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2/02/03 13:46:10수정됨 |
Name | Jargon |
Subject | 몬티홀 딜레마 이해하기 |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2
이 게시판에 등록된 Jargon님의 최근 게시물 |
현실에서 그런 일이 생길 가능성이 별로 없는게
몬티홀 딜레마를 현실에서 재현하려면
문 셋 중에 어느 문 뒤에 스포츠카가 있고 어느 문 뒤에 염소가 있는지
정확하게 알고있는 사회자의 존재가 필요하거든욥... ㅋㅋ
몬티홀 딜레마를 현실에서 재현하려면
문 셋 중에 어느 문 뒤에 스포츠카가 있고 어느 문 뒤에 염소가 있는지
정확하게 알고있는 사회자의 존재가 필요하거든욥... ㅋㅋ
저에게 저런 상황이 닥치면
[게임 관리자가 나에게 엿먹이려고 이런 상황을 세팅한게 분명해!]
라고 생각하고 그냥 있는 선택을 갈거 같습니다.
라고 했는데, 관리자는 또 역으로!
[게임 관리자가 나에게 엿먹이려고 이런 상황을 세팅한게 분명해!]
라고 생각하고 그냥 있는 선택을 갈거 같습니다.
라고 했는데, 관리자는 또 역으로!
1. A,B,C 문이 다 닫혀있을 때 A문을 선택하였음.
-A,B,C 3문 모두 당첨일 확률이 1/3이기 때문에, A문을 선택한 후 B문이나 C문으로 변경하여도 당첨 확률에 변동이 없음.
2. 1의 상황에서 참가자가 A문(혹은 B문)을 선택한 후, 어디가 당첨인지 알고 있는 사회자가 C문을 열어서 꽝이 나왔고 선택을 바꿀 찬스가 생김.
-참가자가 A문을 선택한것은 C문이 열리기 전이므로, 사회자가 문을 여는 행위는 A문이 당첨일 확률에 영향이 전혀 없음. 따라서 A문이 당첨일 확률은 1의 상황과 마찬가지로 1/3 그대로이며... 더 보기
-A,B,C 3문 모두 당첨일 확률이 1/3이기 때문에, A문을 선택한 후 B문이나 C문으로 변경하여도 당첨 확률에 변동이 없음.
2. 1의 상황에서 참가자가 A문(혹은 B문)을 선택한 후, 어디가 당첨인지 알고 있는 사회자가 C문을 열어서 꽝이 나왔고 선택을 바꿀 찬스가 생김.
-참가자가 A문을 선택한것은 C문이 열리기 전이므로, 사회자가 문을 여는 행위는 A문이 당첨일 확률에 영향이 전혀 없음. 따라서 A문이 당첨일 확률은 1의 상황과 마찬가지로 1/3 그대로이며... 더 보기
1. A,B,C 문이 다 닫혀있을 때 A문을 선택하였음.
-A,B,C 3문 모두 당첨일 확률이 1/3이기 때문에, A문을 선택한 후 B문이나 C문으로 변경하여도 당첨 확률에 변동이 없음.
2. 1의 상황에서 참가자가 A문(혹은 B문)을 선택한 후, 어디가 당첨인지 알고 있는 사회자가 C문을 열어서 꽝이 나왔고 선택을 바꿀 찬스가 생김.
-참가자가 A문을 선택한것은 C문이 열리기 전이므로, 사회자가 문을 여는 행위는 A문이 당첨일 확률에 영향이 전혀 없음. 따라서 A문이 당첨일 확률은 1의 상황과 마찬가지로 1/3 그대로이며, 꽝이 나올 확률도 마찬가지로 2/3임.
-근데 사회자가 이미 C문을 열어서 꽝이 나왔기 때문에, 선택지가 A문 B문 2개밖에 남지 않은 상황이므로, A문이 당첨일 확률이 1/3이라면 B문이 당첨일 확률은 2/3가 됨. 즉, 1의 상황에서 선택을 변경하였을 때 생기는 꽝이 걸릴 경우의 수 하나가 사라지게 된 것임.
