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12/27 16:30:51
Name   탈론
Link #1   http://naver.me/xzcQeIe2
Subject   배달비 인상에 대해서 어떻게들 생각하세요?
옛날엔 일부업종만 가게에서 직배하던 시대에서 개인사업자와 플랫폼노동으로 완전 시장이 바뀐 뒤로는 배달비 생긴것은 막을 수 없는 흐름이었지요.
배달비 상승에 반발이 꽤 있다고 보이는데 나름대로 이유를 대 보자면...
1. 어떤 사람들은 식사의 대부분은 배달로 의존해서 생필품이다.
2. 배달비 인식은 아직도 2010년 초반?

그래도 물가상승 때문에 배달료 또한 막을 수 없는 흐름이 아닌가 싶네요.
한가지 우려되는것은 배달비를 음식값에 녹이는 행태가 지금도 사장이 나눠 내지만 더 커지지 않을까 걱정입니다. 저는 가급적 포장이나 직접 가서 먹거든요.

결론은 역시나 물가상승이 체감 되는 시기네요 흐...




0


    맥주만땅
    저는 배달비 인상에 찬성합니다.

    배달비가 인상되어야 시골의 상업시설들이 존재가능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갈수록 택배가 아니면 물건을 구할 수 없는 세상이 되어서 슬픕니다.
    7
    고기먹고싶다
    마지막줄 ㄹㅇ...
    최저임금 인상에 찬성하면서 물가 인상에 반발하는 건 이율배반이죠
    3
    배달비든 택배비등 적정가격을 향해 계속 오르내리는게 건강하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코로나에 배달 플랫폼 경쟁이 겹쳐서 배달비가 좀 과하게 책정되는 면이 있지만, 배달비를 일정 금액으로 제한해버리면 결국 노동한 만큼의 댓가를 못받게 되는 사람이 생기고, 격무에 시달려 건강을 해치는 사람들이 나올 수 밖에 없거든요.
    3
    cummings
    택배비랑 비슷한 궤에서 봐야하지 않을까요?

    시골이나 장거리는 할증이 좀 필요한듯 하고
    대도시 가까운곳(한번에 여러건 단거리로 가능한곳)은 특별히 올릴 필요 없어보이는데...

    적정가격은 시장에서 결정되겠지요.
    인상요인이 많은것 같긴 합니다.
    2
    스티브잡스
    전 이제서야 적정한 가격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비단 배달뿐만 아니라 택배나 기타 다른분야에서도 그런 움직임이 차츰 많아질듯...열심히 벌어야죠. 저도 제 벌이가 올랐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데요.
    syzygii
    일부 배달노조가 주장하는 기본료 자체를 올리고 인센티브를 줄이자 이런건 구조적 문제지만 배달료 총합은 올리든 내리든 찬성 반대를 할 문제가 아닌거같은데.. 올라간다면 어쩔수없죠 뭐
    은하넘김셋
    배달비 인상에 찬성하는데,
    배달비 일부를 점주가 부담하는 구조는 바뀌어야 한다고 봅니다.

    배달비는 오롯이 손님이 부담해야죠.
    찐타님
    음식 가격에 배달비 일부가 포함되어 있는것이라,
    손님이 부담한다 점주가 부담한다는 딱히 의미가 없습니다

    그리고 이 음식값/배달비의 배분이 옳고 그름이 아니라, 시장논리에 의해 결정되겠죠

    음식값 10000원 + 배달비 7000원
    음식값 14000원 + 배달비 3000원

    사람들은 현재 [절대로] 전자를 선택하지 않을겁니다
    배달비가 인상될때마다 '음식값을 바로바로 올릴수 없기 때문에'..
    실제로는 배달비가 올라가는건 점주가 대부분 부담하는 구조죠..

