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2/02/23 15:53:52수정됨 |
Name | 집에 가는 제로스 |
Subject | 조재연 대법관 기자회견과 사람의 기억왜곡 |
조재연 대법관이 기자회견을 했습니다. 대장동의혹의 '그분'으로 생방송 대선토론에서 지목당한데 대하여 사실무근이라는 점을 밝히기 위해 기자회견을 자청한 것이죠. 조재연 대법관의 기자회견 취지는 1. 자신은 아무런 관련이 없음 2. 김만배 알지도 못하고 전화도 한적 없음 3. 딸들은 각각 서울, 죽전에서 살고 막내는 본인과 같이 살고 있음 30년동안 한곳에 살고 있음 문제의 수원아파트와 아무 관계없음 4. 주민등록등본이나 다른 자료 언제든 대법원검찰에 제출하겠음 언제든 부르면 검찰에도 출석하겠음 간명합니다. 뭐 이 기자회견 자체에 대한 이야기보다 사람의 기억왜곡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기자회견 중 기자들의 질문을 받았는데요. https://youtu.be/dYGfH8MUt3E?t=2154 [풀영상] 조재연 대법관, '대장동 의혹' 관련 기자회견/2월 23일(수) 중앙일보 기자의 질문 왈 녹취록을 보면 김만배가 대법관님 이름을 꼭 집어서 언급하고 따님도 언급하고 아파트도 특정해서 구체적으로 언급하는데 전혀 사실무근이라면 왜 구체적으로 널 언급했다고 생각하느냐? 고 묻습니다. 이에 조재연은 "기자분은 문제의 녹취록을 직접 보셨습니까? 거기 제 이름 석자가 직접 녹취록에 인쇄되어 있습니까?" 라고 묻자 기자는 "네"라고 합니다. (36:20) 이에 조재연은 "내가 들은 말과 다르다, 내 이름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녹취록에 그분이라고 나오는데 그분 위에 '조재연'이라고 가필한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내가 녹취록을 본 적이 없기 때문에 내 이름이 녹취록에 기재되어 있는지는 알 수 없다" 라고 답변을 합니다. 조재연의 답변은 정직한 답변이자 대법관다운 답변이라 할 수 있는데 자신이 알수 있는 범위와 알수 없는 범위를 명확히 한정지어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녹취록에 조재연의 실명이 나오지는 않습니다. 적어도 현재 공개되거나 보도된 녹취록으로는 그렇습니다. 중앙일보 기자가 착각을 한 것인지 허위주장을 통해 질문을 한 것이죠. 문제의 녹취록의'그분'이 이야기하는게 조재연으로 특정되는 것은 김만배가 조재연이라고 이름을 말해서가 아니라 "저분은 재판에서 처장을 했었고, 처장이 재판부에 넣는게 없거든, 그분이 다해서 내가 원래 50억을 만들어서 빌라를 사드리겠습니다." 라고 말한 내용이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대법관 중 '처장'이라는 호칭이 쓰이는 것은 법원행정처장이고, 녹음 2021. 2. 4. 기준 법원행정처장 출신 대법관이 조재연 뿐이므로 김만배가 말하는 '저분'이 조재연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수사기록중 녹취록에 '조재연?'이라고 표시를 한 것이고요. (검찰 수사관이나 검사가 했겠죠.) 세상에 녹취록에 대법관 이름이 나오고 그분이 조재연이라는 소리가 파다하게 나와 기자회견을 하는 중의 질문인데 기자가 그 사실관계조차 파악하지 않고 나와서 질문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아무리 직업윤리없는 쓰레기라고 해도, 착각을 했다고 해도 직접 녹취록을 봤다는 기자가 대법관이 거기 내 이름 석자가 인쇄되어 있냐 되물으며 "내 이름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녹취록에 그분이라고 나오는데 그분 위에 '조재연'이라고 가필한 것으로 알고 있다." 