-다시말해, 처음에 A문을 골랐을 때 B문으로 변경했을 시 C문이 당첨일 경우의 수가 사라지게 된 것임. 따라서 선택지를 변경하는 쪽이 확률이 더 올라감.
-이건 애초에 무슨 문을 고르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처음 선택을 바꾸느냐 아니냐의 문제이지만 나는 스포츠카를 얻고 싶기 때문에 어떤 문을 골라야 스포츠카를 타내느냐에 집중하게 되므로 1/2확률이라고 생각하게 됨.
머리가 나빠서 그런가 이렇게 글로 다시 정리를 해야 이해가 되네요. 근데 이렇게 이해하는 게 맞나??ㅡ,.ㅡ
-A,B,C 3문 모두 당첨일 확률이 1/3이기 때문에, A문을 선택한 후 B문이나 C문으로 변경하여도 당첨 확률에 변동이 없음.
2. 1의 상황에서 참가자가 A문(혹은 B문)을 선택한 후, 어디가 당첨인지 알고 있는 사회자가 C문을 열어서 꽝이 나왔고 선택을 바꿀 찬스가 생김.
-참가자가 A문을 선택한것은 C문이 열리기 전이므로, 사회자가 문을 여는 행위는 A문이 당첨일 확률에 영향이 전혀 없음. 따라서 A문이 당첨일 확률은 1의 상황과 마찬가지로 1/3 그대로이며, 꽝이 나올 확률도 마찬가지로 2/3임.
-근데 사회자가 이미 C문을 열어서 꽝이 나왔기 때문에, 선택지가 A문 B문 2개밖에 남지 않은 상황이므로, A문이 당첨일 확률이 1/3이라면 B문이 당첨일 확률은 2/3가 됨. 즉, 1의 상황에서 선택을 변경하였을 때 생기는 꽝이 걸릴 경우의 수 하나가 사라지게 된 것임.
-다시말해, 처음에 A문을 골랐을 때 B문으로 변경했을 시 C문이 당첨일 경우의 수가 사라지게 된 것임. 따라서 선택지를 변경하는 쪽이 확률이 더 올라감.
-이건 애초에 무슨 문을 고르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처음 선택을 바꾸느냐 아니냐의 문제이지만 나는 스포츠카를 얻고 싶기 때문에 어떤 문을 골라야 스포츠카를 타내느냐에 집중하게 되므로 1/2확률이라고 생각하게 됨.
머리가 나빠서 그런가 이렇게 글로 다시 정리를 해야 이해가 되네요. 근데 이렇게 이해하는 게 맞나??ㅡ,.ㅡ
직관과 휴리스틱이 만능이 아님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사례라..
이해가 안되어야 하는게 정상입니다. 딱 보고 맞춰버리면 신인류인거시에오..
이해가 안되어야 하는게 정상입니다. 딱 보고 맞춰버리면 신인류인거시에오..
문 3개로 생각하지 말고 문 100개로 생각하면 직관적으로도 이해가 쉬워집니다. 사실 몬티홀뿐이 아니라 상당수 문제들이 인위적으로 극단의 케이스로 변형해 보면 훨씬 쉬워질 수 있읍니다.
마지막 선택에서 1/2인 건 마찬가지인데
무조건 안바꿈이 당첨되려면 첨에 1/3 을 맞춘 경우에만 당첨
무조건 바꿈은 첨에 당첨 선택한 1/3빼곤 다 당첨.
문을 100개로 하면 안바꿈이 첨에 맞추었을 확률 1/100
첨에 못마추고 바꿔서 맞출 확률 99/100
무조건 안바꿈이 당첨되려면 첨에 1/3 을 맞춘 경우에만 당첨
무조건 바꿈은 첨에 당첨 선택한 1/3빼곤 다 당첨.
