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05/31 13:25:33수정됨
Name   컴퓨터청년
Subject   요즘 네티즌들을 보면, 문과를 너무 무시하는 경향이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저는 수학을 못하는 빼박 문과인인데, 요즘 SNS(특히 네이버뉴스 댓글)를 보면 "문과충은 합리적이지 못하고 감정적이다." "이과는 논리적, 이성적, 합리적이다"라는 식의 댓글들이 주류입니다. 아마 한 5~10년 전부터 이랬던 것 같네요... 빼박 문과인으로서 서럽습니다 ㅠㅠㅠ

정말 문과 전공자는 이과 전공자에 비해 평균적으로 IQ가 낮고 감정적이며 이성적이지 못할까요? 저는 이렇게 주장하는 네티즌들이 얼마나 IQ가 높고 이성적, 합리적인지 알고 싶습니다. 막말로 대한민국 네티즌들 중 아이비리그나 옥스브리지에서 수학(또는 이론물리학)박사학위를 받은 사람이 얼마나 될지도 궁금하고요.



갑자기 흥분해서 좀 격하게 나갔네요.... ㅠㅠㅠ



1


    노바로마
    지나치게 예민하실 필요 없는 게 저 말 중에서 80~90%가 농담입니다. 애초부터 티격태격 하면서 노는거에요. 찍먹 vs 부먹, 민초 vs 반민초 이런 놀이 정도에 가까운 성격도 있습니다. 장난의 일환이기도 하니 넘어가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물론 선 넘는 말들이 실제로 있고, 진심으로 문과 무시하는 부류가 있긴 합니다만 그런 케이스는 애초부터 개념이 없거나, 어그로꾼인 경우가 많으니 진짜 무시해주시면 됩니다. 저도 진짜 가끔 선 넘는 경우 보면 기분 더러운데, 보통 그런 마인드인 사람들은 문과이과를 떠나서 문제가 많은 사람이더라구요.

    그리고 꼭 문이과 아니더라도 인터넷상으로 선 넘는 말 하는 케이스들 너무 많으니 참 킹받긴 하죠...
    4
    컴퓨터청년
    "성벽 뒤에서는 누구나 용감해진다." - 웨일스 속담

    사실 요즘 인문계를 무시하는 건 말씀하신 대로 농담도 있고, 현실적으로 취업이 어렵다보니 그런 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더군요. (다만 이공계도 전화기나 컴공 등 일부 공대 학과를 빼면...)
    이세상 이과 이론대로 살았으면 분명 지옥입니다.
    저 말 하는 분들 중 진짜 이과프로세스에 따른 광기를 한번도 생각안해보신들
    1
    컴퓨터청년
    진짜 윤리나 도덕, 감수성이 없이 이과만 지배하는 세상이 온다면.... 일제강점기 731부대의 재림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선생님 진정하십시오. 모든 네티즌이 그런 얘기를 하는 것도 아니고, 그런 말을 한다고 해서 사실로 증명되는 것도 아니며, 당연히 사실과 거리가 있는 의견이지만 그런 경향이 존재하는 게 조금이나마 사실에 기반한다 하더라도 그게 선생님과 관계 있거나 선생님을 지칭하지도 않습니다. 그런 의견이 눈에 띈다 한들 적극적으로 반론을 제기할 필요도 없습니다. 그냥 그런 생각을 하는 사람이 있을 뿐입니다. 그리고 계속해서 말씀드리지만 IQ에 대한 집착을 버리시는 게 어떤지요. 아니 오히려 일부러라도 IQ와 관련된 생각은 하지 않으시는 편이 선생님께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9
    컴퓨터청년
    좋은 댓글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집착을 버리고 쓸데없는 생각을 뿌리쳐야 하는데 참 쉽지 않네요.... ㅠㅠㅠ
    우연한봄
    제가 그런 편견이 싫어서.
    이과도 반대로 왜 그리 딱딱하냐.. 소리 듣거든요.
    저 신입때 문과출신들 틈에 끼어서 오죽하면 부사장님이 저 잘 안웃는다고 잔소리를;;;
    너무 했지여 그런건.

    여튼.
    나중에 터득하게 되거지만 말입니다.
    간단하게 우선 감정 우선형, 사고 우선형.
    으로 사람을 분류해 볼 수 있습니다.

    이과들은 사고 기능을 많이 쓰니 감정형 조차도 사고기능이 발달하고,
    문과는 그 반대겠죠.

    그렇게 서로 잘 쓰는게 다를 뿐이고.
    그런 사람들이 모여야 뭐가 돌아간다는 점인데요.

