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2/01/29 01:23:35수정됨
Name   매뉴물있뉴
Subject   왜 '민주정'이라고 하지 않고 '민주주의'라고 하나?
https://kongcha.net/timeline2/131171
코x 회원님의 탐라를 보다가
요게 제가 예전에도 그냥 혼자 생각하던 거라서
그냥 제가 평소에 생각하던걸 주저리주저리 늘어놓아보겠습니다.

근데 문제는 말입니다.
저는 제 추측이 맞는지 틀린지 모릅니다.
저는 역사 전문도 아니고 그렇다고 번역 전문도 언어 전문도 아닙니다.
그리고 확신하는데 분명히 어딘가에서 틀렸을꺼임.
사실 저는 이 글을 쓰기위해 불과 4-5분간의 인터넷 써치만을 했습니다.
따라서 반박시 님 말이 맞을수밖에 없음.
대충 이렇게 말도안되는 말을 휘휘 갈겨놓으면
'내 이런 무식한놈을 보았나'하는 선생님들이 댓글로 수정해주시길 기대하고 있읍니다.







왜 우리는 Democracy라는 단어를 번역할때
'민주정'이라고 하지 않고 '민주주의'라는 단어를 사용하는가?
제 추측은 이렇습니다.
[정치적인 목적에서]



저는 사실 다른 지점에서 이 고민을 시작했었는데
대충 시작점은 여기였습니다.
우리가 흔히 북한을 공산주의 국가라서 나쁜 국가라고 하면서
남한은 [민주주의국가]라서 좋은 국가라고 말하곤 하잖아요?

그래서 사람들이 알게 모르게
공산주의의 반대말이 민주주의인것처럼 생각하고 뭐 그런데..
사실 공산주의Communism의 반대말은 민주주의Democracy가 아닙니다.
자유시장주의Liberalism내지는 자본주의Capitalism이 공산주의의 반대말이 되어야죠.
암튼 공산주의와 민주주의는 반대말이 아님
(코 선생님의 탐라에도 있지만 민주주의의 반대말...이 아니고 민주정Democracy의 반대말은 독재정Autocracy)

암튼 그래서 북한은 공산주의 국가고! 우리는 'xx주의'국가다! 라고 하려면
우리는 자유주의 국가다! 내지는 우리는 자본주의 국가다! 라고 해야
'정치적으로 옳은(Politically Correct?!?!)' 슬로건이 되는데,

'자유민주주의 국가다!'라는 슬로건이...
자유주의/자본주의라는 슬로건보다 훨씬 펀쿨섹하다 아임니까?
그래서 [우리는 자유민주주의 국가], 북쪽 놈들은 공산주의 국가! 라는 말을 쓰게 되면서
민주주의라는 단어가 우리 생활에 자리잡지 않았을까???
하는 뇌피셜을..........





그리고 뇌피셜을 늘어놓는김에 궁금해서 몇개 더 찾아봤습니다.
아니 그래도 사람이 말야
자게에 글을 쓰려면 인터넷을 5분정도는 검색해봐야 떳떳하지 않겠읍니까? (당당)

우리의 선조들은 데모크라시를 번역할때
처음부터 민주주의라는 단어를 쓰기 시작했을까??
아닐것 같았어요.
성경같은 경우는 최초의 번역때는 '성경'이라는 단어를 쓰지 않았고
무슨 '셩교젼서(??)' 뭐 암튼 그런 명칭이었거든요?
그래서 옛날 문서들을 몇개 뒤적거려 보았습니다.

저의 국사 지식은 빈곤하니까요!
나무위키에서 네개의 문서를 [대.충.] 뒤졌습니다.
3.1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강령/ 제헌헌법/ 현행헌법




1. 일단 3.1운동 기미독립선언서에는 '민주'라는 단어가 등장하지 않습니다.
아마도 3.1운동의 기폭제가 되었던 것이 고종황제의 승하였던 만큼
당시에는 한민족이 새로 수립하는 국가가
왕정이 되어야 하는가, 민주정이 되어야 하는가 하는 문제에서
민족대표 33인사이에 뚜렷한 합의가 없었던게?? 아닌가?? 싶고요??


2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성립될때 작성된 문서들을 보면
대한민국임시정부 강령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성립 축하문에
'민주'라는 단어가 등장하긴 하는데
역시 민주주의라는 단어가 등장하지는 않고
'민주제도', '민주국' '독립⋅민주⋅균치' 이런식으로만 사용됩니다.