    말씀하셨듯 배달비 7000원을 사람들이 안고르니까..
    찐타님
    네 사실 말장난이긴 한데요.
    소비자가 지불하는 비용은 [음식값 + 배달료]의 총량이어서, 원가에 포함되거지
    점주/소비자가 한쪽이 부담한다는 말이 의미없다는 말을 하고싶었습니다..
    파로돈탁스
    전 담합만 아니라면 찬성. 이건 시장에서 저절로 해결이 될 수 있는 문제라 봅니다.
    4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택배비 인상은 찬성하지만 배달비 인상은 반대합니다..
    (사람 욕심이 끝이 없거든요)
    1
    배달비 인상할거면 그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더 해주면 좋겠습니다(솔직히 지금 배달비로도..). 전 분명 벨이 고장나서 노크해달라고 했는데, 문앞에 그냥 두고 가시는건 뭔지 모르겠습니다.. 시스템적으로 해결하든 서비스적으로 해결하든 내가 요구한 사항들을 좀 지켜주었으면 좋겠어요.
    1
    그 사례는 일반대행 이면 답이 없고요.
    요기요익스나 배민원은 가게 소속 아니어도 클레임이 가능하실거 같아요.
    배달 주문 관련된 비용들이 배달플랫폼 등의 장기간의 출혈경쟁(?)으로 현실적이지 않았는데, 그런 와중에 소비자들은 저렴한 배달 비용과 플랫폼 서비스에 익숙해져 있는 상태죠. 당장은 아니라도 점주, 소비자, 라이더 모두 점점 현실적인 주문/배달비용을 받아 들게 될 것 같습니다. 지금은 또 추가로 경쟁이 붙어서 여러 곳 배달 안 하고 한 집만 바로 배달하는 단건 배달 서비스들도 경쟁하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달비가 매우 저렴한(반대로 라이더에게는 프로모션으로 프리미엄이 나가는) 것은 출혈경쟁 중이라서 그렇습니다. 당연히 소비자나 점주는 비용을 고려 안 하면 단건 배달(쿠팡이츠나 배민1)이 만족도... 더 보기
    배달 주문 관련된 비용들이 배달플랫폼 등의 장기간의 출혈경쟁(?)으로 현실적이지 않았는데, 그런 와중에 소비자들은 저렴한 배달 비용과 플랫폼 서비스에 익숙해져 있는 상태죠. 당장은 아니라도 점주, 소비자, 라이더 모두 점점 현실적인 주문/배달비용을 받아 들게 될 것 같습니다. 지금은 또 추가로 경쟁이 붙어서 여러 곳 배달 안 하고 한 집만 바로 배달하는 단건 배달 서비스들도 경쟁하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달비가 매우 저렴한(반대로 라이더에게는 프로모션으로 프리미엄이 나가는) 것은 출혈경쟁 중이라서 그렇습니다. 당연히 소비자나 점주는 비용을 고려 안 하면 단건 배달(쿠팡이츠나 배민1)이 만족도가 높은데, 이게 실제로는 매우 비용이 많이 드는 서비스입니다.

    그리고, 배달료라고 뭉뚱그려 논의하면 좀 곤란할 것 같고, 배달 관련 비용들을 따로 다 함께 살펴봐야 할 것도 같습니다. 점주 입장, 소비자 입장, 라이더 입장, 배달 플랫폼 입장 등등에 따라서도 다른 것 같고.