라고 말하는데도 녹취록에 실명이 나온다고 주장을 고수하는 것이 기자가 허위선동을 하려는 것일까요? 반대로 생각하면 그렇게 생각하기는 어렵습니다. 생중계되는 방송에서, 즉각 확인가능한 사실을 가지고, 자기 커리어를 위협할 허위선동을 하기에는 동기도 부족하고 그로써 얻어질 이익이나 효과도 생각하기 어렵습니다. (반대로, 크로스체킹이 어려운 종류의 주장은 고의적 허위선동일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렇다면 생각할 수 있는 것은 기자의 기억이 잘못된 것이죠. 그것도 지적을 받고 수정될 정도의 잠시의 착각이 아니라 반론을 받고도 자기기억이 맞다고 생각할 정도로 왜곡되어 있는 것입니다. 사람의 기억이 얼마나 쉽게 왜곡되고 잘못될 수 있는 것인가 저번 대선의 투표용지 길이 사건처럼, 사람의 기억은 쉽게 왜곡되고 조작될 수 있습니다. 증거로 뒷받침되지 않는 기억진술의 신빙성을 비판적으로 살펴봐야 하는 이유죠. 12
이 게시판에 등록된 집에 가는 제로스님의 최근 게시물
|
중요한 얘기는 아니지만 재밌는 사건으로 기억해서 좀 더 자세히 적어보자면....
당시 후보가 굉장히 많아서 평소보다 기표란 세로길이가 작아진게 1차 원인이었습니다. 도장을 칸 안에 깔끔하게 찍는게 굉장히 힘든 투표용지였고, 저도 최대한 주의를 기울였지만 결국 제가 찍은 도장이 칸 밖으로 약간 나갔던 기억이 납니다. (도장을 찍는 도구는 실제 도장이 찍히는 지름에 비해 훨씬 더 굵었기 때문에 정확한 타겟팅을 하기 힘들었죠.) 만약 후보자간 칸이 붙어있었고, 도장이 타 후보 칸을 침범하면 무효표라는 원칙이 칼같이 적용되었다면 저... 더 보기
당시 후보가 굉장히 많아서 평소보다 기표란 세로길이가 작아진게 1차 원인이었습니다. 도장을 칸 안에 깔끔하게 찍는게 굉장히 힘든 투표용지였고, 저도 최대한 주의를 기울였지만 결국 제가 찍은 도장이 칸 밖으로 약간 나갔던 기억이 납니다. (도장을 찍는 도구는 실제 도장이 찍히는 지름에 비해 훨씬 더 굵었기 때문에 정확한 타겟팅을 하기 힘들었죠.) 만약 후보자간 칸이 붙어있었고, 도장이 타 후보 칸을 침범하면 무효표라는 원칙이 칼같이 적용되었다면 저... 더 보기
중요한 얘기는 아니지만 재밌는 사건으로 기억해서 좀 더 자세히 적어보자면....
당시 후보가 굉장히 많아서 평소보다 기표란 세로길이가 작아진게 1차 원인이었습니다. 도장을 칸 안에 깔끔하게 찍는게 굉장히 힘든 투표용지였고, 저도 최대한 주의를 기울였지만 결국 제가 찍은 도장이 칸 밖으로 약간 나갔던 기억이 납니다. (도장을 찍는 도구는 실제 도장이 찍히는 지름에 비해 훨씬 더 굵었기 때문에 정확한 타겟팅을 하기 힘들었죠.) 만약 후보자간 칸이 붙어있었고, 도장이 타 후보 칸을 침범하면 무효표라는 원칙이 칼같이 적용되었다면 저를 포함하여 아마 엄청난 무효표가 나왔을겁니다.
저는 우연히 보도를 통해 투표용지가 그렇게 생겼다는 것을 미리 '알고'있었습니다. 칸이 좁아졌지만 그 대신 후보자간 칸이 '떨어져' 있을 것이고, 그래서 대놓고 타 후보와 걸치는게 아닌 이상 칸 밖으로 도장이 조금 나가는 정도는 유효표로 처리될거라는 기사를 읽은 기억이 났거든요. 투표용지를 보면서 '음 과연 기사에서 본것처럼 칸을 떨어뜨려놨네' 하고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큰 걱정없이 투표를 마쳤고, 그래서 기억이 왜곡되지도 않았습니다.
