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11/29 14:23:12
Name   고양이카페
Subject   둘째를 낳았습니다.
한시간 전 와이프가 둘째를 낳았습니다.

보호자 대기실에 앉아 곰곰히 생각하니, 앞으로 1년간 우리나라 저출산 대책으로 저희 부부가 수혜를 보는 금액은 도합 300만원 내외입니다. 올해 만 31세인 저와 만 29세인 와이프의 근로소득 합계는 5천 이하이며, 서울 거주 무주택자입니다. 저는 이 지원금이 터무니없이 적다고 생각합니다.

가장 염려되는 부분은 산후조리와 양육입니다. 산후조리원 2-3주에 500만원은 훌쩍 나가고, 산후조리원을 안가도 산후조리도우미를 고용하면 월 100만원 가량 소요됩니다. 그마저도 한달만 지원금이 나오고 2개월째부터는 월 220만원을 줘야 도우미분을 고용할 수 있습니다. 와에프는 제왕절개했는데, 병원에서 최소 6주간은 가사노동하지 않기를 권장합니다. 남편의 출산휴가는 주말포함 10일입니다. 남편의 육아휴직은 무급입니다. 의사와 정부정책만 봤을때는 엄마의 가사노동을 당연시하고 있으며, 남편이 가정에 기여할 방법도 마땅치 않습니다. 모아둔 자산이 없고서야 누군가의 희생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최근 오른 전세값으로 제1금융권 신용대출까지 받은 저희 부부는 제2금융권이나 주변 가족의 도움을 구해야합니다.

티비에서는 연예인 엄마들이 예쁜 조리원에서 요가도 하고 마사지도 받으며 몸매관리를 시작합니다. 그런 조치를 해주지 못하는 제가 못나게 느껴집니다. 의사들은 산후 6주간이 몸매회복의 골든타임이라고 합니다. 와이프는 괜찮다고 하지만, 첫째 낳고 나서 결혼전에 입던 옷들을 정리하던 모습이나 쇼핑하다가 마음에 든 옷의 사이즈가 없어 속상해하던 와이프의 모습이 기억나 가슴이 답답해집니다.

유튜브, 육아서적, 의사선생님들 의견은 공통적으로 최소 3년 동안은 부모가 직접 양육해야한다고 합니다. 와이프나 저나 커리어를 이어가고 싶습니다. 몇 개월전 부터 집근처 주변 어린이집과 유치원은 10여곳을 알아봤습니다. 금액은 최소 월 100만원 가량 소요되고 그마저도 대부분은 오후 3시까지 밖에 영업하지 않고 가까운 가리는 자리도 없습니다. 모아둔 자산이 없는 저희 부부는 의사의 권고대로 키우지도 못하며, 어린이집에 운좋게 맡기더라도 오후 3시에 애기를 데려올 방법이 없습니다. 저와 와이프중 한명이 휴직하거나, 이모님을 고용하거나, 주변 가족의 도움을 받아야합니다.

지금은 주변 가족들과 같은 아파트 단지에 살고 있어서 도움을 받을 수도 있지만, 2년이 지나면 상승한 전세값을 감당할 수가 없어서 이사해야할겁니다. 일가족이 다같이 이사하는게 아닌 이상 제가 셋째를 염두에 둘 일은 없습니다. 저출산 예산이 200조라고 하는데, 전혀 체감되지 않으며 몇몇 프로그램은 산모가 직접 신청해야지만 지급해줍니다. 애기를 갖는데 장애요소가 너무나도 많습니다. 주변 친구들에게 결혼은 강력히 권장하고 다닙니다만, 애기는 갖지 말라고 합니다.

저출산예산이 와닿지 못하는 이유는  1. 금액이 짜잘짜잘합니다. 건당 20-30만원 단위이며, 주택문제나 생활비문제의 답이 되지 못합니다.  2. 양육의 어려움이 있습니다. 위탁시설은 오전8시부터 오후 7-8시까지 해야 맞벌이 부부가 커리어를 이어나갈 수 있습니다.  3. 정책설계가 부모의 희생을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기본 전제부터가 맞벌이부모가 애 낳고 기를 수 있는 환경, 모아둔 자산이 없는 20대-30대초반 부부가 애 낳고 기를 수 있는 환경으로 바뀌어야합니다. 물론 난임시술 지원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구요.

