서로 다른 여려 연관된 지식과 얽혀서 묶여있음
- 서로 다른 언어의 유사한 표현 또한 위와 같은 형태로 묶여있음. 따라서 내가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는 언어로 원하는 바를 명료하게 표현하면, 설사 다른 언어로 되어있는 지식이더라도 원하는 결과에 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짐
- 다만, 인공지능이 가장 많이 학습하며 가장 많이 연구된 언어는 영어이고, 그 외 언어들(한국어 포함)은 학습량과 질에 있어서 영어 대비 부족한 경우가 많으므로, 인공지능을 활용하기 위한 외국어 습득시에는 영어를 권장함



7
  • 인공지능에게 일을 시키는 인공지능이 필요하다


여기서도 영어인가...오노레 영국놈들 ㅜ ㅜ
와 지금 저에게 딱 필요했던 글이예요 감사합니다
펜실베니아 대학의 Ethan Mollick 교수는 AI를 좋은 소프트웨어가 아닌 "꽤 좋은 사람들"로 이해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 AI는 인간처럼 특이한 강점과 약점이 있기 때문에 어떤 작업을 맡길 수 있을지 파악하기 어려움
- 매뉴얼이 없기 때문에 AI가 잘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내는 유일한 방법은 함께 일하면서 배우는 것

저는 이 주장이 현재 적절한 의견이라고 생각합니다.
1
원금복구제발ㅠㅠ
이러다가 AI라는게 어느날 갑자기 또 크게 격변해서 다른얘기 할지도.... ㅎㅎ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252 정치슬로건 나눔 합니다 3 빈둥 25/02/06 859 4
15251 일상/생각요 몇년간 스마트폰 기변 후기. 14 카바짱 25/02/06 1260 0
15250 정치윤수령이 탄핵 기각되고 복귀하면.. 국힘은? 23 Picard 25/02/05 1863 0
15249 일상/생각절에서 생활하면서 10 셀레네 25/02/05 1407 18
15248 일상/생각15년 차 남편의 소소한 일상 이야기 4 큐리스 25/02/05 1009 0
15247 과학/기술LLM에 대한 두서없는 잡썰 (3) 14 덜커덩 25/02/05 1378 21
15246 의료/건강[정보/뉴스] OAI 직원 암진단 후기 트위터 스레드 번역 7 공기반술이반 25/02/05 919 0
15245 일상/생각학원에서 이제온 아들 늦은저녁 차려줬습니다. 5 큐리스 25/02/04 962 8
15244 문화/예술어쩌면 서울 집중화가 한류를 만든건 아닐까 15 토비 25/02/02 1851 3
15243 스포츠[MLB] 김하성 2년 29M 탬파베이행 김치찌개 25/01/31 783 2
15242 일상/생각오랜만의 운동^^ 5 큐리스 25/01/30 1081 2
15241 일상/생각여행을 나서면 집에 가고 싶다. 4 풀잎 25/01/30 1168 9
15240 스포츠추운날씨엔 여자농구 직관을 16 danielbard 25/01/29 1279 4
15239 꿀팁/강좌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3. 인클로저 설계 Beemo 25/01/29 1407 5
15238 일상/생각당신의 눈가에 피어난 이야기들 1 큐리스 25/01/27 937 7
15237 오프모임[급벙] 새해기념 왕십리 피맥 모임...!(마감) 37 25/01/27 1448 9
15236 IT/컴퓨터결국 구입해버린 저지연코덱 지원 헤드셋 8 야얌 25/01/27 1093 0
15235 스포츠해리 케인의 무관에 대하여. 10 joel 25/01/27 1390 12
15234 일상/생각이틀간 집안의 계엄령 6 큐리스 25/01/24 1565 4
15232 정치표현의 자유와 정치 9 kien 25/01/22 1619 4
15231 정치계엄이유 : 부정선거 vs 이재명 입법독재 14 Picard 25/01/22 1965 0
15230 일상/생각일상의 사소한 즐거움 : 어느 향료 연구원의 이야기 (5편) 11 化神 25/01/22 1076 12
15229 일상/생각밭에 묶여있던 개를 풀어줬다 다시 묶는 사람들 14 골든햄스 25/01/22 1685 21
15228 정치우리는 이 사람들과 어떻게 같이 살아가야 하는가 51 당근매니아 25/01/22 2560 13
15227 경제연말정산 시즌 관련 간단한 정리 2 Leeka 25/01/21 1332 6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