하지만 그 사전 정보가 없었던 사람들은 애초에 칸이 붙어있는지 떨어져있는지에는 관심도 없었을것이고, 투표하면서 '칸이 왜이렇게 좁아' '아 도장이 칸 밖으로 나갔네' '설마 이거가지고 무효표 처리하진 않겠지' 정도 생각들을 하게 됐을것입니다. 그런 걱정 속에 기억이 살짝 왜곡되면서 (지금까지 살면서 봐왔던 투표용지는 거의 칸이 붙어있는 용지였으므로) 도장이 나갔으니까 타 후보칸에 살짝 침범했을텐데 괜찮을까? 라는 생각에 이르게 된 것입니다.
투표용지가 붙어있었는지 떨어져있었는지는 말씀대로 원래 관심가질만한 사항이 아니지만, 내 표가 무효처리될지도 모른다는 공포가 합해지면 이제는 굉장히 의미있어지는 사항이 되죠. 하지만 원래는 의미가 없는 사항이었기때문에 그걸 따로 기억하진 않았고, 그래서 투표용지의 형태는 창조된 기억으로 바꿔치기됩니다. 투표 후에 많은 사람들이 그런 얘기를 하고 다니니 그런 이야기를 접한 사람들도 '아 맞아 나도 그랬어. 나도 도장이 밖으로 나가서 (사실은 공백으로 나간것이지만) 다른칸을 침범했던것 같아' 하고 동조하게 된 것이고요.
당시 후보가 굉장히 많아서 평소보다 기표란 세로길이가 작아진게 1차 원인이었습니다. 도장을 칸 안에 깔끔하게 찍는게 굉장히 힘든 투표용지였고, 저도 최대한 주의를 기울였지만 결국 제가 찍은 도장이 칸 밖으로 약간 나갔던 기억이 납니다. (도장을 찍는 도구는 실제 도장이 찍히는 지름에 비해 훨씬 더 굵었기 때문에 정확한 타겟팅을 하기 힘들었죠.) 만약 후보자간 칸이 붙어있었고, 도장이 타 후보 칸을 침범하면 무효표라는 원칙이 칼같이 적용되었다면 저를 포함하여 아마 엄청난 무효표가 나왔을겁니다.
저는 우연히 보도를 통해 투표용지가 그렇게 생겼다는 것을 미리 '알고'있었습니다. 칸이 좁아졌지만 그 대신 후보자간 칸이 '떨어져' 있을 것이고, 그래서 대놓고 타 후보와 걸치는게 아닌 이상 칸 밖으로 도장이 조금 나가는 정도는 유효표로 처리될거라는 기사를 읽은 기억이 났거든요. 투표용지를 보면서 '음 과연 기사에서 본것처럼 칸을 떨어뜨려놨네' 하고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큰 걱정없이 투표를 마쳤고, 그래서 기억이 왜곡되지도 않았습니다.
하지만 그 사전 정보가 없었던 사람들은 애초에 칸이 붙어있는지 떨어져있는지에는 관심도 없었을것이고, 투표하면서 '칸이 왜이렇게 좁아' '아 도장이 칸 밖으로 나갔네' '설마 이거가지고 무효표 처리하진 않겠지' 정도 생각들을 하게 됐을것입니다. 그런 걱정 속에 기억이 살짝 왜곡되면서 (지금까지 살면서 봐왔던 투표용지는 거의 칸이 붙어있는 용지였으므로) 도장이 나갔으니까 타 후보칸에 살짝 침범했을텐데 괜찮을까? 라는 생각에 이르게 된 것입니다.