문을 100개로 하면 안바꿈이 첨에 맞추었을 확률 1/100
첨에 못마추고 바꿔서 맞출 확률 99/100
고딩때 확률 공부 좀 하고, 나름 이제 확률은 좀 자신있다고 생각하던 차에 몬티홀 보고 멘붕했던 기억이 나네요. 혹시 그림은 직접 쓰신 건가요? 멋있네요 ㅎㅎ
1픽에서 염소를 골랐다면, 2픽에서 변경했을때 무조건 스포츠카를 고르게 되고,
1픽에서 스포츠카를 골랐다면, 2픽에서 변경했을때 무조건 염소를 고르게 됩니다? ㅋㅋ
1픽에서 스포츠카를 골랐다면, 2픽에서 변경했을때 무조건 염소를 고르게 됩니다? ㅋㅋ
달아주신 댓글들 보고 이해는 했는데....
카드게임 하스스톤에 머리가 절여진듯 합니다ㅋㅋㅋ 어쨌든 뜨거나 or 안뜨거나 반반임ㅋㅋㅋ
카드게임 하스스톤에 머리가 절여진듯 합니다ㅋㅋㅋ 어쨌든 뜨거나 or 안뜨거나 반반임ㅋㅋㅋ
이 문제는 전제 조건이 있습니다. 바로 "염소"가 있는 문을 사회자가 "반드시" 보여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1. 사회자는 반드시 문을 열어야 합니다. 사회자가 경우에 따라 문을 열 수도 있고 열지 않을 수도 있다면,
즉, 지금 문을 열어 염소를 보여주는 행동이 미리 약속된 것이 아니라 사회자의 충동에 의해 발생한 임의적인 행동이라면,
사회자의 의도는 의심 받을 수 있으며, 이는 결론에 영향을 줍니다.
2. 사회자가 연 문에서 스포츠카가 나오는 경우가 절대로 발생하면 안 됩니다.
어느 문 뒤에 스포츠카가 있는지 사회자는 확... 더 보기
1. 사회자는 반드시 문을 열어야 합니다. 사회자가 경우에 따라 문을 열 수도 있고 열지 않을 수도 있다면,
즉, 지금 문을 열어 염소를 보여주는 행동이 미리 약속된 것이 아니라 사회자의 충동에 의해 발생한 임의적인 행동이라면,
사회자의 의도는 의심 받을 수 있으며, 이는 결론에 영향을 줍니다.
2. 사회자가 연 문에서 스포츠카가 나오는 경우가 절대로 발생하면 안 됩니다.
어느 문 뒤에 스포츠카가 있는지 사회자는 확... 더 보기
이 문제는 전제 조건이 있습니다. 바로 "염소"가 있는 문을 사회자가 "반드시" 보여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1. 사회자는 반드시 문을 열어야 합니다. 사회자가 경우에 따라 문을 열 수도 있고 열지 않을 수도 있다면,
즉, 지금 문을 열어 염소를 보여주는 행동이 미리 약속된 것이 아니라 사회자의 충동에 의해 발생한 임의적인 행동이라면,
사회자의 의도는 의심 받을 수 있으며, 이는 결론에 영향을 줍니다.
2. 사회자가 연 문에서 스포츠카가 나오는 경우가 절대로 발생하면 안 됩니다.
어느 문 뒤에 스포츠카가 있는지 사회자는 확실하게 알고 있으며, 그 문을 절대로 열지 않아야 합니다.
사회자가 연 문에서 스포츠카가 나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면, 역시 결론은 달라집니다.
1. 사회자는 반드시 문을 열어야 합니다. 사회자가 경우에 따라 문을 열 수도 있고 열지 않을 수도 있다면,
즉, 지금 문을 열어 염소를 보여주는 행동이 미리 약속된 것이 아니라 사회자의 충동에 의해 발생한 임의적인 행동이라면,
사회자의 의도는 의심 받을 수 있으며, 이는 결론에 영향을 줍니다.
2. 사회자가 연 문에서 스포츠카가 나오는 경우가 절대로 발생하면 안 됩니다.
어느 문 뒤에 스포츠카가 있는지 사회자는 확실하게 알고 있으며, 그 문을 절대로 열지 않아야 합니다.
사회자가 연 문에서 스포츠카가 나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면, 역시 결론은 달라집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