    "누가 먼저 쓰러지나 보자"...쿠팡-배민, 러시안룰렛 게임 돌입
    https://zdnet.co.kr/view/?no=20211209123912
    2
    한국에 '현실화' 해야할 것은 단지 배달료만 있는게 아니라봐서 오히려 배달료만 인상하는건 문제를 심화시킬뿐이라는 생각입니다. 국가경제수준에 비해서 거의 모든 직종의 임금 수준이 낮은 상황이잖아요. 특히 택배 시장도 제대로 개선 안된 상태에서 그보다 훨씬 상황 좋은 배달비 개선은 순서가 잘못되었죠.
    3
    구밀복검
    배달 인력 공급은 경직적인 데에 반해 배달 수요는 끝없이 늘어나다 보니 생기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배달의 문제점으로 거론되는 것들을 살펴 보면 비싼 배달요금, 동선별 물량 집적으로 인한 지연배달, 배달물 편취, 도로교통 질서저해 같은 건데, 저것들을 결국 따져 보면 배달원 공급이 확충될 경우엔 쉽게 해결될 수 있는 거거든요. 배달원가 늘어나면 배달요금은 하락할 수밖에 없고, 배달원당 할당량이 줄어들면 동선에 따라 물량을 구태여 쌓아둘 필요도 없고, 배달 인력 경쟁이 치열해지면 헛짓거리 하는 인력들은 바로바로 도태 될 테고, 도... 더 보기
    배달 인력 공급은 경직적인 데에 반해 배달 수요는 끝없이 늘어나다 보니 생기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배달의 문제점으로 거론되는 것들을 살펴 보면 비싼 배달요금, 동선별 물량 집적으로 인한 지연배달, 배달물 편취, 도로교통 질서저해 같은 건데, 저것들을 결국 따져 보면 배달원 공급이 확충될 경우엔 쉽게 해결될 수 있는 거거든요. 배달원가 늘어나면 배달요금은 하락할 수밖에 없고, 배달원당 할당량이 줄어들면 동선에 따라 물량을 구태여 쌓아둘 필요도 없고, 배달 인력 경쟁이 치열해지면 헛짓거리 하는 인력들은 바로바로 도태 될 테고, 도로교통법을 위반해가며 과속 밟아 배달할만큼 촉박해지지도 않을 테고.. 뭐 인력만 늘어난다고 만병 통치라는 건 아니지만 아무튼 인력이 과소공급되어 있고 인력풀이 제한되어 있기에 배달 서비스 수준은 하락하는 반면 배달요금은 올라가는 일이 일어난다고 봅니다.
    궁극적으로는 지금같은 배달 서비스, 그러니까 오토바이를 운전할 줄 아는 소수의 인력들이 속도/안전/센스/효용 같은 복합적인 달성목표 사이에서 제 나름으로 스위트 스팟을 찾아야만 가능한 그런 배달 시스템이 지속가능하지 않아 보입니다. 오토바이에 능숙해야 하고, 고객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적당히 과속도 밟고 신호위반도 할 줄 알아야하고, 그러면서도 신용있게 배달물을 책임질 줄 알아야 하는 게 작금의 배달업에 요구되는 능력인데, 이런 능력을 갖춘 사람이 그리 흔할 리가 없고 진입장벽도 높죠. 다들 배달업계를 날로 돈 번다고 욕하면서도 자신이 배달을 하지는 못하는 게 현실인데 그로부터 배달료가 비쌀 수밖에 없다는 이유가 도출되는 거고요. 배달비가 지금의 배로 늘어난다고 해서 지금의 직업을 버리고 배달로 전환하고 그럴 사람이 얼마나 되겠습니까. 근데 그 정도가 된다고 한들 배달 수요가 크게 감소할 것 같진 않거든요. 결국 과도한 수요를 과소한 공급이 감당하는 상황이 반복될 텐데 그러면 문제는 더 심각해지는 거고.
    7
    준법주행 투잡러 왈 자기는 늦게 와서 고객평점이 낮대요. 아무튼 전 시장이 알아서 하겠지란 생각인데 반발이 꽤 커서 놀랐고요.
    지나가던선비
    배달인력이 늘어나면 아마 더 빨리 콜 받아내려고 도로교통 저해를 할거같단 생각이 듭니다 몇달 잠깐 해본 입장으로서는 그럴 가능성이 더 높은 사람이 많았어요 ㅠㅠ
    이기적인 엔딩 : 그냥 배달비 없는 옛날이 좋았다!
    이상적인 엔딩 : 우리나라의 인건비 자체가 너무 저평가 되어있다. 배달비 뿐 아니라 다른 인건비들도 현실적으로 책정되어, 전반적인 노동자들의 수익이 상승되었으면 좋겠다.
    부정적인 엔딩 : 중간에 배달 플랫폼 업체가 끼면서, 배달 근로자의 수익은 안 올라가는데, 플랫폼 업체만 수익을 두둑히 올림.

    세번째만 안됐으면 좋겠는데, 세번째가 될거 같..
    찐타님
    현재는 배달 노동력이 갑이니, 배달플랫폼이 독점적 지위를 누리기 어려운 상황인것 같습니다
    찐타님
    배달시장의 수요는 높고, 공급은 제한되어 있으니 가격이 오르는건 자명한 이치죠
    회사 택시기사들이 배달시장으로 대거 공급되어, 택시 운행량이 줄었다고 합니다

    이 스노우볼이 택시요금 상승 & 카택 프리미엄 택시 재출시까지 영향을 끼칠것 같습니다
    배달비 이중화가 더 빨라질 것 같고, 개인적으로는 배달료 추가금이 붙는 거리가 아닌데도 기본 3천원이 넘어가면 약간 부담스럽게 느껴지긴합니다. 5천원이 넘으면 배달 자체를 포기하게 되더군요. 그래서 배달비가 올라도 수요가 줄어서라도 맞춰지는 부분이 생기지 않을까..
    Jack Bogle
    배민 요기요 처음 생길때부터 점주가 독박쓰는 구조는 참 맘에 안들었는데... 이거부터 해결했으면 좋겠읍니다.
    배달 가격은 저렇게 개정해도 매우 싸 보입니다. 얼마나 싼 인건비에 그간 길들여져 왔는지 느끼는 바일까요.