    마케팅 하나만 보... 더 보기
    제가 그런 편견이 싫어서.
    이과도 반대로 왜 그리 딱딱하냐.. 소리 듣거든요.
    저 신입때 문과출신들 틈에 끼어서 오죽하면 부사장님이 저 잘 안웃는다고 잔소리를;;;
    너무 했지여 그런건.

    여튼.
    나중에 터득하게 되거지만 말입니다.
    간단하게 우선 감정 우선형, 사고 우선형.
    으로 사람을 분류해 볼 수 있습니다.

    이과들은 사고 기능을 많이 쓰니 감정형 조차도 사고기능이 발달하고,
    문과는 그 반대겠죠.

    그렇게 서로 잘 쓰는게 다를 뿐이고.
    그런 사람들이 모여야 뭐가 돌아간다는 점인데요.

    마케팅 하나만 보더라도.
    심리적인 요소와 통계적 요소도 필요하지만,
    마케팅을 위해서 제조 설계와 손발이 맞아야 하고,
    제조 설계는 사고 기능 우선인 사람이 많겟죠.

    결국엔.
    서로 트집잡을건 없는건데..
    그냥 나와 다름으로 인해서 넌 왜 표정이 딱딱하냐. 넌 왜 이성적이지 못하냐.
    이런 지적은 성숙해 보이지 않습니다.;;;

    서로 비교우위 같은거 될 수가 없고.
    특화된 분야가 다른거에요.
    서로 그걸 받아들여야.. 한다고 봐요.
    1
    컴퓨터청년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1
    한 아이가 자전거에서 넘어져 팔에 금이 갔는데,
    넘어진 그 바닥에 앉아서 팔이 아프니 망연자실 하고 있더라고요.

    아빠는 뒤에서 오는 자전거를 의식해서 아파도 참고 옆으로 이동해야돼 (사고형)
    엄마는 많이 아프지~~ 다독다독 (감정형)

    뭐가 필요한가요? ㅋㅋㅋㅋㅋ
    사고형이 볼땐 2차사고 예방으로 사고형이 옳고,
    감정형이 볼땐 트라우마 예방으로 감정형이 옳고.

    이 조합이 잘 만들어지면 최적이긴 하죠.
    1
    인생은서른부터
    네이버 뉴스 댓글들이 굉장히 퀄 안좋다고 들었어요
    1
    컴퓨터청년
    정신건강에 진짜 해롭더군요...
    이혜리
    내가 아니면 되는 거 아닌가요,
    문과 무시 받는다고 해서 내가 무시 받는 건 아는데,
    괜한 자격지심?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요즘!?은 일단 공부 잘하는 순서대로 이과 채우고 남으면 문과 가는 거라고 하더라구요.........
    그런 얘기 보면 아무래도 문과는 무시 당해야........
    아, 저도 문과입니다.
    1
    컴퓨터청년
    요즘엔 특히 의치한약수가 대세라 더 그런지도 모르겠습니다...
    스콘과홍차
    다른사람들의 기준에 맞춰 생각하다보면 뭘해도 모지리가 됩니다.
    2
    서포트벡터
    네이버 댓글을 멀리하십시오 ㅠㅠ
    쓰레기장에 가서 쓰레기가 많다고 화내시면 아니됩니다. 이렇게 쓰레기들이 잘 분리되어 있구나 하고 감탄을 하셔야지요.
    4
    듣보잡
    실제로 이과가 문과보다 평균 IQ가 높다고 해도 거기에 별다른 의미는 없읍니다. IQ를 왜 그렇게 절대적 기준으로 삼으시나요? 실제 삶을 살아가는데 IQ는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읍니다. 그리고 이과 문과와 같은 분류 틀 자체도 참 의미없는 분류입니다. 예를 들면 INTP은 주식 투자를 잘한다는 말이 떠돌고 있는데, 설령 그 말이 사실이라고 해도 제 계좌는 우하향하고 있는데 이게 무슨 의미가 있읍니까? 키워들이 뭉뚱그려서 지껄이는 말들에 신경 쓸 이유가 하등 없읍니다.
    2
    봄과여름
    문과는 감정형, 이과는 사고형으로 구분하는 자체가 아둔한 일반화라 보네요.
    이론과 가설을 세운 후 실험을 통해 실증하는 과학적 방법론은 문이과 학문 대부분에 해당하지 않나.
    문과라 해서, 난 부자한테 많은 세금을 걷는 게 기분 나쁘니 감세해야 해 식으로 사고하는 게 아닌데.
    그리고 기본적으로 인간은 이성, 논리<감정인 동물 같고
    한국 사람이 일부 국가보다 좀더 감정에 휩쓸리는 경향이 있는 듯 합니다.
    1
    그저그런
    https://youtube.com/shorts/tTFewfo3gWc?feature=share
    쉽게풀어본반야심경.본편은 댓글에 링크걸어놨습니다
    1
    스티브잡스
    뭐 인터넷만 보면 전부다 인서울 상위권에 중산층인 거랑 별반 다를거 없는 이치죠. 실제로야 뭐 더 형편없이 사는 애들이 그런거에 과몰입합니다.
    1
    치킨마요
    이송합니당
    1
    마술사
    수학(또는 이론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은사람이 얼마나 되는지가 왜 궁금한가요?
    수학이나 이론물리학은 이과인데요?
    Velma Kelly
    네이버뉴스 댓글을 안 보시면 됩니다.

