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1/06/10 03:05:13 |
Name | 요일3장18절 |
Subject | ‘원폭만큼 치명적인’ 미군의 부산항 세균실험 -시사인 |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442 오바마 정부때부터 부산항 쪽 미군부대에서 세균전 실험을 했다는 내용인데 기사를 잘 읽어보면 부산 뿐만 아니라 국내 곳곳에서 엄청 많이 했네요. 누출 사고도 있었고.. 기사 말미의 문단이 눈에 들어옵니다. "2차 세계대전 때 원자폭탄이 투하된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는 현재 사람들이 산다. 그러나 1942년 단 한 번 탄저균 실험을 진행한 영국의 그뤼나드섬은 이후 약 50년 동안 사람이 출입할 수 없는 불모지로 남겨졌다. " 4
이 게시판에 등록된 요일3장18절님의 최근 게시물
|
기사의 취지에는 공감하고 주장에도 동의합니다만 마지막 문단은 좀...
일단 비교를 하려면 핵 사고가 일어난 곳이나 핵실험을 한 곳과 비교해야겠지요. 6등급 이상의 원자력 사고가 난 곳은 지금도 출입이 안 되고 있고, 핵실험장들도 (예를 들어 비키니 환초라던가...) 출입 못하고 있다고 알고 있읍니다.
그뤼나드 섬에서는 1940년부터 탄저균 실험을 했읍니다. 한 번만 한 게 아니에요. 43년까지 꾸준히 이뤄졌어요. 당시 기술로는 탄저균의 포자를 완전히 파괴하기 어려워서 제독/제염에 실패했던 것이고 90년대에 가서야 제독을 마칠 수 있었지요.
기자가 방사능/생물학적 사고의 개념을 잘 이해하지 못했던지 자료 조사를 게을리 한 것이 아닐까 싶읍니다. 시사인 초창기엔 이렇지 않았는데 말이죠...
일단 비교를 하려면 핵 사고가 일어난 곳이나 핵실험을 한 곳과 비교해야겠지요. 6등급 이상의 원자력 사고가 난 곳은 지금도 출입이 안 되고 있고, 핵실험장들도 (예를 들어 비키니 환초라던가...) 출입 못하고 있다고 알고 있읍니다.
그뤼나드 섬에서는 1940년부터 탄저균 실험을 했읍니다. 한 번만 한 게 아니에요. 43년까지 꾸준히 이뤄졌어요. 당시 기술로는 탄저균의 포자를 완전히 파괴하기 어려워서 제독/제염에 실패했던 것이고 90년대에 가서야 제독을 마칠 수 있었지요.
기자가 방사능/생물학적 사고의 개념을 잘 이해하지 못했던지 자료 조사를 게을리 한 것이 아닐까 싶읍니다. 시사인 초창기엔 이렇지 않았는데 말이죠...
양념 떼고 보아도 주한미군은 전적도 화려하고 책임감 없고 신뢰도 팍팍 깎아 먹어서..
https://namu.wiki/w/%EC%A3%BC%ED%95%9C%EB%AF%B8%EA%B5%B0%20%EB%8F%85%EA%B7%B9%EB%AC%BC%20%ED%95%9C%EA%B0%95%20%EB%AC%B4%EB%8B%A8%20%EB%B0%A9%EB%A5%98%20%EC%82%AC%EA%B1%B4?from=%EC%A3%BC%ED%95%9C%EB%AF%B8%EA%B5%B0%20%ED%95%9C%EA%B0%95%20%EB%8F%85%EA%B7%B9%EB%AC%BC%20%EB%AC%B4%EB%8B%A8%20%EB%B0%A9%EB%A5%98%20%EC%82%AC%EA%B1%B4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