    전 공공부문, 운송부문, 서비스부문이 '최악'이라 생각합니다. 평가를 할 때는 공급자도 들어가야 한다고 보거든요.
    배달기사들이 갖는 독점력 때문에 생산성 이상으로 받고 있죠. 그런데 딱히 해결 방법은 없을 것 같습니다. 결국 배달기사 직고용보다 더 이득이 있기 때문에 음식점에서 쓰는 거고, 그게 아니면 배달판매 자체를 안 하기 시작하겠죠.
    3
    플랫폼 노동자의 수입/고용 안정성이 직고용 노동자와 비벼 볼 만한 위상으로 변하지 않는 한
    누구에게, 어떤 유인(배달비 조정도 그 중 하나죠)을 제공하더라도 상황이 바뀌긴 어려울 것 같읍니다.
    네, 근원적, 구조적 문제라는 의미입니다.
    일상생활가능
    이 많은 의견들 중 실제 배달 필드에서 뛰어본 사람이나 배달 위탁을 맡기는 자영업자 한 분이 없다는 게 신기하네요.
    네더라이트
    배달비가 오르다 보면... 어느순간 드론 같은걸 쓰는게 수지타산이 더 맞겠다 싶은 순간이 오겠죠
    천하대장군수정됨
    뜬금없는 소리지만
    쌀값은 5년전만해도 20kg 4만 5천
    지금은 풍년이던 흉년이던 6만 천대
    물가 상승 생각하면 택도 없는 상승폭입니다

    배달비는 시장이 알아서 조정하겠지요 라는 생각이 듭니다(담합이 없다면)

    누가 뭐라던 배달업쪽 시장은 인건비나 소요에 대한 비용이 바로 바로 피드백되는게 부럽다고도 생각되네요
    아시타카
    배달 한시간에 많이해도 4-5건이죠 최저임금이 만원다되가는 세상에 보험비랑 위험성부담 고려하면 1시간에 2만원은 남겨야 할거고 배달비 5000넘어가는건 어쩔수 없는거 같습니다
    저는 사회가 너무 소비자편의 위주로 흘러가는데 소비자이지만 좀 느리게 가면 좋겠습니다. 새벽배송 없어져야한다고 생각해요. 아니면 새벽배송은 배송비 두 배 받고 하든지...

    택배비 무서워서 동네 마트가야겠다 할 정도까지 인상되고
    경제적으로 윤택한분들이 지불하도록 ..

    시장과 마트에 인심과 정이 남아있는 세상을 지켜야한다고 보아요. 예전에 중국기사인지에 보니 택배 늦으면 배달기사 벌점제도가 있다면서요. 그런 제도 도입할까 무섭습니다.
    4
    이거진짜.. 가속화된세상들이 실제로 더 편리하게 불행해지는듯.. 행복과편리함은 별개라는 생각을자주하게됩니다
    Jack Bogle
    현실은 새벽배송도 구닥다리로 만드는 15분 배송...
    배민1 배달비가 2만원이면 비싸긴 하네요..
    soulless
    당연히 비싸죠
    전, 가능하면 포장배달로 제가 직접 갑니다.
    플랫폼사업이란 그럴싸한 이름으로 개인사업자, 소비자 돈을 양쪽으로
    걸쳐 쏙쏙 빼가는데 참 어이없는 사업중에 하나에요
    매뉴물있뉴
    저도 배달비 비싸서 제가 직접 갑니다.
    퇴근길에 들른다거나 하는 식...
    EuropaV
    사람 쓰려면 돈을 내야한다는 인식이 도대체 언제쯤 생길까요
    주식하는 제로스
    비싸면 포장하고 비교하면 되죠.
    배달비/음식값이 분리가 되어야 가격에 따른 배달수요탄력성이 살아날 것 같은데, 현실은 음식값에 일부 배달비를 묻어서 장사하다보니 포장을 하더라도 사실 배달비를 부담하는 구조긴 합니다. 배달이 대세다보니 아무래도 상대적 소수는 피해를 보는거 같아요.

