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4/11/15 02:13:20
Name   arch
Link #1   https://lby.mofa.go.kr/www/brd/m_4080/view.do?seq=291358
Subject   '우크라' 표기에 대한 생각.
나이랑 상관 없이 정신적인 유연성이 떨어져서 시대 변화를 못 따라가니 그렇겠지만 신조어나 축약 표현을 접했을 때 무슨 뜻인지 알아먹는 것과는 별개로 왜 그런 표현을 쓰는지 이해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점점 늘어납니다.
이유를 알면 규칙 같은 것을 찾을 수 있을 거고, 규칙을 적용하면 유행 따라갈 수 있을 거라 기대하는데 이유를 알 수가 없으니 규칙을 파악하는 것도 어렵더군요.

예를 들자면 어느 순간부터 일반 언중도 아니고 언론사에서도 우크라이나를 '우크라'로 줄여서 표기하는 것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다섯 자를 세 자로 줄여서 얻는 이득이 얼마나 큰 지는 모르겠지만 발음하기 편하거나 타이핑을 적게 해도 되고 화면에 표기할 때도 공간을 적게 사용하기 위해서 국가명이 긴 경우 세 글자로 줄이는 규칙이 있을 것이라 짐작을 해 봅니다.

그러면 같은 방식으로 오스트리아는 '오스트'로 줄어들텐데 이건 검색해봐도 기사 하나 안 보입니다.
아마도 오스트레일리아와 구분할 수 없으니 안 쓰는 거 같습니다.
그러면 국명을 줄여도 혼란의 여지가 없는 경우 앞의 세 글자만 따서 적는것으로 규칙을 바꿔봅니다.
아르헨티나는 '아르헨', 베네수엘라는 '베네수'로 표기하게 되겠군요.
검색해보니 이미 기사 헤드라인에서 이런 표기를 많이 써 왔습니다.
그러면 엘 살바도르는 '엘 살바'로 줄어들거나 관사는 제거하고 '살바도' 로 줄여서 표현 할 거 같은데요, 막상 찾아보면 뜬금없이 '엘살바돌'이 됩니다.
네글자네요? 그럼 우크라이나도 '웈라이나' 로 줄이면 되는거 같은데 왜 '우크라'가 되는거죠?
이쯤되면 규칙이 있더라도 그 내용을 정리하면 공식이 아니라 논문이 되겠네요.

이래서 차라리 컴퓨터랑 일 하는게 마음이 편합니다.
앞으로는 모르겠지만 제가 일 하는 분야는 아직까지는 llm 도입 안 된 상태라 결과물 까보고 기면 기고 아니면 아니니까요.

* 울트라리스크의 줄임말이 '울리'가 되는 건 '울트라'가 익숙한 사람들 불편하라고 일부러 그렇게 적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주 간단한 규칙이라 빠르게 이해했습니다.



5


    언론이 자기 맘대로 하는 거죠
    근본을 알 수 없는 신조어나 약어들도 언론사들 작품인게 꽤 있으니...
    그러면서 일반 대중이 사회적으로 일치된 의견에 따라 줄이려 들면 엣헴 하면서 삐딱하게 기사 내는 아이러니까지
    nearfield
    처음 ‘뻐카충’을 들었을 때의 충격이 아직도 떠오릅니다.

    울리가 킹받는 이유는 조합어의 의미적 최소단위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기계적 축약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울트라/히드라/뮤탈이라는, 외국인 유저들도 이해할 수 있는 멀쩡히 잘 쓰던 단어가 있는데도 말이죠.

    ‘입구역’으로 끝나는 역이름은 여러 개가 있지만, 서울대입구역 근처 사는 사람이라면 처음 듣는 사람도 무엇을 뜻하는지 바로 알 수 있습니다.
    ‘설입’은 역을 의미한다는 것을 단어만으로는 유추하기 어렵습니다. 고맥락을 요구하는 조어입니다.
    2
    Paraaaade
    줄임말 만들땐 그런거 고려하지 않고 입에 붙는대로 줄이지않나요?

    스타에도 하템 닥템처럼 다른 규칙과 일치하지 않는 줄임말이 있고요
    nearfield
    초창기에는 하템은 템/템플러, 다템은 다크라고 불렸던것 같아요. 다템이 브루드워때 추가되면서 늦게 나온 탓도 있겠지만.
    어느순간부터 줄임말 조어할때 사람들이 의미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고 느낀 기억이 있습니다. 06년? 정도를 기점으로요.
    박지운
    님 T새오
    2
    스타크래프트도 98년도 당시엔 스타라고 안 했읍니다. 시대에 따라 얼마든지 울리 울트크 될 수 있(사문난적)
    1
    전투용밀감
    울라리가 대세라고 배웠읍니다
    1
    라임오렌지나무
    생각보다 나라 이름을 줄여 쓴 역사는 상당히 오래 되었어요. 당장 "미국" (United States of America = 메이리지안합중국美利堅合衆國 -> 메이리지안 너무 긴데? "메이"로 줄여 -> 미합중국美合衆國 -> 귀찮으니 두자로 줄여 -> 미국)만 해도... 음역으로 쓰던 "남가주" (Southern California)같은 표현도 있지요. 왜 캘리포니아가 "가주"냐? 가리복니아加利福尼亞 (= California)-> 가加 + 주(state)...