3 다음으로는 제헌국회에서 나온 문서들을 대충 뒤졌습니다?
임시정부 설립당시의 문서들과 유사하게
제헌 헌법에도 '민주'라는 단어는 나와도 '민주주의'라는 단어는 안나옵니다.

근데 제헌헌법의 전문前文,
단기 4281년(1948년) 7월 12일
당시 대한민국 국회의장이었던 이승만 의장의 이름으로 발표된
제헌헌법의 전문에 [민주주의제제도를 수립하여]라는 문구를 통해
'민주주의'라는 단어가 사용되고 아마도 이것이 ​최초?? 인것 같습니다??


4 그럼 현행헌법의 전문前文에도 저 '민주주의'라는 단어가 있는가??
아뇨, 없습니다.
없어졌대요.

유신헌법 개정할때 사라졌답니다.
현행 헌법에는 '민주주의'라는 단어 대신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더욱 확고히 하여'라는 표현이 적혀있습니다.

아마도... 그 뭐랄까...
코x 선생님과 뜻을 같이하는 우수한 석학분들이
'않이 저게 지금 무슨 말이여... 민주주의가 말이고 방구고? 민주정이라 해야하능거 아잉교?'
라는걸 알고 계셨다가
헌법 개정하는 틈을 타서 쓱싹쓱싹 삭제해버리신것 아닐까??
하는 뇌피셜을 더 써보았읍니다.



인터넷 써치는 5분도 안한것 같은데
글쓰는데 왜이리 오래걸리는걸까요.
타이핑 속도가 줄었나? 내가 나이가 들었나.
왠지 오타도 자꾸 나는것같고 백스페이스도 너무 많이 쓰는것 같음..
집이 추운가 손가락이 살짝 굳었나.
오른손이 살짝 차가워서 오타가 나는 것 같은
기부니가 드는것 같기도 하고
왜 글의 엔딩이 어렵죠?
글이 빈곤해서 그런가...?;;
하긴, 글이 충실했으면
결론 대애충 간결하게 한두문장만 더 박고 끝내면 되는데
리써치가 허술하니 결론이 허술하고
글의 끝부분이 이모양 이꼴...

왜 민주정이라고 하지 않고 민주주의라는 번역어를 사용하게 되었을까요?
제 뇌피셜은
'아마도 공산주의에 대치되는 개념으로 활용하려는 정치적 목적'? 이 아니었을까?
라는 생각입니다.
근데 분명히 어딘가 틀렸을꺼에요. 댓글로 알려주시어요.
허술하게 대충 물어보는 질문글은 답글 적어주다보면 귀찮지만
'니가 여기가 틀렸어'라는 댓글을 쓰는건 왠지 더 즐겁잖아요?

사실은 탐라에 쓰다보니 글이 너무 길어져서 자게에 들고왔지만
사실은 질게에 올려야할 글일지도...
아몰랑. 도망가야겠다.