    플랫폼 수수료도 같은 맥락이고...
    조따아파
    더 비싸져도 좋으니, 배달기사들의 안전과 운전인들의 안녕을 위해서
    안전 정속운행을 해주면 좋겠급니다. 1인가구로 배민 한달 100넘게 쓰는 돼지인데,
    배달 더 늦어지고, 배송기사분들이 시간당 배송수가 줄어서, 배달비가 오르더라도,
    안전한 배달문화가 정착되면 좋겠어요.
    Brown&Cony
    내가 연봉 올려달라고 하는데 다른 팀장들이 득달같이 달려들어서 '넌 그몸값이 아니야' 라고 말하는 기분?
    누가 자기 몸값을 높게 책정한다는데 그걸가지고 왈가왈부 하는것도 웃기다고 봅니다.
    비싸면 이용 안하면 되는거죠.
    배달업 하는분들은 진입장벽도 낮은편이어서, 적정가격은 시장에서 잘 결정되는거 가능. 쌉가능입니다.
    3
    타는저녁놀
    여러 플랫폼 같이 써서 무리하게 두 건씩 쳐내는 거나 어떻게 막았으면 좋겠습니다. 배달 이슈 생기면 소비자나 자영업자나 안 좋고, 또 그만큼 무리한 운전으로 운해서 부정적 외부효과가 한가득입니다. 하지만 이건 배달비가 높으면 투입 시간 대비 소득이 더 들어나니까, 낮으면 더 벌어야 하니까.. 배달기사 입장에선 당연히 멀티 뛰겠죠. 오토바이 교통위반 단속이나 이런 것들이 많이 강해져야 할 것 같아요.
    1
    푸르던
    딴것보다 배달비를 음식값에 포함 안 시켰으면 좋겠습니다.
    포장으로 사갈 때 배달로 받는 사람 몫을 제가 내긴 싫거든요.
    지나가던선비
    전 서울에서만 해서 (배달기사들이 먹고살기에)그렇게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는데 지방소도시나 다른 지역은 배달난이도와 금액이 다르더라고요 인구가 적으니 할증이 덜 붙고 거리는 멀고 하는 식으로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533 일상/생각강등&부서이동 7주차 13 Picard 22/02/21 4583 26
    12524 일상/생각길 잃은 노인 분을 만났습니다. 3 nothing 22/02/18 4062 35
    12520 일상/생각네거티브 효과 8 Hi 22/02/17 4413 4
    12515 일상/생각내 고향 서울엔 11 사이시옷 22/02/14 4530 21
    12514 일상/생각워들에 빗대어 끄적여본 나의 어리석음에 대하여 5 덜커덩 22/02/13 4381 14
    12484 일상/생각임인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1 dolmusa 22/02/01 3411 3
    12483 일상/생각인간관계, 그리고 연애(1) 1 늑대를불러야지 22/02/01 4614 6
    12467 일상/생각시사in을 구독하기로 했습니다 21 매뉴물있뉴 22/01/26 4678 4
    12459 일상/생각그 식탁은 널 위한 것이라고 이야기 했다. 2 Erzenico 22/01/22 4299 25
    12454 일상/생각닷스페이스 이재명 인터뷰를 보고 9 Alynna 22/01/20 4833 0
    12453 일상/생각아이를 재우며 6 Dignitas 22/01/19 4051 14
    12449 일상/생각겨울방학이 끝나고.. 10 풀잎 22/01/17 4661 13
    12448 일상/생각지방갭투자 한번 생각해봤다가 생각 접은 후기+계약갱신청구권 7 오늘 22/01/16 4694 0
    12429 일상/생각리을 이야기 21 아침커피 22/01/10 5726 65
    12408 일상/생각패알못의 지난달 패션 입문기 및 지름 결산 14 박태 22/01/06 5047 12
    12407 일상/생각글쓰기를 위한 글 쓰기 4 *alchemist* 22/01/06 5245 7
    12400 일상/생각자기혐오 19 cotton 22/01/03 5452 47
    12395 일상/생각대한민국 청해부대 장병들 감사합니다 5 아리똥 22/01/01 3790 21
    12392 일상/생각중년 아저씨의 베이킹 도전기 (2021년 결산) (스압주의) 22 쉬군 21/12/31 4404 29
    12386 일상/생각배달비 인상에 대해서 어떻게들 생각하세요? 45 탈론 21/12/27 6579 0
    12385 일상/생각저희 아이가 다른 아이를 다치게 했다고 합니다. 9 엄마손파이 21/12/27 5455 2
    12379 일상/생각코로나19 무서워요... 흑; 22 *alchemist* 21/12/24 5276 26
    12376 일상/생각구박이는 2021년에 무엇을 어떻게 먹었나 61 구박이 21/12/23 6312 70
    12366 일상/생각국내 헤드헌터/서치펌에 대한 실망과 아쉬움 26 SCV 21/12/21 7211 14
    12359 일상/생각요리 초보의 단상 21 2막4장 21/12/19 4251 15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