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3/04/03 04:11:22수정됨 |
Name | 뛰런 |
Subject | 개인적으로 제가 인상 깊게 들었던 드라마 대사들 |
개인적으로 제가 좋아하거나 인상 깊게 들었던 드라마 대사들 정리해봤어요. https://youtu.be/-dQgtkcVmsE 이보영, 눈물의 최후변론 @너의 목소리가 들려 11회 "검사님은 지금 이 사건이 20개가 모자른 퍼즐 같다고 하셨습니다. 물론 20개가 모자른다고 코끼리 퍼즐이 사자 퍼즐이 되진 않죠. 그러나 그 20개가 없기 때문에 그 코끼리가 앞발로 사람을 밟아 죽였는지, 아니면 공을 차는건지 알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만일 여러분이 20개의 퍼즐 없이 코끼리 앞발이 채 맞춰지지 않은 퍼즐을 보며 이 코끼리는 앞발로 사람을 밟아 죽였으니 죽이는 게 마땅하다는 판결을 내린다면 어떡할까요? 그리고 그 코끼리를 죽인 후 나머지 20개가 맞춰졌을 때 코끼리의 앞발 아래 사람이 아닌 공이 있다면요? 죽은 코끼리는 절대 다시 살릴 수가 없습니다. 피고인도 마찬가지입니다. 무고하게 수십년 선고를 받고 감옥에서 인생에서 가장 빛나는 시기를 보낸다면 우리는 절대 그 시간을 되돌릴 수 없습니다. 그래서 그 망할 놈의 원칙이란 게 필요한 겁니다. 제 어머니를 죽인 범인을 놔준 개떡같은 원칙이지만 또 그 원칙이 지금 저 앞에 있는 피고인을 살릴 수 있는 지푸라기 같은 원칙이기 때문입니다." 스토리를 간단하게만 말씀드리면 합리적인 의심이란 이유로 여주인공의 어머니를 죽인 범인은 무죄로 풀려납니다. 그러나 그 여주인공은 자신의 어머니를 죽인 범인을 풀어준 바로 그 원칙으로 자신이 소중하게 생각하는 피고인의 무죄를 받아냅니다. '의심스러울 때는 피고인의 이익으로', '10명의 범인을 놓쳐도 1명의 무고한 사람을 만들어서는 안 된다'와 같은 원칙들이 때로 진짜 범인을 풀어주더라도 왜 필요한지 생각해보게 만드는 대사인 거 같아서 좋아합니다. 누군가에겐 망할 놈의 원칙이, 또 다른 누군가에겐 지푸라기 같은 원칙일 수도 있구나 싶은 생각도 들었고요. https://youtu.be/9FxTjVVJXLk "지옥에 내려가지 않을거야" 전지현, 유인나에 독설 @별에서 온 그대 12회 "사람 심리가 그렇다더라. 나보다 좋아보이는 곳에 있는 인간을 보면 나도 거기 가야겠다가 아니라 너도 내가 있는 구렁텅이로 내려와라, 내려와라 그런대. 미안한데 나 안 내려가, 니가 사는 그 구렁텅이. 누군가를 미워하고 질투하면서 사는 지옥같은 짓 나 안 해. 그러니까 나한테 내려와라, 내려와라 손짓하지마" 인생을 살면서 때론 찔리기도 하고 공감가는 대사인 거 같습니다. 과연 나는 누군가를 향해 내려와라, 내려와라 손짓하고 있지 않은지 생각해보게 되네요. https://youtu.be/n7ZzGpF-PE0 EP15-05 공유❤️김고은, 기억을 되찾고 오열하는 김고은을 찾아온 공유의 재회 키스 | 도깨비 - "천년만년 가는 슬픔이 어딨겠어. 천년만년 가는 사랑이 어딨고." - "난 있다에 한 표." - "어느 쪽에 걸건데. 슬픔이야, 사랑이야?" - "슬픈 사랑." 정말 천년만년 가는 사랑이 있을까 생각해보게 된 대사라 꼽아봤어요. 정말 천년만년 가는 슬픔도, 천년만년 가는 사랑도 있을까요? 여러분들은 지금까지 기억에 남는 드라마 명대사 같은 게 있으신지 궁금하네요. 3
|
"사고라는 게 원래 1분 1초마다 매번 계속 발생하지 않습니다. 문제 없다고 괜찮다고 원칙을 무시하다가 어느 날 배가 가라앉고 건물이 무너지는 겁니다." - 비밀의 숲 시즌 1, 황시목(조승우 분)
"진실이 불쾌할 때 우리는 진실의 존재를 잊을 때까지 거짓을 반복합니다. 하지만 진실은 여전히 존재하죠. 우리의 모든 거짓은 진실에게 빚을 지고, 언젠가 그 빚은 갚게 됩니다. RBMK 반응로는 그렇게 폭발하는 것입니다. 거짓 때문이죠."