0


    릴리엘
    democracy의 일본어 번역이 民主主義이고, 그래서 우리나라도 민주주의라고 쓰게 된 것으로 압니다.
    매뉴물있뉴
    끄윽... 역시 쉬운 답이 있었어..
    ...않이 근데 걔들은 왜 민주정이라고 안하고 민주주의라고...???
    ...자기들이 왕정이라 그랬을까요? 왕정을 대체하는 개념처럼 보이지 않으려고?
    ...중국애들은 민주주의를 뭐라고 번역하지? 이따 찾아봐야겠읍니다 ㅋㅋㅋ ㅋㅋㅋㅋㅋ
    이 오류의 기원을 이해하려면 사실 플라톤의 국가를 읽어보면 되는데 사실 국가도 오역이고 정체政體라고 해야 맞다고...
    매뉴물있뉴
    ...폴리티컬 바디... 흠... 플라톤의 국가는 국가에 대한 글이 아니라 정당에 관한거에욥? (안읽어봄)
    1
    뭐 비슷합니다. 원제가 폴리테이아 이기 때문에.. 그런데 정당이라고 하는거는 현대 민주정 시스템에서 나온거고 그보다는 어떤 정치체제가 올바른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1
    후쿠자와 유키치가 조어한 단어일 겁니다 처음에는 민주주의가 아니라 하극상이라고 번역하려고 했다는 소리도 있어요
    https://www.mk.co.kr/opinion/columnists/view/2018/01/35896/
    https://jmagazine.joins.com/monthly/view/322633
    왜 데모크라시가 민주주의로 번역되었나는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30821
    이거 읽어보시면 될거 같습니다
    1
    매뉴물있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니 근데 그... 하극상 왠지 적절한것 같기도 한데...
    그 사실 대통령이 국민 눈치보게 만드는게
    (하극상)민주주의 아닌가........ ㅋㅋㅋㅋㅋ
    매뉴물있뉴
    저기 그... 혹시 그 kci.go.kr링크요...
    돈 주고 사야 볼수 있는 것인가요?
    https://www.dbpia.co.kr/Society/articleDetail/NODE10571708?pubId=IPRD00010323&selPid=&isView=N
    여기서 보시면 됩니다
    다만 뭐랄까 후쿠자와 유키치도 그렇고 논문도 그렇고 저자의 색깔이라는게 있다는걸 유념해두시는것도 좋겠네요
    그리고 일본에서 서양 단어들을 번역할 때
    http://www.nextplay.kr/news/articleView.html?idxno=2423
    이런 과정으로 번역했다는걸 아시면 더 좋아요
    3
    매뉴물있뉴
    저자의 색깔이라 하심은... 제국주의라거나 뭐 그런 느낌인가욥?
    남가주로켓연료
    조선하극상인민공화국 볼 뻔 했네요
    ???: 사실 민주주의라는 명칭은 일본에서 온 거거든요.

    ㅋ_ㅋ

    예전에 이 얘기 했던 것 같은데, 싶어서 찾아보니 있네영.
    https://redtea.kr/timeline2/11966#48425
    매뉴물있뉴
    ㅋㅋㅋㅋㅋ 번역이 잘못됬읍니다!
    이론과 달리 현실적으로 공산주의의 반대가 민주주의인건 맞죠. 그리고 스탈린 이후의 공산주의는 공산당 1당 독재를 추구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도 민주주의의 대척점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실제 역사상 존재한 공산주의 국가중에 지금의 한국만큼 민주주의가 기능한 국가도 없었잖아요 ㅎㅎ 한국 수준의 언론/집회/출판의 자유 있는 나라가 없는데요 뭘...
    매뉴물있뉴
    공산주의와 민주정이 함께 존재하지 않는다. 와
    공산주의와 민주정은 반대말이다. 는 같은 말이 아니지 않나 싶어요.
    '자본주의/독재정'인 국가도 있잖아요?
    그저그런
    자본주의와 민주정은 여집합이 아닌데, 현실적으로 공산주의와 민주주의는 교집합이 없으니까요.
    그럴땐 보통 반대말 이라고 퉁치기도 하지요. 이론적으로도 1당독재를 추구하니 자유주의랑 양립할 수도 없고..
    매뉴물있뉴수정됨
    북유럽 같은 경우를 보면
    사회주의 국가들의 경우는 꼭 독재정이 아닌 경우도 있어서...

    근데 그렇게 생각해보니
    사회주의 정권들 중에는 민주정인 경우가 다소있는데
    자칭 '공산주의정권Communist Regime'인 정권 치고
    독재정이 아닌 정권이 없긴 하네요.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를 쉽게 구분하는 방법중 하나가
    소련 소비에트 정당 (소련공산당)과의 동일체 의식인것도 있는걸 생각해보면...
    사회주의국가이면서독재정이어야 소비에트정당과 우리가 동일체인가 아닌가를 고민할수 있는건가...
    그저그런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는 엄연히 다른 정체입죠.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만큼이나요 ㅎㅎ '공산' 이니까요. 북유럽에도 코뮤니즘 정부는 없습니다.
    소비에트랑 거리를 둔 마오이즘이나 주체주의 포함 현실에 구현된 공산주의 정권은 1당/1인 독재를 하는 현실을 이야기 하는거예요. 말씀대로 독재정이 아닌 정권이 없죠.
    듣보잡
    공산주의는 경제스시템이고 민주주의는 통치시스템 아닌가요? 이게 어떻게 반대가 성립한다는 건지...
    그저그런
    관련 내용은 위에 적었으니 딱히 리바이벌 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단어의 정의만 보면 말씀에 동의합니다. 만약 공산주의 경제 시스템을 적용하면서도 민주주의가 동작하는 예시가 현실에 있었다면 위와같은 말은 하지 않았을겁니다.
    아침커피
    평소에 종종 생각하던 주제였는데 이렇게 글을 써 주셔서 감사합니다. 비슷한 맥락에서 저는 feudalism이 왜 종종 봉건'제' (봉건'주의'가 아니라) 로 번역될까 하는 것도 궁금하더라고요 ㅋ
    celestine
    이 역시 일본번역어 직수입결과라고 합니다;; 동아시아 봉건제랑 중세유럽 feudalism 은 맥락이 상당히 다른데 억지로 1:1 매칭하려다보니..
    번역을 기준으로 보면 사실 민주정 보다도 민치(혹은 민치제) 쪽이 더 어울린다고 보긴 합니다. 다만 민주주의가 단순히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을 넘어 일종의 사상이나 이념을 가리킬 수도 있다고 보므로, 민주주의라는 말이 초월번역인 면도 있긴하죠.
    은하넘김셋
    애초에 반대말로 사용하고 계신 "공산주의"도 본문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례 중에 절반은 "(1당) 독재정"으로 바뀌어야 좀 더 엄밀한 사용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그만큼 단어를 엄밀하게 사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뜻이겠지요.
    marchapril

