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07/31 09:32:33수정됨
Name   Iowa
Subject   사치품의 가치
저는 명품을 좋아합니다. 명품을 참 좋아합니다.

돈도 없는데 명품만 밝히면 옛날 유행어로 된장 남,녀라고 하지요.. 네 원룸에 이런 라운지 체어 들여놓을 뻔 했던 된장입니다.


직업상 어떤 건축물의 고급스러운 재료와 이것을 고급지게 마무리짓는 디테일, 코너부, 창틀 같은 것에 자연스레 관심이 쏠리게 되었고, 이 성향이 다른 모든 물건들에도 다 발동하게 됩니다. 이런 일을 하던 다른 친구들도 자연스럽게 마감이 자연스럽지 않은 물건들은 극혐하게 되고, 아이폰, 맥북 같은 완벽한 디테일(과연?)을 추구하는 물건들을 돈을 더 얹어 주고 사 모으게 되더군요.

언제부턴가는 '명품 시계'에 꽂히게 되었습니다. 이들 시계들은 비슷한 특성이 있어요.  쿼츠라는 가볍고 정확하고 가성비 좋은 무브먼트를 쓰는 것이 아니라 몇백년 된 기계부품으로 까다롭게 만든 시계를 만들어서 비싸게 팝니다. 가볍게 몇십 만원으로(!) 서민들 차고 다니라고 만들어주신 시티즌에서부터, 무슨 천만원대 가격부터 시작하는 랑에 운트 죄네 .. 이런 것들이 너무 아름다워 보였습니다. 저와 동년배이신 분들은 클램프라는 작가 집단의 만화책들을 기억할 거예요. 아름답게 잘 빠진 만화 주인공의 배경을 장식하던 판타지 기계부속 같은 무언가. 동심을 자극하는 이런 기계장치가 손톱만한 시계 속 부품으로 밀도있게 들어가 있는 거예요. 명품답게 보석 원석도 부품으로 몇 개 박혀있는 간지도 챙깁니다.

다행스럽게도 이것들을 사느라 월급을 탕진하지는 않았습니다. 제가 환장하는 기계식 시계들은 대부분 남성용입니다. 크기 탓인지 여성용으로는 같은 브랜드에서도 오토매틱 시계가 잘 나오지 않아요. 여성용은 얄쌍하게 쿼츠 무브먼트를 넣어 제작한 다음에, 다이아몬드 같은 것들을 박아서 남성용과 가격대를 맞춥니다(!). 내 손목만한 굵기의 남성 시계를 몇 번이고 군침 흘리면서 들여다보다가 자제할 수 있었지요.

제 월급은 사수했으나, 이러한 명품들을 전재산 바쳐가며 구매하는 다른 된장 친구들도 여럿 있을 것이구요(요즘 유행하는 카푸어 친구들이라던지..), 이걸 무슨 카시오 5만원짜리 시계 사듯 가볍게 지르는 사람들도 세상에는 있습니다. 애초에 이 사람들을 위해 만들어진 가격대이구요.

몇 천만원을 시계에 투자할 수 있는 사람들은 어떤 계층일까요. 국가와 시대를 막론하고 어떠한 노동계급의 몇 달, 몇 년어치 생존 비용을 대수롭지 않게 쓸 수 있는 계층은 존재해 왔습니다. 이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물건들, 건축물들은 그 분야의 장인이 몇 날 몇일동안 최고의 집중력과 노동력을 발휘하여 만드는 것이예요. 누구 손목에서 짤랑거리고 다니는 멋진 시계는 스위스의 최고 권위자 시계 장인의 몇 날 몇일의 노동력과 같은 가격을 지니고 있지요. 명품은 이것이 가능할 때 존재합니다. 물건이 단순하게 기능만 하는 것이 아니라 과도할 정도의 정밀함, 디테일, 장식의 완성도를 가지게 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숙련도와 노동력이 필요해요. 디테일이 1만큼 올라가게 하기 위해서는 이것에 1만큼의 노동력이 더해지는 것이 아니라 10, 100만큼 더해지게 됩니다. 완성도 50%짜리 물건을 60%로 만드는 것보다 98%짜리 물건을 99%짜리 물건으로 만드는 것이 몇십 배의 공임을 늘리는 일이기도 하구요. 즉 어떠한 명품이 완성될 정도의 노동력의 금전적 가치가 누군가에게는 일상 생활용품을 구매하는 금전적 가치와 같을 때 사치품이 탄생합니다.

