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4/09/13 04:46:02
Name   kaestro
Link #1   https://kaestro.github.io/%EC%8B%A0%EB%B3%80%EC%9E%A1%EA%B8%B0/2024/09/13/%EC%88%98%EC%8A%B5%EA%B8%B0%EA%B0%84-3%EA%B0%9C%EC%9B%94%EC%9D%84-%EB%A7%88%EB%AC%B4%EB%A6%AC%ED%95%98%EB%A9%B0.html
Subject   수습 기간 3개월을 마무리하며

굉장히 오랜만의 글

정말 오랜만에 펜대를 잡았다는 것을 문득 글을 쓰기 시작하면서도 절감하게 되네요. 그것이 어느 정도냐 하면, 블로그 글을 로컬에서 띄우는 명령어가 기억이 안 나서 챗gpt에 물어봤을 정도입니다. 단순 수치상으로도 제가 마지막으로 커밋한 것이 9월 18일이었으니 거의 3개월을 꽉 채운 기간 동안 글을 쓰지 않았네요. 그래서 이번에 오랜만에 글을 쓰게 되다보니 조금은 설렙니다.

사실 글을 계속해서 쓰고 싶다는 생각은 종종 했습니다만, 이전과는 다르게 무엇을 써야할 지에 대한 아이디어가 잘 나오지 않는 것이 문제였습니다. 그런데 어제 제가 입사하면서 처음으로 맡은 프로젝트의 시제품이라 할 만한 것을 고객분들 앞에서 시연한 뒤 일단 오케이고 디테일한 부분은 맞춰나가자는 답변을 들을 수 있었고, 또 며칠 전에는 수습 기간이 종료돼서 정식으로 입사하는 경험들을 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다보니 이번에는 그동안의 생각을 정리하는 시간을 한 번 가져보고 싶어졌고, 이렇게 글로 쓰게 되었습니다.


스타트업에서 근무하는 것에 대한 생각

제가 전 직장을 나온 이유 중 가장 큰 것은 외로움 때문이라는 글을 썼던 적이 있습니다. 사실 그것 외에도 전 직장을 나오게 된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제가 느끼기에 제가 가진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곳이 아니라고 체감해서였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그런 부분을 고려해서 스타트업으로 이직을 결정했습니다.

확실히 스타트업에서 근무하는 것은 전직장과 비교해 많은 부분에서 차이가 있었고 제가 원하는 것을 얻을 수도 있었습니다. 저는 입사한 첫날엔 pc 세팅을 했고, 이튿날부터는 바로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해당 프로젝트 제품으로 만들어지던 중이었던 레거시 코드의 전반을 리팩토링하고, 재설계 및 구현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스타트업에서 근무하면서 중견 이상의 회사에서는 저와 같은 경력의 개발자에게 잘 맡기지 않을 일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굉장히 즐겁기도 하면서 스스로의 효용감에 대한 만족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번 이직은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또한 이것은 스타트업의 특징이 아니라 현 직장의 특징인데, 제가 전에 이야기한 것처럼 외로움에 대한 정의를 ‘스스로를 있는 그대로 드러내지 못할 때 느끼는 것’이라고 내린다면, 이번에는 그런 부분에서 굉장히 만족스러웠습니다. 무려 제 블로그를 읽어봐 주시고 공감을 많이했고 면접 준비에 도움을 받았다며 감사를 이야기해주신 신입사원분께서도 계셔서 뿌듯하기도 하면서 동시에 부끄럽기도 했습니다. 또, 자유롭게 의견을 주고 받으면서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분위기가 있었기 때문에 저는 이제 회사에서도 외롭지 않다고 느낄 수 있었습니다.


소통을 할 때 정리된 내용을 명징한 언어로 전달하는 필요성의 체감

제가 업무를 하면서 가장 많이 들은 지적 두 가지는 ‘명확한 언어로 표현하기’와 ‘이야기하기 전에 하고자 하는 말을 정리하기’ 였습니다. 그리고 이 두가지가 업무를 할 때 선결조건이며 이를 지키는 것만으로도 업무 효율이 굉장히 높아진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전자의 예시로는 대명사를 가능한 적게 사용하고 말하고자하는 대상을 명확히 지칭하거나, 정확한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있습니다. 대명사가 아니라 대상을 대화 상대가 명료하게 인식할 수 있는 단어들로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서 스스로도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 선명하게 인지할 수 있었고, 상대방도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 명확히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후자의 예시로는 이야기하기 전에 어느 정도 수준의 이야기를 할 것인지 결정하고, 그에 맞게 이야기를 정리하는 것이 있습니다. 대화를 할 때 내가 대화를 할 상대가 누구이고 내용이 무엇인지 고려하는 준비를 하는 것은 이전까지는 제가 생각하고 신경쓰지 않았던 부분이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대화의 수준을 가장 낮은 개발 구현 수준부터 시작해서, 코드를 아예 고려하지 않은 비즈니스 로직과 같은 수준까지 다르게 구분하여 대화를 경험하게 되는 일이 잦았습니다. 이 과정에서 한 가지 관점에서 이야기할 때는 보이지 않던 것들을 인식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도움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한 문장으로 표현하자면 ‘개발자여, 키보드가 아니라 펜과 종이를 들어라’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위 두가지 원칙을 지키면서 업무를 진행하다보니, 이전에는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 명확히 인지하지 못했던 것들이 명확해졌고 원활한 소통을 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소통이 업무 효율을 높이는 데에 굉장히 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마치며

스타트업으로 이직을 하고 보낸 이번 3개월동안 굉장히 밀도가 높은 시간을 보냈고 동시에 제가 원하던 것들을 얻었으며, 생각하지 못했던 방향으로도 성장할 수 있었기 때문에 굉장히 만족스러운 경험이었습니다. 이번에는 제가 했던 경험들 중에서 일반적인 것들을 정리했다면, 다음은 좀 더 개발자로서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10
  • 언제나 뜨거운 응원!!
  • 멋지다!!