    그리고 언어의 경제성을 추구하는 것은 인류 보편의 행태이며, 언어는 생각보다 유행/트렌드예요. 사람들이 "아르헨"을 익숙하게 쓰기 시작하면 아르헨으로 표기하게 될 거예요. 아르헨티나를 일상 담론에서 언급할 일이 많이 없어서 그렇지, 축구 팬들은 아르헨이라고 많이 이야기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9
    효율성만 봐선 미국이나 영국처럼 덕국, 법국으로 부르면 효율적인데 그건 또 안 쓰는게 유행이죠.
    오스트리아도 오지리로 쓰면 구분 되지만 요즘 유행으로는 안 쓰는 표현이라 제외했습니다.
    1
    듣보잡
    저도 비슷한 생각이 있기는 한데, 사실 그 전에도 근본없는 줄임말은 많이 썼던 것 같읍니다. 예를 들면 누구나 다 쓰는 단어 '소련'도 원문은 Soviet 聯邦인데 So聯으로 줄인건 어떻게 봐도 무근본 그 자체입니다. 누가 봐도 찌질이들이나 쓸 것 같은 '히총통'도 무려 조선일보에서 썼고요. '우크라' 정도는 어떻게 보면 양반일 수도 있읍니다.
    1
    듣보잡
    다른 얘기긴 한데 롤에서 엄근진한 문체로 '역체' 쓰는 거 볼 때마다 비슷한 감정을 느끼며 글을 닫읍니다. 인터넷 글이야 그냥 제가 닫고 말지만 게임 중계 영상에서 쓰는 건 도저히 견디기 어렵읍니다...
    1
    당근매니아
    전 '트타'를 도저히 참을 수 없어요....
    트타 생각해보니 이상하군요
    트린다미어를 귀여운 트미라고 부를 수 있을 것 같은..
    그런데
    소련은 사실 일본 영향입니다.
    ソ連 이라고 쓰지요.
    사실 대부분의 국명은 일본에서 쓰는대로 받아쓰다가
    최근에 와서야 조금 독립한 느낌입니다.
    1
    당근매니아
    예전부터 생각했던 거지만, 줄임말의 음절수는 그 나라의 사람 이름 숫자와 깊은 연관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적어도 한중일에서는 그런 거 같아요. 중국이 2음절, 한국은 3음절, 일본은 4음절로 줄임말을 만드는 경우가 많더군요.
    1
    nearfield
    오… 듣고보니 그런 것 같네요
    그러네요
    아르헨은 실제로 많이들 쓰죠. 반면 오스트나 베네수는 일반 언중들도 그렇게 안 씁니다.
    결국 단지 발음의 용이성 때문이라기보단 연상의 편의성이란 말입죠.
    괄하이드
    원래 줄임말은 자의적이고 고맥락적이라 그냥 언중이 받아들이냐 아니냐의 차이일뿐 아닌가 생각합니다.
    4
    시드니에 놀러갔을 때 아시아인 예약이라 그랬는지 숙소 안내문에 air con사용법이라고 써있더라구요
    허락해주세요(허락해주세요)
    UCLA가 생각나는군요
    방사능홍차
    우클라!
    노바로마
    뭐 편의를 위한다는 관점이지만 BRICS같이 아예 나라 이름의 알파벳 첫 자만 따오는 경우도 있으니까요....
    (Brasil, Russia, India, China, South-africa)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어적인 차원에서는 우크라이나를 우크라로 줄이는건 상당히 근본없는 이야기인거 같긴 하더군요.
    노바로마
    위키백과 피셜로 보면 우크라이나 어원을 보면 "우(Оу)는 전치사, 크라이(краи)는 땅 또는 변경, 경계를, 나(на)는 접미사에 해당되는 단어"라고 하네요.
    즉, 전체적으로는 국명이 '변방의 땅', 혹은 '변두리의 땅' 이라는 뜻이네요. 이걸 우크라로 줄여부르면 우크라이나 사람들 입장에서는 '변방의 땅'을 '변'이라고 줄이는 느낌일듯...
    1
    그러네요
    임요환도 임으로 줄여 불렀었죠...
    노바로마
    임요환을 사실 임으로 부르는 것은 예시가 다른거 같은데요. 임요환의 '임'은 성씨입니다. 언어적으로는 성씨 자체로도 특정인을 지칭하는 의미가 있을 수 있습니다. 물론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성씨만으로 사람을 지칭하는 경우는 많지 않지만 그건 아니라도 성 + 직위로 사람을 부르는 경우는 일반적이죠(김 대리, 이 팀장 등.. 임요환의 경우도 T1 감독시절 임 감독이라고 했고요.) 우리나라 밖의 외국에서는 성으로 사람을 부르는 경우도 많이 있고요. 외국인들에 대해서는 우리도 성씨로 사람을 부르지 않습니까? (트럼프, 메시 등)