이제 와이프가 병실로 옮기내요. 이만 줄여야겠습니다. 이번 대선에서 저는 부동산과 저출산대책 두개만 보려고 합니다.



27


    jnote0504
    구구절절 옳은 말씀입니다.ㅠ
    5
    고양이카페
    참고로 저는 소득의 대부분이 기타소득으로 잡히는 대학원생이며, 이런 저런 부업을 하고 있어서 가정형편이 나쁜 편이 아닙니다. 그래서 둘째를 갖자는 선택을 할 수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숨이 턱막히는 상황인데, 비슷한 상황의 다른 부부들은 애기를 가질 생각을 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하며 주절주절 적어보았습니다.
    3
    둘째 출산 축하드립니다.
    어찌되었던 좋은 일인데 마냥 기뻐 하실 수 없다는게 안타깝네요.
    그리고 당분간 신생아 육아 때문에 힘든 시기를 보내실 거라... 그것도 고생이 되시겠군요.

    저도 둘째를 키우느라 힘들었는데 지금은 세상 귀엽고 발랄한 가족의 웃음거리입니다.
    고양이카페님의 둘째도 그렇게 엄마아빠의 기쁨이 되길 바랍니다.

    어린이집은 돌봄 과정(정확한 이름을 모르겠네요) 신청하면 오후 7시 넘어서 까지도 맡길 수 있는 것으로 압니다.
    4
    칠키로
    조리원 500만원은 너무 고급이고 200만원대에 시설좋고 가성비 좋은곳도 많아요. 어린이집 비싼곳도 많겠지만 일반적인 어린이집은 비용이 들지 않고 7시까지도 연장보육 가능하고 추가비용도 없습니다. 물론 4시쯤에 하원하는 아기들이 많아서 마냥 맡기기는 좀 그렇지요..
    전세는 대출받으셨다는걸 봐서 최근 계약하신거 같은데 그럼 1회 갱신 가능하지 않나요? 아직 시간에 여유가 있으실거에요 4년뒤엔 전세값이 안정되길 바래봅니다..
    그리고 아동수당 양육수당 나오는게 은근 괜찮습니다. 적어도 분유값 기저귀값은 되는거 같네요. 꼬투리 잡자는건 아니고 스스로 불행으로 몰아넣으시는것 같아 걱정되서 얘기 드렸습니다. 둘째까지 기르기가 힘들고 어렵겠지만 더 큰 기쁨으로 돌아올거에요. 출산 축하 드립니다~
    3
    J_Square
    축하드립니다. 저희도 엄두 못내는 둘째 라니 대단하십니다.

    배우자 출산휴가는 근무일 기준 10일이므로 급여를 받고 계시고 랩실에서 근무일이 아닌데 주말포함하고 있다면 반드시 교수에게 문제제기하시기 바랍니다.

    어린이집도 요즘은 연장반 운영이 되는 사립(동네)어린이집도 많으므로 수소문하셔서 구하실수 있으시면 좋겠습니다. 아내분께서 복직하신다면 대학원 재직증명서등 동사무소에 제출하여 연장반 자격대상 인정받으실수 있습니다.
    1
    요일3장18절
    축하드립니다.

    둘째는 또 첫째와는 다른 기쁨과 즐거움이 있어요 ㅎㅎ

    글 가운데 여러가지 복잡한 감정들이 교차하시는게 느껴집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가장 시급한 것부터 처리를 시작하면 하나씩 정리가 될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1. 현재 전세 만기 전까지 (향후 2년간)은 가족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고 하셨는데.. 어쩔수 없는 부조리함은 둘째치고 일단 가장 중요한 시기에 서포트가 되는 것은 다행인 것 같습니다.

    2. 무주택 4인가족에 합산소득이 높지 않은 상황이시라면 청약이나 디딤돌대출을 알아보시면... 더 보기
    축하드립니다.

