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04/07 11:18:46
Name   바보왕
Subject   하이퍼 FPS와 한국 게임의 상호 단절
같은 문화를 향유한다고 해서 같은 집단이 되지는 않습니다. 갈라파고스화라는 일본어를 굳이 들먹이지 않아도 모두가 아는 사실입니다. 같은 장소라도 다른 시대와, 같은 시대라도 다른 장소와 어울리지 않으면 집단은 외부와 유리된 이해범주를 누리게 되고, 이는 곧 특수한 용어와 개념의 창발로 이어집니다.

사실 흔하고도 당연한 일이고요.

보통 이런 개념이 긍정적인 현상이 되는 경우가 많지만, 오늘 제가 말하려는 대상은 좀 더 부정적인 현상에 가깝습니다. 다시 말해, 단절이 낳은 왜곡입니다.

한국 게임도 당연히 외부와는 동떨어진 이해범주를 규정하는 특수한 용어를 쓰곤 하는데, 그 중에는 [하이퍼 FPS]라는 것이 있습니다. 저는 슈퍼 FPS가 뭔지도 모르겠는데, 하이퍼 FPS는 우리 마음 속에 있습니다.

하이퍼라니, 도대체 뭐가 하이퍼하단 말인가? 사실 정확히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습니다. 물어봐도 말도 안 해줍니다. 아니 말을 해주는 사람끼리도 누가 맞는지 놓고 싸웁니다. 장르의 정의를 놓고 키배가 벌어지면 그게 장르가 맞기는 한가요?

다만 대답을 해주는 사람의 의견을 통틀어 보자면 어떤 경향은 있습니다. 우선 배경이 되는 시대가 현대보다 앞서나갔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광대한 우주 공간이 배경이라는 뜻일까요?

어떤 사람은 콜옵, 배필, 혹은 ARMA나 레드 오케스트라 같은 밀리터리 혹은 택티컬 슈터 게임과 구분되는 긴장성, 격렬함, 높은 플레이어 체력 수준을 거론하기도 합니다. 한 마디로 정신없이 뛰어다니면서 쏴제치고 총알을 맞아도 레인보우 식스보다는 쪼끔 더 오래 산다 이거죠.

여기서 의문이 시작됩니다.

시대가 미래라면 하이퍼 FPS인가요? 딥 락 갤럭틱, 데드 스페이스, 섀터드 호라이즌, 스타워즈 배틀프론트(....엄밀히 말하면 과거지만 넘어갑시다) 같은 게임은 모두 하이퍼 FPS일까요?

우주 드워프와 데드 스페이스가 그렇게 분류되는 건 한 번도 못 본 데다(데드 스페이스의 경우 숄더 뷰라는 시점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체 디자인이 말이죠) 섀터드 호라이즌, 배틀프론트는 그냥 배필에 우주 스킨 씌우고 영웅유닛 나오는 것뿐이지 않던가요? 하이퍼 FPS 용어를 쓰는 사람도 이들 게임을 그쪽으로 분류하는 경우는 자주 보지 못했습니다.

격렬한, 그리고 체력 수준이 높은 (단순히 숫자가 높다 낮다가 아니라, 피해를 받았을 때 생존 가능한 기회가 많고 평균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사례라는 뜻입니다) 게임이면 하이퍼 FPS입니까? 그런 게임을 제가 몇 개 알고 있습니다. 배틀그라운드, 워해머 버민타이드 2, 페이데이, 콜오브 듀티 모던워페어 시리즈. 특히 모던은 동명의 클래식 넘버 시리즈에 비해서 체력 수준이 높고, 전장의 구성이 과격하다는 평가를 꾸준히 받고 있습니다. 이들은 하이퍼 FPS인가요?

오히려 체력 수준이 극도로 낮고 (그러니까 한 번 물리면 메르시 바티스트가 오지 않는 한 순식간에 죽는 게 일상인 게임이란 소리죠) 팀단위 전술전략 또한 개인 실력만큼 중요하게 보는 오버워치를 '느낌이 그러니까' 하이퍼 FPS의 대표로 언급하는 데서 저는 모순의 극치를 느낍니다.

그럼, 오버워치의 디자인 전신인 팀포 시리즈도 하이퍼 FPS로군요. 이렇게 되물었을 때, 사람들은 "당빠지 이 멍청한 놈아!"와 "아니 그건 다르지 이 멍청한 놈아!"로 대답을 가르기까지 하죠. 왜 하나는 논란의 대상인데 다른 건 논란조차 되지 않는 겁니까? 그래도 발로란트가 하이퍼 FPS인지 여부는 논란의 대상은 아니더군요.