듣보잡
글 오랜만이네요. [‘명확한 언어로 표현하기’와 ‘이야기하기 전에 하고자 하는 말을 정리하기’] 저도 이게 굉장히 중요하고 제가 상대적으로 잘한다고 생각하는 몇 안되는 것들 중 하나입니다. 경험상 비효율을 일으키는 근본적인 요소 중 하나인 것 같읍니다. 정작 개발능력은 퇴화중입니다만...
kaestro
글을 쓰고 싶은 욕망이 결국 얘기하고 싶은 주제가 있어야 하는데 요즘에는 딱히 그럴만한 주제가 안 생기더라구요
말씀하신 두 부분을 명확하게 짚어주신 덕분에 저도 예전에 썼던 글들에서 도움 많이 받았죠 ㅋㅋ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직급이 높아지시면 아무래도 개발 능력은 코드 작성할 시간이 줄어들면서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생기지 않을까하는 상상은 하게됩니다. 저희 회사 개발팀 고작 11명밖에 안되고 프론트 개발인원 4명인데 이를 관리하는 프론트 개발 파트장은 코드 짤 시간이 거의 없을 정도로 바쁘더라구요
[‘명확한 언어로 표현하기’와 ‘이야기하기 전에 하고자 하는 말을 정리하기’]
이거에대해 제일 잘보여준 드라마가 미생이였죠.
보고서 문장을 적어주고 최대한 간결하게 줄여보기.
별거 아닌거 같지만 몇번 트레이닝해보면 굉장히 도움되는 방법이더군요.
글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적으면 그만큼 오해의 소지가 줄어들고 업무효율이 올라갑니다.
지금도 가끔 이런 트레이닝을 해보는데 이제 슬슬 어휘력이 떨어지는게 느꼐져서 고민입니다.
kaestro
이런 의식을 하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대단하시다 생각합니다
어휘력은 무 책을 읽어야...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967 음악[팝송] 콜드플레이 새 앨범 "Moon Music" 2 김치찌개 24/10/08 884 1
14966 일상/생각병원을 다녀와서 2 4시30분퇴근 24/10/07 1293 0
14965 생활체육[홍.스.골] 10~11월 대회 오픈 2 켈로그김 24/10/07 996 1
14964 게임[LOL] 10월 7일 월요일 오늘의 일정 발그레 아이네꼬 24/10/06 826 0
14963 게임[LOL] 10월 6일 일요일 오늘의 일정 1 발그레 아이네꼬 24/10/05 888 0
14962 기타점술에 맹신하면 안되는 이유 2 내이야기는고양이 24/10/05 1377 0
14961 게임스타여캠 단신) 83년생 나도현의 하루 7 알료사 24/10/05 1510 9
14960 게임[LOL] 10월 5일 토요일 오늘의 일정 3 발그레 아이네꼬 24/10/05 859 0
14959 일상/생각이득을 줍는 사람들 2 골든햄스 24/10/04 1313 5
14958 게임(스포주의) 뒤늦게 활협전을 하다가 내상을 쎄게 입었네요 3 겨울삼각형 24/10/04 1693 1
14957 일상/생각"책마을" 글들을 공유합니다. 5 nothing 24/10/04 1220 6
14956 게임[LOL] 10월 4일 금요일 오늘의 일정 1 발그레 아이네꼬 24/10/04 812 0
14955 일상/생각군 인트라넷 내 "책마을"의 글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7 nothing 24/10/03 1341 1
14954 요리/음식흑백요리사 8~9화 팀전 우승팀 분석 (스포) 10 타는저녁놀 24/10/03 1388 3
14953 게임[LOL] 10월 3일 목요일 오늘의 일정 5 발그레 아이네꼬 24/10/02 886 0
14952 생활체육[홍.스.골] 9월대회 결산 3 켈로그김 24/10/02 1006 0
14950 스포츠[MLB] 김하성 시즌아웃 김치찌개 24/09/30 1144 0
14949 게임[LOL] 9월 29일 일요일 오늘의 일정 발그레 아이네꼬 24/09/29 893 0
14948 요리/음식팥양갱 만드는 이야기 14 나루 24/09/28 1567 17
14947 게임[LOL] 9월 28일 토요일 오늘의 일정 발그레 아이네꼬 24/09/27 861 0
14946 게임[LOL] 9월 27일 금요일 오늘의 일정 발그레 아이네꼬 24/09/27 834 0
14945 일상/생각와이프한테 혼났습니다. 3 큐리스 24/09/26 1704 0
14944 게임[LOL] 9월 26일 목요일 오늘의 일정 발그레 아이네꼬 24/09/25 828 0
14943 게임[LOL] 9월 25일 수요일 오늘의 일정 1 발그레 아이네꼬 24/09/25 769 0
14942 일상/생각마무리를 통해 남기는 내 삶의 흔적 kaestro 24/09/25 1448 3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