    우크라이나를 우크라로 줄여부르는 것에 비유하자면, 임요환을 임요나, 요로 부르는 경우가 더 가깝지 않을까 싶습니다.
    사실 가장 근본없는 약자는 버스 아니겠습니까
    모두를 위한 (옴니버스)에서 위한만 때다가 약자라고 쓴다니!
    1
    어쩌면, 다수가 별 생각 없이 넘어가는 이런 문제들에 대해서 의문을 갖고 고찰하는 선생님같은 분들이 지금의 지성인류를 만들지 않았나 생각해봅니다

    쫌 멋있읍니다
    물냉과비냉사이
    뭐 대충 우크라이나 국가코드랑 맞긴하네요. U(우)K(크)R(라)
    알료사
    https://youtu.be/cIaLWhUq9no
    2024 11 16 06 05 10


    얼마전 <청모>라는 줄임말을 처음 들었읍니다. 청첩장 주려고 모이는걸 그렇게..

    저 영상에서도 다들 모르는걸 보니 그렇게까지 보편적인건 아닐지도..?

    근데 저는 청모라는 줄임말보다 그 이후에 <별다줄>이 더 신박했어요 ㅋㅋㅋ

    별걸 다 줄이네 - 를 또 줄여서.. ㅋㅋㅋ
    월급루팡실전편
    요새 결혼기념일은 결기 라고 부른답니다 ㅋㅋㅋ
    1
    알료사
    헐.. 별다줄.. ㅋㅋㅋ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077 도서/문학거미여인의 키스 읽기 4 yanaros 24/11/28 1023 8
    15076 일상/생각아무말대잔치 - 미국의 비트코인 담론 14 은머리 24/11/28 1298 3
    15075 기타[나눔] 별다방 아메리카노 T 깊콘 1장 22 Groot 24/11/28 927 12
    15074 도서/문학『원더풀랜드』-미국이 2개의 이념의 나라로 된다 인생살이 24/11/28 949 1
    15073 스포츠[MLB] 블레이크 스넬 5년 182M 다저스행 김치찌개 24/11/28 737 1
    15072 오프모임썸녀 만들기 조차 실패한 기념 솔크 준비 19 치킨마요 24/11/27 1550 0
    15071 기타나르시시스트가 교회를 좋아할 수 밖에 없는 이유 7 평생모쏠 24/11/27 1331 0
    15070 스포츠[MLB] 기쿠치 유세이 3년 63m 에인절스행 김치찌개 24/11/26 763 1
    15069 정치이재명 위증교사 1심 판결 재판부 설명자료 5 과학상자 24/11/26 1521 5
    15068 꿀팁/강좌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1. 6 Beemo 24/11/25 1364 13
    15067 도서/문학『눈물을 마시는 새』 - 변화를 맞이하는 고결한 방법 1 meson 24/11/24 1179 6
    15066 도서/문학린치핀 - GPT 세계에서 대체 가능한 톱니바퀴를 벗어나려면 6 kaestro 24/11/24 1045 1
    15065 경제chat-gpt를 사용하여 슈뢰더 총리의 아젠다 2010 연설 번역하기 4 와짱(와짱) 24/11/24 1027 0
    15064 문화/예술아케인 시즌2 리뷰 - 스포 다량 1 kaestro 24/11/23 1199 2
    15062 오프모임29일 서울 점심 먹읍시다(마감) 21 나단 24/11/22 1419 4
    15061 스포츠[MLB] 2024 AL,NL MVP 수상자.jpg 2 김치찌개 24/11/22 722 1
    15060 스포츠[MLB] 2024 AL,NL 사이영 수상자.jpg 김치찌개 24/11/22 703 1
    15059 음악[팝송] 션 멘데스 새 앨범 "Shawn" 김치찌개 24/11/22 670 0
    15058 방송/연예예능적으로 2025년 한국프로야구 순위 및 상황 예언해보기 11 문샤넬남편 24/11/21 2837 0
    15057 일상/생각우리는 어쩌다 이렇게 됐을까 4 SKT Faker 24/11/21 1291 1
    15056 오프모임23일 토요일 14시 잠실 보드게임, 한잔 모임 오실 분? 4 트린 24/11/20 857 0
    15055 방송/연예페미니스트 vs 변호사 유튜브 토론 - 동덕여대 시위 관련 26 알료사 24/11/20 5765 32
    15054 생활체육[홍.스.골] 10,11월 대회 상품공지 켈로그김 24/11/19 815 1
    15053 여행여자친구와 부산여행 계획중인데 어디를 가면 좋을까요?! 29 포도송이 24/11/19 1382 0
    15052 일상/생각오늘도 새벽 운동 다녀왔습니다. 5 큐리스 24/11/19 1124 9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