여차저차 정리하면, 한국에서 말하는, 그리고 제가 이해하는 하이퍼 FPS라는 장르는 스스로의 경계조차 짓지 못한 ['그냥 느낌이 좀 그런' 총겜의 집합]에 불과합니다. 심지어 장르를 구성하는 사례조차 원칙 없이 사람마다 다릅니다. 원칙에 의해서 한 장르로 인정하느냐 마느냐가 아니라 '그냥 느낌이 그렇다'는 겁니다.

그게 중요한 부분이에요. 내일은 다를지 모르겠는데, 적어도 오늘까지는 그렇습니다.

왜곡은 대체로 단절에서 발생합니다. 같은 장소의 다른 시대, 혹은 같은 시대의 다른 장소와 외따로 떨어진 상태에서 타자를 이해하기보다 자신의 타당함을 강요하는 데만 치중하면, 자신을 설명하기 위한 각종 논리를 만들어내게 되는 거죠.

논리의 완결성을 위해 해당 문화권 사람들이 뭉쳐 커뮤니티나 위키의 탈을 쓰고 타당성을 뒷받침하기도 하지만, 더 큰 물과 섞이지 못한 상태에선 결국 똑같은 사람들끼리 맞장구치는 소꿉놀이일 뿐. 외부인이 보면 "그럼 이건 왜 아니냐" 소리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

뭐... 지류를 무시한 채 주류에서만 몸담그고 노는 사람들이 서로 짝짜꿍하는 것도 똑같은 소꿉놀이일 뿐이긴 하지만요. 하지만 이쪽은 그나마 다양함이 모여 수렴하는 보편성을 흉내라도 내긴 합니다.

한국의 경우 게임에 단절이 가시화된 최초의 계기가 저는 PC방의 출현이 아니었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딱히 통계 근거가 있는 건 아니지만, 왜곡이 발생하는 한국 게이머 집단이 공통적으로 향유하는 이해와 몰이해의 대상을 볼 때, 명백히 나타나는 어떤 경향성이 있거든요. (물론 그 이전에서 80년대 게이머와 90년대 게이머, 아케이드 게이머와 어드벤처 게이머 사이의 의견 갈등은 있었습니다)

스타와 바람, "조금" 더 역사가 유구하면 창세기전 단군의땅이 홈구장인 반면 위저드리, 둠, 웨이스트랜드(특히 1), 미스트 같은 게임은 잘 나오지 않죠. 한편 후자의 게임군을 자주 언급하는 집단은 반대로 "큰물"의 개념 역시 자유롭게 끌어다 쓰는 모습을 보여주고요, 한국 집단이라도.

바꿔 말하면, 한국 게이머 사이에서도 즐기는 게임의 범위에 따라 이해의 단절이 나타날 수 있고, 이미 그 단편이 시야에 잡힌다는 얘기도 됩니다.

그리고 PS2를 시작으로 한 게이밍 콘솔의 보급, PC 사양의 상향 평준화, 아프리카와 트위치를 이용한 게임 방송의 대두 등 한국 게임계는 때로 보편하고 때로 특수한 여러 사건을 거치면서 저변을 넓혀 나갔습니다만, 그 과정에서 유입된 새로운 소비자끼리 서로의 영역을 교환하는 일은 상대적으로 적었습니다.

아직도 한국 게이머들은 서로에게 낯선 존재라는 거죠. 콘솔이나 하는 놈, 스팀이나 하는 놈, 롤이나 하는 놈, 와우나 하는 놈, 뭐뭐나 하는 놈. 개돼지, 씹덕, 비틱 등의 용어가 단순한 멸칭이나 웃음거리가 아닌 "용어를 쓰는 사람의 정체성"까지도 규정하고 있다는 현상은 한국 게이머가 겪고 있는 상호 단절의 좋지 않은 편린입니다.

그리고 그 상호 단절의 표면에는, 공통점과 차이라는 원칙 대신, 한 게임이 다른 게임과 정확히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른지를 구분하려는 노력 대신, 한 게임과 닮은 다른 게임이 무엇이 있고 닮지 않은 게임은 무엇이 있는지를 살펴보는 모험 대신 향유자의 느낌을 충족하기 위해 만들어진 한 장르 용어가 있습니다.