    자유주의는 영어로 프리즘입니다.
    매뉴물있뉴
    Frism!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458 역사내가 영화 한산에 비판적인 이유 14 메존일각 23/01/04 3037 15
    13112 역사홍콩의 기묘한 도로명의 유래 10 아침커피 22/08/27 4360 34
    13037 역사조위에서 조조가 그렇게까지 잘못했나(feat.사마의) 14 OneV 22/07/31 4026 0
    12777 역사3.1 운동 직전 조선군사령관에게 밀고한 민족대표? 2 라싸 22/05/04 3359 3
    12584 역사삼국지를 다시 읽으면서... 4 로냐프 22/03/06 3971 0
    12507 역사자주포란 무엇인가? - (2) 곡사포의 등장 11 요일3장18절 22/02/10 6116 13
    12477 역사왜 '민주정'이라고 하지 않고 '민주주의'라고 하나? 26 매뉴물있뉴 22/01/29 4893 0
    12471 역사자주포란 무엇인가? - (1) 자주포 이전의 대포 14 요일3장18절 22/01/26 4674 9
    12373 역사UN군이 실제로 파병된적은 얼마나 있었을까? 6 Leeka 21/12/22 4194 1
    12090 역사뉴질랜드와 핵실험, 거짓말쟁이 프랑스. 4 코리몬테아스 21/09/18 4587 15
    12019 역사과거를 도려낸 나라의 주민이 사는 법. 15 joel 21/08/27 4505 24
    12007 역사서양 사학자 평가한 촉한 12 히하홓 21/08/24 4967 2
    11830 역사왜 작은 어머니를 숙모라고 부를까. 19 마카오톡 21/06/30 9491 20
    11794 역사춘추시대의 샌디쿠팩스. 중이. -완- 4 마카오톡 21/06/17 5359 5
    11788 역사춘추시대의 샌디쿠팩스. 중이. -중편- 4 마카오톡 21/06/15 4513 13
    11780 역사춘추시대의 샌디쿠팩스. 중이. -상편- 3 마카오톡 21/06/14 4274 14
    11775 역사평생을 가난하게 살다가 70살에 재상이 된 남자. 백리해. 17 마카오톡 21/06/10 5619 31
    11768 역사왕안석의 신법이 실패한 이유. 6 마카오톡 21/06/08 5036 17
    11718 역사(3) 뮤지컬 해밀턴 속의 역사 2막 (완) 4 매뉴물있뉴 21/05/24 4054 3
    11706 역사(2) 뮤지컬 해밀턴 속의 역사 1막-2 매뉴물있뉴 21/05/21 4338 3
    11702 역사(1) 뮤지컬 해밀턴 속의 역사 1막-1 2 매뉴물있뉴 21/05/21 3706 3
    11699 역사(0) 뮤지컬 해밀턴, 그 가장 첫 시작 5 매뉴물있뉴 21/05/20 4301 2
    11537 역사왜 멕시코는 북아메리카에 속하는가? 19 아침커피 21/03/31 6648 10
    11517 역사새뮤얼 피프스, 왕비의 미라에 입을 맞추다 2 엘에스디 21/03/24 4915 7
    11509 역사'7년 전쟁'이 '1차 세계 대전'이다. 10 Curic 21/03/21 4689 3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