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06/13 14:11:12수정됨
Name   컴퓨터청년
Subject   스탈린 방식의 '힘의 논리'는 어디까지 통할까요?
스탈린은 교황에게 이렇게 말한 적이 있습니다.
"교황이라! 교황은 몇 개 탱크 사단을 갖고 있지?"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이렇게 말한 적이 있습니다.
"총보다 펜이 강하다고 믿는 사람은 현대무기의 파괴력을 모르는 사람이다."


이토록 냉혹하고 무자비한 '힘의 논리'는 적어도 21세기 현시점에서는 절대진리로 통하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힘의 논리'는 어느 정도 선까지 통할까요?

아주 극단적인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전세계 인류를 몰살시키고도 남는 핵전력을 가진 독재국가가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현실세계에선 러시아밖에 없군요). 만약 이 독재국가에서 온 고위급 외교관이 약소국에서 그 약소국 국민에게 흉악범죄를 저질렀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정상적인 국가라면 아무리 약소국이라도 강력히 항의할 것이며, 항의로 끝나지 않을 겁니다. 최악의 경우 국교단절까지 가겠죠. 하지만 미국과 맞먹는 핵전력을 갖춘 독재국가의 최고권력자가 이렇게 협박한다면 어떨까요?
"너희들 만약 공식적으로 조금이라도 항의를 한다면, 우리는 ICBM 100개로 너희 나라 전국민들을 몰살시키겠다."

누가 봐도 미친 짓거리지만, 분명 미국과 맞먹는 핵전력을 갖춘 독재국가 앞에서는 약소국의 항의 따윈 먹히지 않을 것 같습니다. 중국이나 영국, 프랑스도 핵전력이 미국에 비할 수준이 못 되니까요(중,영,프,인도의 핵전력을 모두 합해도 마찬가지)...

그렇다면 이렇게 절대적으로 힘의 차이가 나는 상황에서는, '명분'의 가치는 휴지조각만도 못한 걸까요? 아니면 아무리 절대적인 힘의 격차가 있다 해도, 명분의 가치는 중요한 걸까요?



0


    정말로 사이어인쯤 되어서 혼자서 지구를 날려버릴 수 있는 것이라도 아닌데 그 독재국가도 사람이 모여서 이루어진 집단인데 중요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1
    컴퓨터청년
    결국 '인간의 물리적ㆍ생물학적 한계' 때문에 명분이 중요한 건가요?
    그렇다면 만약 러시아의 핵전력이 미국의 수백 배가 넘었다면, 그리고 절대다수의 러시아 국민들이 우크라이나 침공을 강력히 지지했다면 러시아의 침략행위엔 명분이 불필요해지는 건가요?
    절대다수의 러시아 국민이 우크라이나 침공을 지지하게 만드는 것이 명분 아니겠습니까? 그게 옳든 그르든 간에요.
    3
    서포트벡터
    인간의 물리학적 생물학적 한계를 변수로 보시는건 이상하군요. 그건 상수입니다. 그 한계로 인해 말씀하신 상황의 개연성이 사라집니다.

    러시아의 핵전력이 미국의 수백 배가 넘는다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해야할 이유가 사라집니다. 말씀하신 내용 중에 "핵전력이 미국의 수백 배가 넘는다"와 "러시아 국민들이 우크라이나 침공을 강력히 지지한다" 사이에 배반 관계가 성립한다는 거지요. 이걸 "명분"이라고 하니 실질적이지 못한 이데올로기 같은 느낌이 들지만, 명분은 현실에서 나옵니다.

    무력의 힘이 무제한이 아닌 이유는 그 "집단"... 더 보기
    인간의 물리학적 생물학적 한계를 변수로 보시는건 이상하군요. 그건 상수입니다. 그 한계로 인해 말씀하신 상황의 개연성이 사라집니다.

    러시아의 핵전력이 미국의 수백 배가 넘는다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해야할 이유가 사라집니다. 말씀하신 내용 중에 "핵전력이 미국의 수백 배가 넘는다"와 "러시아 국민들이 우크라이나 침공을 강력히 지지한다" 사이에 배반 관계가 성립한다는 거지요. 이걸 "명분"이라고 하니 실질적이지 못한 이데올로기 같은 느낌이 들지만, 명분은 현실에서 나옵니다.