이것은 지나친 일반화일 수 있어요. 최근에는 숙련공의 공임보다는 브랜드의 유명도와 눈에 띄는 디자인으로 물건의 완성도 자체는 차마 말 못할정도로 떨어지는 명품도 많습니다. 요는, 누군가를 카푸어로 만들 정도의 가격대의 물건들이 만들어지는 원리에 대해 말하고 싶었어요. 너무나 슬프지만, 내 눈을 즐겁게 해주는 명품 사치품들은 노동력의 가치에 대한 계층적 차이, 이 낙폭에서 오는 원동력으로 생성되게 된다 하는.


(아 그런데 홍차넷에 사진은 어떻게 올려야 하나요...)






5


    매뉴물있뉴
    imgbb에 올리고 img태그를 따올수도 있고
    my게시판에 사진이 첨부된 글을 올린뒤에
    그 사진 주소를 따와서 img src에 넣을수도 있읍니다
    어드전
    지금 유퀴즈 보는데 조승우 시계 좋아하는거 나오네요.
    맥주만땅
    요즘 고가제품들은 욕이 나오는 퀄리티를 자랑하는 경우가 꽤 있지요.

    면 T에 글자 하나 써 놓고 높은 가격을 받는 경우는 양반일 정도로, 고가의 차량들도 저가브랜드의 차량들과 부품을 공유하고 정밀기계들도...
    4
    둥그란인생
    결국 판타지 장사죠 명품은 ㅋㅋㅋ 판타지를 이해해야만 보이는 사치품 시장…
    마지막 문단에 말씀하신 대로 옛날 명품과 달리 요즘 '명품'은 공장에서 찍거나 저숙련공들 갈아서 만들고는 브랜드 로고만 박아서 비싸게 남겨먹는게 목적으로 삼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어서 과연 그 정도 노동력의 가치가 있는지조차 의심하게 만드는 지경입니다...
    1
    둥그란인생
    예를들어 맥라렌은 디자인은 이쁘지만 내부는 가격에 비해 어딘가 부실하다는 논란이 있더라구요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2
    둥그란인생
    허먼 밀러? 였나요 지드래곤이 차던 시계 있었는데 최소 몇천에서 몇억은 하더군요 저도 돈 많이 벌면 1억 5천짜리로 살려고 합니다 이유는 제가 허세도 된장남도 아니라 디자인?이 맘에 들더라고요 명품,사치품 뭐 별거 있겠어요? 타인의 욕망과 판타지를 적절하게 충족시키면 그게 명품이자 사치품이라고 생각합니다 맨날 싼거 먹다가 가끔씩은 비싼걸로 자신에게 호화스러움을 선물하는 느낌이랄까요? 어차피 늙어죽을거 적당히 저축하고 쓰다가 죽고 싶습니다
    둥그란인생
    어렵게 생각할 필요없이 부익부 빈익빈 이고 사람들은 결국 이득을 추구하게 되더군요 저도 그렇고요 ㅠ 목구멍이 포도청이자 명품관이죠 흑흑
    둥그란인생
    엥 검색하니 허먼은 의자브랜드였네요 ㅋㅋㅋㅋ 저 치매인듯….
    두번우려낸티백
    보급형 브랜드가 돈을 더 많이 벌다보니, R&D에 쓸 수 있는 예산도 최고급 브랜드보다는 보급형 브랜드가 넉넉할 수 밖에 없죠. 양산도 자동화가 될 수록 퀄리티도 올라가고 저렴해지는 건데…. 저렴한 제품이 완성도가 높아질 수록 명품의 영역은 좁아질 수 밖에 없죠. 분야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옛날의 보급품과 명품이 각각 70%와 90% 였다면 지금은 보급품 내에서도 80~97%까지 다양한 상품이 있고 명품은 98%의 영역에 머무는 상황이랄까요? 그 98% 조차 양산이 불가능해서라기보다는 판매 전략을 위해 남겨놓은 영역이고요.
    두번우려낸티백
    전자기기 중에 마감이 제일 좋은 축에 속하는 애플 제품들도 양산품, 그것도 외주 생산에 희소성도 없으니까요.
    두번우려낸티백
    그래도 가격 타협하지 않고 퀄리티를 올린 물건에서 오는 만족감은 상당합니다. 역으로 전반적인 물건 퀄리티가 올라갔기 때문에 흠이 잘 보이거든요. 그리고 그 흠이 물건의 쓸모에는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정 떨어지게 하는데에는 충분하니까요
    2
    둥그란인생
    어 저는 디자인을 보면 미치겠더라구요 사람 홀리게 하는 디자인이 분명히 있어요 색감도 그렇구요 ㅎㅎ 고급 티비 모니터 써보면 밑의 스팩은 쳐다도 안보게 되는 그런 느낌…
    켈로그김
    분필깎아 공 만든것도 정밀하게 잘 만들면 비싸게 팔리려나.... 열심히 노력해보겠읍니다...
    2
    사이시옷
    로고 박으시죠 kelloggkim
    조지 포먼
    부자들 돈 많아도 정품을 제값 주고 사는것보다 경매로 나온거를 통해 싸게 사는것에 더 만족감 느끼는 부류도 소수가 아니라 꽤 많죠. 뭐 세금 절감한다고 쓰잘데기 없는 외제차들 사놓고서 주차장에 짱박는 것은 흔하고 요즘은 눈에 보이는 명품 보다는 백화점에 vvip 딸려고 동네 대형마트에서 장보면 편한걸 백화점 가면서 까지 장보면서 vvip 따낼려는 것도 있고 부자들의 욕망 채우기는 날이 갈수록 다양해지는 중이죠
    둥그란인생
    욕망을 넘어 이제는 그들만의 세상이 건설중이죠 아니 이미 도래했네요…
    둥그란인생
    앗 갑자기 생각났는데 뒤돌아보니 저도 명품을 엄청 좋아하네요 단지 절제했을뿐;;;; 돈 많이 벌어야겠습니다
    가장 싼 시계는 롤렉스다 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롤렉스 중고가 방어나 인기모델 프리미엄 붙는거 엄청납니다. 스틸라인 하나 정도 들여놨다가 2-3년 잘 차시고 내놓는거도 나쁘지 않겠다 싶었습니다 ㅎㅎ
    구밀복검
    시계가 거론되어서 생각나는 건데 이런 면에서 애플 워치가 시계 시장에 격변을 가져온 건 명품이란 것이 어떤 식으로 확립되고 변화하는 건지 잘 보여주는 현상이다 싶습니다.
    1
    바라스비다히
    랑에 시계 만듬새 참 좋죠....
    글쓴님이 언급하시기도 했지만, 예전에 읽었던 글에서 명품과 사치품을 구분지어서 얘기하더라구요.

