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0/12/27 23:31:09 |
Name | 그저그런 |
Subject | 마카롱 교조주의 |
탐라에 적다가 500자가 넘어서 티타임으로 가져왔습니다. 이런 이야기 하면 교이쿠 선생님 비스무레 하게 보일지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 싫어하는 음식 원탑을 꼽자면 뚱카롱입니다.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 전형적인 예라고 생각하거든요. 물론 즐기시는 분들의 취향이 문제있다는건 아닙니다. 맛은 주관적인 영역이 분명히 있으니까요. 그저 BBC방송에서 밥을 물에 씻어서 볶음밥을 만드는... 그런걸 보는 기분일 뿐입니다. https://youtu.be/Zmy0q8TrF_I ※혈압주의※ 영국 BBC가 만든 계란 볶음밥에 전 세계 아시아인이 분노했다/스브스뉴스 사실 마카롱은 푸짐해서는 안되는 음식입니다. 마카롱은 본디 눈처럼 파스스 입안에서 사라지면서도 한 끼에서 원하는 당분의 욕구를 완벽히 채워줘서 식욕을 잘라주는 음식이거든요. 괜히 디저트의 끝판왕인게 아닙니다. 맛을 무겁지 않게 만들려고 난이도가 올라가는거고요.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제과의 끝판왕이 마카롱입죠. 그런데 한국에서는 특이한 방식으로 어레인지 됩니다. 제과 실력이 모자라지만 부서지면 버리게되니, 밀가루를 많이 넣었죠. 그러면 잘 안갈라지니까요. 단가도 내려가고. 그래서 찐득찐득 맛이 무거워졌고 그만큼 필링을 가득 채워버립니다. 색소 넣은 빵 사이에 잼을 가득 채운 크림샌드 빵이랑 비슷하게 된거죠. 찐득찐득한게 디저트로는 영 꽝이지만 대신 푸짐해졌습니다. (혹은 망해버린 마카롱을 판매하려고 필링을 채웠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그리고 솔직히 우리는 일반적으로 디저트를 즐기기 보단 푸짐함을 사랑하니까요. 필링보다는 코크가 훨씬 만들기도 어렵고 다른 디저트와 차별화되는 요소이지만 그런건 고려되지 않죠 한식에 디저트가 잘 안어울리기도 하고... 그러다보니 어느새 마카롱은 사라지고 뚱카롱이 그 자리를 차지합니다. 음식의 정체성이나 이해 따위는 그냥 날라가버리는거죠. 샌드과자나 빵하고 다를것도 없습니다. 질척이는 디저트 따위는 코스요리에서는 진짜 별로지만 우리가 코스를 즐겨 먹는것도 아니니까요... 이렇게 된 이상 굳이 어려운 마카롱을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신도시 까페거리를 걷다보면 뚱카롱은 10개 있는데 마카롱은 하나도 없습니다. 한국에 진출한 라뒤레랑 피에르에르메도 철수했고, 홍대 마카롱도 사라졌습니다. ㅠㅠ 그래서 저같은 소수의 마카롱 애호가들은 사라져버린 마카롱을 애도하며 교조주의 적인 분노에 가득 차서 이렇게 방구석에서 키보드나 두드리게 되는것 같습니다. 가볍고 파스스 사라지는 정통파 마카롱이 현존하는지 제보를 기다립니다. 감사합니다. 15
이 게시판에 등록된 그저그런님의 최근 게시물
|
저도 집 앞에 좋은 베이커리 빵집이 있어서 마카롱 가끔 즐겨하는데, 뚱카롱은 진짜 너무 부담이 되더라고요.
예전엔 마카롱 웰케 비싼가 했는데 만드는 과정을 보고 난 뒤엔 비싼게 정말 이해가 됩니다. ㅎㅎ
예전엔 마카롱 웰케 비싼가 했는데 만드는 과정을 보고 난 뒤엔 비싼게 정말 이해가 됩니다. ㅎㅎ
슈아브, 미완성식탁..등등이 아직 남아있다 합니다.(난 왜 이런걸 머리에 넣고 있는가...)