그런 겁니다.



2


    바보왕
    좀 다른 얘기지만 한국 게임에서 뭔 화제거리가 나오기만 하면 맨날 우리끼리, 게이머끼리 싸운다고 왜그러냐 하는 외부인도 종종 있습니다. 우리 모습이 이렇다는 걸 깔고 봐주시면 그래도 좀 더 이해에는 도움이 될지도 모릅니다.

    게임한다고 다 같은 게이머가 아니라능.
    하능 게임이 뭐냐에 따라서 사람끼리도 보능 게 다르다능
    사이시옷
    로켓점프 방방 뛰어다니며 초속으로 가속 점프하면서
    멀어서 점으로 보이는 사람 레일건으로 아작내는게 하이퍼FPS 아닌가욤? 쬽쬽.
    둠2, 퀘이크 모뎀 플레이가 그립읍니다 라고 삼촌이 말씀하십니다.
    1
    Carl Barker
    그게 아마 한국에서만 한정적으로 쓰이는 용어일 겁니다. 구글에 영어로 hyper fps라 검색해 보면 영 엉뚱한 결과가 나오는걸 볼 수 있습니다. 그 흔한 위키피디아 문서도 안나오죠.
    사이시옷
    넵. 저도 검색해보니 엉뚱한 결과만 나오는군요.
    윤지호
    오버워치가 카스글옵과 다른 종류의 게임이라는 것은 알겠는데, 그걸 어떻게 정의하기 위해 하이퍼FPS라는 이야기가 나온게 아닐까 싶어요 ㅎㅎ

    물론 여기에서 카스글옵에서 어디까지의 변형을 정통FPS로 정의할지에 대한 문제가 있을 겁니다. (뭐 본문에 써주신 대로 이건 수많은 논란거리 중 하나에 불과한 문제긴 하죠) 예를들면, 렌보6 시즈는 정통FPS일까요?
    듣보잡
    근데 게임 유저층이 파편화되어 있는게 한국의 문제에요?
    바보왕
    한국만 이러냐? 모두가 그럽니다.
    이러면 안되냐? 그때 그때 다르죠.

    다만 우리가 어떤 모양새로 존재하는지, 거기서 좋은 점도 물론 있겠지만 나쁜 점도 있을 것이며, 그 중 하나는 독자적인 용어를 사용한 개념 왜곡이라는 걸 알아두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파편화를 하지 말자기보다 교류를 하자 정도 의견으로 봐주심 감사하겠습니다. 처음에 밝혔듯 문화 격리(혹은 단절 역시)가 만드는 좋은 점이 보통 많지만, 오늘 들고 온 사례가 좀 안 좋은 사례인 겁니다.
    국내에서 하이퍼 fps라고 불리는 경계가 정립되지 않은 fps 장르와
    갈라파고스 현상이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단순히 경계가 없다는 것만이 아니라, 원칙 없음과 원칙 없음을 해소하기 위한 논의 역시 없음이 곧 왜곡입니다. 물론 왜곡을 포함한 여러 특수성(좋은 것도 많죠. 혁신도 있고)의 발생은 사람 사는 어디나 벌어지는 일이라 그 발생 자체가 단절을 뜻하진 않습니다. 다만 외부와 소통이 활발한 곳이라면 왜곡이 일어나다가도 어어 이건 뭔가 아니던데 하면서 자정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그냥 옆집 사람들 하는 거 보면 보이잖아요. 우리가 뭐하는 건지.

    봇전으로 다진 나만의 쩔어주는 컨트롤이 랭겜 가면 사람 상대로 검증되는 것과 같습니다. 반... 더 보기
    단순히 경계가 없다는 것만이 아니라, 원칙 없음과 원칙 없음을 해소하기 위한 논의 역시 없음이 곧 왜곡입니다. 물론 왜곡을 포함한 여러 특수성(좋은 것도 많죠. 혁신도 있고)의 발생은 사람 사는 어디나 벌어지는 일이라 그 발생 자체가 단절을 뜻하진 않습니다. 다만 외부와 소통이 활발한 곳이라면 왜곡이 일어나다가도 어어 이건 뭔가 아니던데 하면서 자정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그냥 옆집 사람들 하는 거 보면 보이잖아요. 우리가 뭐하는 건지.