    장인이 만든 명품 =/= 브랜드 사치품 이렇게요. 외국에서도 전자는 잘 기억안나지만 후자는 그냥 럭셔리라고 하며 구분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둘 다 그냥 명품이라고 뭉뚱그려 말하니 그건 잘못됐다. 라던 글이 기억납니다.

    어찌 됐든 물건의 가치는 갖고 싶은 사람이나 가진 사람이 결정하는 것이고, 성능과 필요가 아닌 기분과 감성을 소비하는 시대가 된 지 오래기에, 필수품이 아닌 사치품이 얼마나 비싸든 그런 걸 누군가 소비하든 그냥 내 ... 더 보기
    글쓴님이 언급하시기도 했지만, 예전에 읽었던 글에서 명품과 사치품을 구분지어서 얘기하더라구요.

    장인이 만든 명품 =/= 브랜드 사치품 이렇게요. 외국에서도 전자는 잘 기억안나지만 후자는 그냥 럭셔리라고 하며 구분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둘 다 그냥 명품이라고 뭉뚱그려 말하니 그건 잘못됐다. 라던 글이 기억납니다.

    어찌 됐든 물건의 가치는 갖고 싶은 사람이나 가진 사람이 결정하는 것이고, 성능과 필요가 아닌 기분과 감성을 소비하는 시대가 된 지 오래기에, 필수품이 아닌 사치품이 얼마나 비싸든 그런 걸 누군가 소비하든 그냥 내 이야기가 아닐 뿐 별로 부정적인 생각은 안듭니다. 돈을 많이 가진 사람은 많이 쓰기도 해야 경제가 잘 돌아간다고 하기도 하구요.

    다만 예전에 손석희 아나운서가 카시오 저가형 전자시계 차는 짤이 돌아다닐 때 여성들이 비싼 핸드백 들고 다니는 거와 비교하는 반응들을 하던 사람들은 정말 웃기더군요. 비교하려면 자신들의 고급 시계나 자동차와 비교해야할텐데 말이죠.