    99.9999999999999999 확률로 아무짝에도 쓸모 없음
    2
    켈로그김
    그 사람이 얼마나 대단한 사람인가는 중요하지만, 삶의 요소 중 일부입니다.

    그 사람이 어떤 성취를 이뤘는가는 중요하지만, 대단함을 이루는 요소 중 일부이지요.

    그 사람의 학벌이나 능력 역시 성취에 있어 중요하지만, 전부가 아닌 일부요소일 뿐이고

    지능은 그 사람이 학벌이나 능력을 갖추는데 있어 일정 요구치를 충족하면 족합니다.

    IQ는 지능을 조명으로 비춰서 나타나는 그림자에 가깝지만 착시가 존재하는 참고자료 중 하나일 뿐이지요.
    1
    골든햄스
    저는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IQ보다 좋아합니다~ 함 찾아보셔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000 일상/생각 팝니다: 아기 신발. 사용한 적 없음. 6 큐리스 23/06/24 2985 5
    13998 일상/생각똑같이 대하면 기분 나빠 하는 사람들의 심리? 8 ISTJ 23/06/23 3219 0
    13997 일상/생각출근전 와이프와의 소소한 대화가 너무 좋습니다. 13 큐리스 23/06/23 3337 11
    13994 일상/생각부모님이 반대하는 결혼 최종 입니다 17 이웃집또털어 23/06/20 5181 30
    13981 일상/생각저는 vs놀이를 굉장히 좋아합니다. 2 컴퓨터청년 23/06/13 2824 0
    13978 일상/생각부모님이 반대하는 결혼 사연 당사자 입니다. 20 이웃집또털어 23/06/12 6002 1
    13976 일상/생각저는 소설 <신세계에서> 같은 설정도 선호하는 편입니다. 11 컴퓨터청년 23/06/10 3184 0
    13975 일상/생각저는 스케일이 큰 판타지 세계관을 선호합니다. 10 컴퓨터청년 23/06/09 3408 0
    13974 일상/생각앞으로 1000년 정도의 세월이 흐르면, 이 세상은 천국이 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습니다. 8 컴퓨터청년 23/06/09 3266 0
    13972 일상/생각집앞에서 마약 본 썰 7 당근매니아 23/06/09 3127 1
    13971 일상/생각취업난...? 인력난...? 11 yellow1234 23/06/09 3219 0
    13961 일상/생각오은영 선생님도 포기할 최강 빌런 ㅋㅋㅋ 5 큐리스 23/06/07 3378 7
    13950 일상/생각chat_gpt에게 항성의 갯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코딩해달라고 했습니다. 7 soulless 23/06/05 3063 0
    13949 일상/생각와이프가 갑자기 코딩을 배우고 싶다고 합니다. 17 큐리스 23/06/05 3314 0
    13941 일상/생각"교황이라! 교황은 탱크 사단을 몇 개나 갖고 있답니까?" - 이오시프 스탈린 12 컴퓨터청년 23/06/03 3420 0
    13940 일상/생각신문고로 민원 하나 넣어봤습니다 4 우연한봄 23/06/03 3152 0
    13939 일상/생각지난달 학폭으로 세상의 떠난 친구의 딸 사건이 뉴스로 보도되었습니다. 2 큐리스 23/06/03 4958 9
    13937 일상/생각셀프 세차장 가격들이 쭉쭉 27 우연한봄 23/06/02 3481 0
    13935 일상/생각아..진상선생님… 4 큐리스 23/06/02 2832 0
    13933 일상/생각와이프한테 여친 드립 당했습니다. 14 큐리스 23/06/01 3968 7
    13931 일상/생각젖어들고 싶은 하루 큐리스 23/05/31 2536 2
    13929 일상/생각요즘 네티즌들을 보면, 문과를 너무 무시하는 경향이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24 컴퓨터청년 23/05/31 3425 1
    13928 일상/생각금일 아침의 여파 우연한봄 23/05/31 2511 1
    13927 일상/생각S23 한달 사용기 10 은하넘김셋 23/05/31 2969 1
    13926 일상/생각초4 딸내미의 반성문 8 큐리스 23/05/30 3177 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