    둘째는 또 첫째와는 다른 기쁨과 즐거움이 있어요 ㅎㅎ

    글 가운데 여러가지 복잡한 감정들이 교차하시는게 느껴집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가장 시급한 것부터 처리를 시작하면 하나씩 정리가 될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1. 현재 전세 만기 전까지 (향후 2년간)은 가족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고 하셨는데.. 어쩔수 없는 부조리함은 둘째치고 일단 가장 중요한 시기에 서포트가 되는 것은 다행인 것 같습니다.

    2. 무주택 4인가족에 합산소득이 높지 않은 상황이시라면 청약이나 디딤돌대출을 알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syzygii
    딴건 잘 모르겠고 나중에 가족분들 덕분에 가점 잔뜩받아서 청약 대박나시길 기원합니다
    3
    하우두유두
    축하드립니다. 저도 올해 둘째 낳은 입장에서 남일같지않네요. 가족에 행복만 남아있길빕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1
    천하대장군
    애국자는 추천입니다
    1
    Jack Bogle
    선생님, 축하드립니다.
    선생님 축하드려요-^^
    둘째 축하드립니다. 저는 한참 늦은 나이에 결혼해서 첫째 낳고 둘째는 언감생심으로 꿈만 꾸다가 나이만 더 먹었는데, 용기 있으십니다.
    세상의빛
    축하드립니다
    축하드립니다!! 부인도 회복잘하시구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533 일상/생각강등&부서이동 7주차 13 Picard 22/02/21 4595 26
    12524 일상/생각길 잃은 노인 분을 만났습니다. 3 nothing 22/02/18 4080 35
    12520 일상/생각네거티브 효과 8 Hi 22/02/17 4445 4
    12515 일상/생각내 고향 서울엔 11 사이시옷 22/02/14 4546 21
    12514 일상/생각워들에 빗대어 끄적여본 나의 어리석음에 대하여 5 덜커덩 22/02/13 4406 14
    12484 일상/생각임인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1 dolmusa 22/02/01 3422 3
    12483 일상/생각인간관계, 그리고 연애(1) 1 늑대를불러야지 22/02/01 4633 6
    12467 일상/생각시사in을 구독하기로 했습니다 21 매뉴물있뉴 22/01/26 4692 4
    12459 일상/생각그 식탁은 널 위한 것이라고 이야기 했다. 2 Erzenico 22/01/22 4322 25
    12454 일상/생각닷스페이스 이재명 인터뷰를 보고 9 Alynna 22/01/20 4853 0
    12453 일상/생각아이를 재우며 6 Dignitas 22/01/19 4071 14
    12449 일상/생각겨울방학이 끝나고.. 10 풀잎 22/01/17 4677 13
    12448 일상/생각지방갭투자 한번 생각해봤다가 생각 접은 후기+계약갱신청구권 7 오늘 22/01/16 4715 0
    12429 일상/생각리을 이야기 21 아침커피 22/01/10 5744 65
    12408 일상/생각패알못의 지난달 패션 입문기 및 지름 결산 14 박태 22/01/06 5060 12
    12407 일상/생각글쓰기를 위한 글 쓰기 4 *alchemist* 22/01/06 5259 7
    12400 일상/생각자기혐오 19 cotton 22/01/03 5466 47
    12395 일상/생각대한민국 청해부대 장병들 감사합니다 5 아리똥 22/01/01 3801 21
    12392 일상/생각중년 아저씨의 베이킹 도전기 (2021년 결산) (스압주의) 22 쉬군 21/12/31 4425 29
    12386 일상/생각배달비 인상에 대해서 어떻게들 생각하세요? 45 탈론 21/12/27 6592 0
    12385 일상/생각저희 아이가 다른 아이를 다치게 했다고 합니다. 9 엄마손파이 21/12/27 5462 2
    12379 일상/생각코로나19 무서워요... 흑; 22 *alchemist* 21/12/24 5286 26
    12376 일상/생각구박이는 2021년에 무엇을 어떻게 먹었나 61 구박이 21/12/23 6335 70
    12366 일상/생각국내 헤드헌터/서치펌에 대한 실망과 아쉬움 26 SCV 21/12/21 7232 14
    12359 일상/생각요리 초보의 단상 21 2막4장 21/12/19 4272 15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