투표용지가 붙어있었는지 떨어져있었는지는 말씀대로 원래 관심가질만한 사항이 아니지만, 내 표가 무효처리될지도 모른다는 공포가 합해지면 이제는 굉장히 의미있어지는 사항이 되죠. 하지만 원래는 의미가 없는 사항이었기때문에 그걸 따로 기억하진 않았고, 그래서 투표용지의 형태는 창조된 기억으로 바꿔치기됩니다. 투표 후에 많은 사람들이 그런 얘기를 하고 다니니 그런 이야기를 접한 사람들도 '아 맞아 나도 그랬어. 나도 도장이 밖으로 나가서 (사실은 공백으로 나간것이지만) 다른칸을 침범했던것 같아' 하고 동조하게 된 것이고요.
조 대법관 이름이 가필은 물론, 직접 녹취록에 언급된다는 말도 있습니다.
https://www.nocutnews.co.kr/news/5713291
===
◇ 김현정> 그런데 어제 조재연 대법관은 이렇게 얘기하더라고요. 녹취록에 조재연이라는 이름이 나온 게 아니라. 이 녹취록 종이 위에, 종이 위에 조재연이라고 누가 가필을 해 놓은 것 가지고 이렇게 됐다.
◆ 권영철> 저도 확인을 해 보니까 녹취록에 '조재연'이라고 되어 있고요. 김만... 더 보기
https://www.nocutnews.co.kr/news/5713291
===
◇ 김현정> 그런데 어제 조재연 대법관은 이렇게 얘기하더라고요. 녹취록에 조재연이라는 이름이 나온 게 아니라. 이 녹취록 종이 위에, 종이 위에 조재연이라고 누가 가필을 해 놓은 것 가지고 이렇게 됐다.
◆ 권영철> 저도 확인을 해 보니까 녹취록에 '조재연'이라고 되어 있고요. 김만... 더 보기
조 대법관 이름이 가필은 물론, 직접 녹취록에 언급된다는 말도 있습니다.
https://www.nocutnews.co.kr/news/5713291
===
◇ 김현정> 그런데 어제 조재연 대법관은 이렇게 얘기하더라고요. 녹취록에 조재연이라는 이름이 나온 게 아니라. 이 녹취록 종이 위에, 종이 위에 조재연이라고 누가 가필을 해 놓은 것 가지고 이렇게 됐다.
◆ 권영철> 저도 확인을 해 보니까 녹취록에 '조재연'이라고 되어 있고요. 김만배 쪽에서는 조재연이 아니라 이름이 비슷한 유명 법조인들이 있습니다.
◇ 김현정> 다른 사람 또 있죠.
◆ 권영철> 고위직을 지낸 분들, 그 사람 이름을 얘기했다고도 하는데 이 녹취록을 본 기자에게 물어보니까 "조재연으로 돼 있더라", 그리고 정영학이가 주석을 달아놨다. 녹취록에다가.
◇ 김현정> 그러니까 가필이 된 것도 맞지만 녹취록 속에 조재연이라는 이름도 있다?
===
https://www.nocutnews.co.kr/news/5713291
===
◇ 김현정> 그런데 어제 조재연 대법관은 이렇게 얘기하더라고요. 녹취록에 조재연이라는 이름이 나온 게 아니라. 이 녹취록 종이 위에, 종이 위에 조재연이라고 누가 가필을 해 놓은 것 가지고 이렇게 됐다.
◆ 권영철> 저도 확인을 해 보니까 녹취록에 '조재연'이라고 되어 있고요. 김만배 쪽에서는 조재연이 아니라 이름이 비슷한 유명 법조인들이 있습니다.
◇ 김현정> 다른 사람 또 있죠.
◆ 권영철> 고위직을 지낸 분들, 그 사람 이름을 얘기했다고도 하는데 이 녹취록을 본 기자에게 물어보니까 "조재연으로 돼 있더라", 그리고 정영학이가 주석을 달아놨다. 녹취록에다가.
◇ 김현정> 그러니까 가필이 된 것도 맞지만 녹취록 속에 조재연이라는 이름도 있다?
===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