"과학자가 된다는 것은 순진해진다는 것이다. 진실을 찾는 데만 열중한 나머지 진실을 원하는 ... 더 보기
"진실이 불쾌할 때 우리는 진실의 존재를 잊을 때까지 거짓을 반복합니다. 하지만 진실은 여전히 존재하죠. 우리의 모든 거짓은 진실에게 빚을 지고, 언젠가 그 빚은 갚게 됩니다. RBMK 반응로는 그렇게 폭발하는 것입니다. 거짓 때문이죠."
"과학자가 된다는 것은 순진해진다는 것이다. 진실을 찾는 데만 열중한 나머지 진실을 원하는 ... 더 보기
"사고라는 게 원래 1분 1초마다 매번 계속 발생하지 않습니다. 문제 없다고 괜찮다고 원칙을 무시하다가 어느 날 배가 가라앉고 건물이 무너지는 겁니다." - 비밀의 숲 시즌 1, 황시목(조승우 분)
"진실이 불쾌할 때 우리는 진실의 존재를 잊을 때까지 거짓을 반복합니다. 하지만 진실은 여전히 존재하죠. 우리의 모든 거짓은 진실에게 빚을 지고, 언젠가 그 빚은 갚게 됩니다. RBMK 반응로는 그렇게 폭발하는 것입니다. 거짓 때문이죠."
"과학자가 된다는 것은 순진해진다는 것이다. 진실을 찾는 데만 열중한 나머지 진실을 원하는 자들이 드물다는 사실을 잊고는 한다. 그러나 진실은 늘 어딘가에 존재한다. 우리 눈에 보이지 않고 우리가 보려 하지 않아도. 진실은 우리의 필요와 바람에, 체제와 이데올로기와 종교에도 관심이 없다. 진실은 숨어서 언제나 우리를 기다릴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체르노빌의 진실이 우리에게 준 선물이다. 한때 나는 진실의 대가가 두려웠으나, 이제 다만 묻는다. 거짓의 대가는 무엇인가?"
- 드라마 체르노빌, 레가소프 (자레드 해리스 분)
"진실이 불쾌할 때 우리는 진실의 존재를 잊을 때까지 거짓을 반복합니다. 하지만 진실은 여전히 존재하죠. 우리의 모든 거짓은 진실에게 빚을 지고, 언젠가 그 빚은 갚게 됩니다. RBMK 반응로는 그렇게 폭발하는 것입니다. 거짓 때문이죠."
"과학자가 된다는 것은 순진해진다는 것이다. 진실을 찾는 데만 열중한 나머지 진실을 원하는 자들이 드물다는 사실을 잊고는 한다. 그러나 진실은 늘 어딘가에 존재한다. 우리 눈에 보이지 않고 우리가 보려 하지 않아도. 진실은 우리의 필요와 바람에, 체제와 이데올로기와 종교에도 관심이 없다. 진실은 숨어서 언제나 우리를 기다릴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체르노빌의 진실이 우리에게 준 선물이다. 한때 나는 진실의 대가가 두려웠으나, 이제 다만 묻는다. 거짓의 대가는 무엇인가?"
- 드라마 체르노빌, 레가소프 (자레드 해리스 분)
https://www.youtube.com/watch?v=uAVAt5FV2uc
"LIFE IS PAIN! I wake up every morning in pain, I go to work in pain! You know how many times I wanted to just give up?! How many times I thought about ending it?!"
House m.d. Life is pain
"LIFE IS PAIN! I wake up every morning in pain, I go to work in pain! You know how many times I wanted to just give up?! How many times I thought about ending it?!"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