    지적했더니 그에 대한 반격으로 여성 핸드백은 아무 이유없이 비싸지만, 자신들의 시계나 차는 성능이 좋으니 사치가 아니라 합리적인 소비라던^^

    아.. 그래서 고급 시계가 핸드폰 시계보다 정확하고, 비싼 차 타면 국내 교통법규 하에서 다른 차보다 빨리 목적지에 도착하냐고 했더니 그냥 욕하던 게 기억이 나네요^^

    물론 아주 예전 이야깁니다. 요즘엔 그런 사람들 없겠죠^^
    사실 어느 정도의 기술력이 들어갔든, 명품들 자체도 사치품으로서 기능한다고 생각해요. 언급하셨듯이 기술력이 1000배 들어갔다고 해서 시간을 더 잘 보거나 꽉 막힌 도심에서 날아다니거나 하지는 않죠. 물건의 필수적인 기능을 더한 무언가가 추가될 수록 (고급 기술력이든 고급 보석 장식이든 고급 디자이너든 말이죠) 그 잉여 가격을 감당해서 사려는 계층이 있을 때 존재할 수 있다고 생각이 들어요.
    잉여 가격을 손쉽게 지불하는 계층이 많거나 그를 따라해서 어떤 이득을 얻으려는 사람들(자기위안이든 과시든)이 많을수록 사치품 시장은 커가는 것이구요.. 이런 계층 분화를 달갑지 않게 생각하면서도 과잉 기술이 투입된 제품들은 뚫어져라 탐을 내는 제 자신의 모순이 참을 수 없어 뻘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988 경제코로나로 인한 부동산 가치의 변동 22 right 21/08/18 4949 1
    11986 게임한국 게임방송사의 흥망성쇠. 두 번째. 5 joel 21/08/15 4778 18
    11985 게임한국 게임방송사의 흥망성쇠. 첫 번째. 6 joel 21/08/15 4668 6
    11984 기타매직오일의 효용에 관하여 7 태양연어 21/08/15 5987 2
    11983 음악[국내힙합] 재지팩트 Lifes Like 7 유디스티라 21/08/15 4344 3
    11982 문화/예술서울공예박물관 후기 1 Cascade 21/08/14 5665 5
    11981 일상/생각강아지 1 거위너구리 21/08/13 4546 4
    11980 사회동북아에서 급증하는 무자녀 현상 (부제: 초저출산이 비혼'만'의 문제인가?) 19 샨르우르파 21/08/13 5433 20
    11979 일상/생각유부남이 사고싶은것 31 데미안 21/08/12 5092 1
    11978 요리/음식[정보] 와사비로 사기친 제품 목록 21 Groot 21/08/12 5866 1
    11977 사회환경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적 협력 가능성에 비관적인 이유. 21 mchvp 21/08/12 4441 1
    11976 정치왜 조민 친구의 번복된 발언은 판결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을까 68 마카오톡 21/08/11 7211 19
    11975 스포츠프로 야구는 정말 베이징 덕분에 살아났을까? 20 joel 21/08/10 5857 9
    11974 사회흑인 정체성정치의 피로함과 미국의 맑시스트 13 은머리 21/08/10 5640 17
    11973 일상/생각회사에서 한계를 느낄 때 드는 생각. 8 세모셔츠수세미떡 21/08/09 5749 8
    11972 스포츠리오넬 메시의 바르셀로나 작별 연설 전문 3 손금불산입 21/08/09 5176 2
    11971 정치(이재명vs이낙연) vs (윤석열vs이준석) 26 Picard 21/08/09 4159 0
    11970 정치탈원전은 없었다. 32 과학상자 21/08/09 5575 12
    11969 스포츠국가대표 박찬호 1 danielbard 21/08/08 4957 1
    11968 게임[스타2] [이미지 초스압] 자날 캠페인 노치트 무손실 클리어 성공했습니다. 12 호타루 21/08/08 4887 14
    11967 스포츠여자배구 준결승 배민 이벤트 결과 발표!!! 14 Regenbogen 21/08/06 4705 18
    11966 스포츠여자배구 선전을 기원하는 배민 상품권 이벤트!!! 37 Regenbogen 21/08/06 4277 3
    11965 일상/생각홈쇼핑 바가지 정말 엄청나군요. 17 루카와 21/08/06 4821 1
    11964 정치국당은 국힘의 발목을 잡을 수 있을까..? 8 Picard 21/08/06 3915 1
    11963 경제지구본 연구소-농업편(농업이 진정한 선진국 사업인 이유) 22 copin 21/08/05 4995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