    무력의 힘이 무제한이 아닌 이유는 그 "집단"의 무력 자체가 어떠한 이데아적 목적이 아닌 인간간의 관계에서 등장하기 때문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특정 집단의 무력이 무제한이 되는 "상황"이 가능하다면 개인 무력의 증가가 필연적으로 평균인권의 저하를 불러야겠지만, 현실은 반대지요.
    1
    본인의 힘이 나머지 모든 구성원의 힘의 합을 압도 한다면 본문대로 되겠죠.
    절름발이이리
    힘의 논리는 어디까지 통하냐: 힘의 (상대적) 크기 만큼 통함
    1
    괄하이드
    명분의 가치가 중요하니까 실제 현실에서는 본문에서 말씀하신 예시가 발생하지 않는것 아닌가요?
    아침놀
    말씀 주신 극단적인 예는 핵을 가진 독재국가-약소국가 외에 다른 국가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명분이 아직 의미를 가질 것 같습니다. 핵을 가진 독재국가가 명분도 없이 약소국가를 위협할 때, 다른 핵을 가진 국가가 '너네 핵 쏘면 우리도 너네한테 반드시 쏜다'는 의지를 강하게 내비치기만 한다면, 핵무기를 함부로 쏘지 못할테니 이를 가졌다는 힘의 우위는 상대적으로 줄어들지 않을까요. 제가 조금 더 극단적인 변수를 추가해도 될까요. '핵무기를 가진 그 독재국가가 지구 상에서 유일하게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음, 타 국가들은 이 기술을 탈취할 능력조차 없음'
    아침놀
    이런 경우에 시나리오 써보면 사실상 모든 국가가 하나의 독재국가에 종속된 상태 아닐까요. 속국이라고 말하기도 뭐하고 지방정부라 표현하는 게 더 나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속국들의 군대는 전부 해체되고 정부 인사들은 중앙의 독재국가에 의해 임명되거나 중앙의 감시 하에 선출되지 않을까요. 그러니까 힘의 논리에 따라 이미 사실상 지구가 통일돼 있는 세계에 가깝겠네요. 그렇다면 사실상 하나로 통일된 단일 지구 내에서 지방정부와 중앙정부의 권력 분배는 그 구성원들의 의지에 달려 있을 테고, 명분의 중요성은 부상하지 않을까요. 중앙의 독재국가의 지배자들도 그 정권유지를 위해서는 결국 자국민들의 지지가 필요할테고 국민들 중에 어느 날 인권운동가라도 나타난다면 그들에게는 재앙이지 않을까,,, 하는 망상이었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617 정치이화영의 '술판 회유' 법정 진술, 언론은 왜 침묵했나 13 과학상자 24/04/23 2391 10
    14603 정치정치는 다들 비슷해서 재미있지만, 그게 내이야기가 되면... 9 닭장군 24/04/16 3084 6
    14596 정치이준석이 동탄에서 어떤 과정으로 역전을 했나 56 Leeka 24/04/11 5363 6
    14595 정치방송 3사 출구조사와 최종 결과 비교 4 Leeka 24/04/11 2126 0
    14594 정치절반의 성공을 안고 몰락한 정의당을 바라보며 10 카르스 24/04/11 3211 18
    14593 정치홍차넷 선거결과 예측시스템 후기 11 괄하이드 24/04/11 2572 6
    14592 정치2024 - 22대 국회의원 선거 불판. 198 코리몬테아스 24/04/10 8000 2
    14591 정치선거일 직전 끄적이는 당별관련 뻘글 23 the hive 24/04/09 2842 0
    14583 정치총선 결과 맞추기 한번 해볼까요? 52 괄하이드 24/04/07 9184 0
    14581 정치MBC 여론M 최종 버전 14 당근매니아 24/04/07 3873 2
    14569 정치선거공보 정독하기 1 당근매니아 24/04/01 2150 6
    14553 정치지금 판세가 어떨까요 를 가늠할수 있는 지표 32 매뉴물있뉴 24/03/22 3872 0
    14518 정치오늘자 공보 파견 이슈인데요 25 붉은 시루떡 24/03/08 3121 0
    14506 정치보수 과표집의 실체에 대하여 12 매뉴물있뉴 24/03/05 3026 0
    14500 정치정당정치의 실패와 이준석, 이낙연의 한계 6 알탈 24/03/03 3102 7
    14499 정치이준석의 인기 쇠퇴를 보면서 - 반페미니즘 정치는 끝났는가? 21 카르스 24/03/03 3621 0
    14332 정치[펌] 임성근 전 사단장 진술서에 대한 해병대 생존병사 입장문 10 레이미드 23/12/14 2592 1
    14310 정치지방 소멸을 걱정하기에 앞서 지방이 필요한 이유를 성찰해야 한다. 39 Echo-Friendly 23/12/05 4862 17
    14263 정치정치적으로 중립적인 커뮤니티는 존재하는가? 37 OneV 23/11/07 4346 3
    14195 정치'대북송금·뇌물' 이화영 세번째 구속…변호인 "유례없는 일" 1 과학상자 23/10/14 2930 3
    14139 정치'실무중심 법학'의 모순과 문제점 (1) 3 김비버 23/09/10 3110 11
    14131 정치구척장신 호랑이 포수 장군의 일생 3 당근매니아 23/09/05 2620 14
    14128 정치와 지친다... 16 매뉴물있뉴 23/08/31 3612 3
    14071 정치필리핀 정치 이야기(1) - 학생운동과 NPA 4 김비버 23/07/27 3201 22
    14055 정치그냥 오늘 커뮤보면서 했던 생각 37 매뉴물있뉴 23/07/21 5434 37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