    봇전으로 다진 나만의 쩔어주는 컨트롤이 랭겜 가면 사람 상대로 검증되는 것과 같습니다. 반대로 독자적인 - 그리고 타당성을 알기 힘든 - 특수성이 고착되면 생각해볼 수 있겠죠. 아 저거 랭겜은 안 하고 솔플을 많이 하는구나. 하이퍼 FPS라는 용어는 의외로 쓰인 지 오래 됐습니다. 옵치 이전에도 용어는 이미 있었고, 그 때도 일정한 정의는커녕 함의도 없었습니다. 지금도 해당 장르가 존재한다고 '깔아두고' 총겜을 분류하는 한국 게임 [리뷰어]도 많고요. 대충 그 정도 연관성입니다.
    말씀하신 현상이 한국만 있는 것은 아니기도 하고
    그 단절이라는 것도 복잡하게 생각할 것 없이 애초에 장르적 구분을 글로벌 기준 무시하고 한국적인 기준에 맞추려 보니까 (예.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같은 말도 안되는 국적 불명의 장르명) 생긴 문제라고 봐야죠.
    그리고 이런 폐해를 낳게 된 것은 90년대 게임잡지들이 1등 공신이었구요
    3
    켈로그김
    킹치만... homm3를 번들로 줬단말이에요...
    그 번들로 준 호차만 무죄인 걸로 (땅땅)
    사이시옷
    우리 홍차넷배 히마메3 대회 할까요? 저 갈스란 사랑함다.
    그렇게 게임 시간은 6시간이 넘었다고 한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705 게임스타1 테프전의 부등호 방향을 바꾼 경기. 9 joel 21/05/21 4904 9
    11697 게임[LOL] 5월 21일 금요일 오늘의 일정 2 발그레 아이네꼬 21/05/20 3362 2
    11690 게임마메 9 헬리제의우울 21/05/19 4827 5
    11687 게임[LOL] 5월 18일 화요일 오늘의 일정 1 발그레 아이네꼬 21/05/17 4438 2
    11681 게임[LOL] 5월 17일 월요일 오늘의 일정 2 발그레 아이네꼬 21/05/16 3975 1
    11677 게임[LOL] 5월 16일 일요일 오늘의 일정 발그레 아이네꼬 21/05/15 3763 1
    11676 게임[LOL] 5월 15일 토요일 오늘의 일정 2 발그레 아이네꼬 21/05/15 3949 1
    11671 게임[LOL] 5월 14일 금요일 오늘의 일정 1 발그레 아이네꼬 21/05/13 4013 3
    11661 게임[LOL] 5월 11일 화요일 오늘의 일정 발그레 아이네꼬 21/05/10 3512 1
    11659 게임[LOL] 5월 10일 월요일 오늘의 일정 발그레 아이네꼬 21/05/10 3955 3
    11654 게임[LOL] 5월 9일 일요일 오늘의 일정 발그레 아이네꼬 21/05/07 3298 1
    11653 게임[LOL] 5월 8일 토요일 오늘의 일정 발그레 아이네꼬 21/05/07 3900 1
    11652 게임 [LOL] 5월 7일 금요일 오늘의 일정 3 발그레 아이네꼬 21/05/07 4727 2
    11644 게임[LOL] 5월 6일 목요일 오늘의 일정 9 발그레 아이네꼬 21/05/05 4054 2
    11578 게임어떤 어려운 게임들 이야기 5 바보왕 21/04/14 4530 6
    11557 게임하이퍼 FPS와 한국 게임의 상호 단절 13 바보왕 21/04/07 5804 2
    11549 게임안타까운 로스트아크. 2 닭장군 21/04/05 3961 1
    11548 게임스타여캠) 안시성 14 알료사 21/04/05 6388 10
    11541 게임잇 테이크스 투 리뷰 저퀴 21/04/02 4943 6
    11476 게임[LOL] LPL, 현 시점에서의 웨이보 인기투표 라인별 1~3위 Leeka 21/03/09 4811 2
    11462 게임2021 IEM 월챔 대진 및 프리뷰-워3 깐포지드 22 the hive 21/03/03 4574 2
    11433 게임2021 LCK 스프링 1라 1 헬리제의우울 21/02/20 4493 1
    11431 게임2021 IEM 월챔 프리뷰-스타2 207 the hive 21/02/20 5453 2
    11427 게임LCK 2군 로스터 변경사항 정리 3 Leeka 21/02/18 4258 1
    11378 게임반지원정대 젠지를 학살하는 쵸비 히스토리 1 Leeka 21/01/25 5192 3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