뚱카롱은 한과죠 ㅎㅎ 마카룬macaroon은 이딸리아 과자고 마카롱macarin은 불란서 과자인거처럼요 ㅎㅎ
뚱카롱은 한과죠 ㅎㅎ 마카룬macaroon은 이딸리아 과자고 마카롱macarin은 불란서 과자인거처럼요 ㅎㅎ
요리 조금 해보면서 느낀 게 맛있다고 많이 넣으면 더 맛있겠지? 이런 생각이 바뀝니다. 다 그렇겠지만 '적당히'가 있는데 그걸 무시하고 우겨넣는게 이젠 별로더라구요. 말씀하신 뚱카롱도 그렇구요.
뚱카롱과 마카롱은 엄연히 다르지요 ㅎㅎ
근데 개인적으론 뚱카롱도 나름대로의 존재의의는 있다고 생각해요. 어쨌든 좋아하는 사람들이 있고, 나름 맛도 있잖아요.
예로 들어주신 영상은 쌀을 무슨 파스타 다루듯 처리하니 맛 자체가 없을 수밖에 없고 그래서 논란이 되는거라.. 뚱카롱과는 좀 다른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국내에서 뚱카롱이 마카롱을 잡아먹어서 정통 마카롱이 사라진것은 좀 안타깝긴 하네요. 사실 뚱카롱과 마카롱은 다른 음식이라는 것을 사람들이 이해해야 하는데, 그게 아니라 뚱카롱이 마카롱의 개량버전이고 기존 마카롱은 창렬이고 맛없다 라는 인식이 너무 퍼져버려서.....
근데 개인적으론 뚱카롱도 나름대로의 존재의의는 있다고 생각해요. 어쨌든 좋아하는 사람들이 있고, 나름 맛도 있잖아요.
예로 들어주신 영상은 쌀을 무슨 파스타 다루듯 처리하니 맛 자체가 없을 수밖에 없고 그래서 논란이 되는거라.. 뚱카롱과는 좀 다른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국내에서 뚱카롱이 마카롱을 잡아먹어서 정통 마카롱이 사라진것은 좀 안타깝긴 하네요. 사실 뚱카롱과 마카롱은 다른 음식이라는 것을 사람들이 이해해야 하는데, 그게 아니라 뚱카롱이 마카롱의 개량버전이고 기존 마카롱은 창렬이고 맛없다 라는 인식이 너무 퍼져버려서.....
위 영상에서의 볶음밥도 생각보다 맛이 괜찮다고 하더라고요. 나름 좋아하는 사람도 있을수 있고요. 다만 동앙인 시각에서는 말씀하신대로 밥을 무슨 파스타 취급해서 그렇죠. 마카롱을 샌드과자 취급하는 것 처럼요. 그러므로 저는 같은 문제라는 생각입니다. ㅎㅎ
코스요리에서 디저트로 뚱카롱 같은게 나온다면 좋은 평을 받기 힘들거거든요. 우리도 디저트라기 보다는 다과로 먹는거고. 고난이도 디저트인 마카롱과 아예 다른 샌드과자로 생각 한다면 문제될건 없을것 같습니다. 아직 우리 식문화가 디저트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고, 푸짐함, 재료값에 발목잡히는게 아쉽긴 하지만요.
코스요리에서 디저트로 뚱카롱 같은게 나온다면 좋은 평을 받기 힘들거거든요. 우리도 디저트라기 보다는 다과로 먹는거고. 고난이도 디저트인 마카롱과 아예 다른 샌드과자로 생각 한다면 문제될건 없을것 같습니다. 아직 우리 식문화가 디저트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고, 푸짐함, 재료값에 발목잡히는게 아쉽긴 하지만요.
뭐...파인 다이닝이나 구르메 문화가 이제서야 슬 슬 뿌리내리는 중이니까요. 기본적으로 그만한 비용을 지불한다는것이 돌고 돌아 합리적이라는걸 납득을 해야하니까요.
저도 마카롱 정말 좋아했는데 홍대 마카롱 사라지고ㅠㅠ흑흑 요즘 다 뚱카롱이라 너무 아쉬워요ㅜㅜㅜ제대로 된 마카롱 먹고 싶은데 말이죠ㅠㅠ
뚱카롱도 뚱카롱만의 매력이 있으니 뭐라하고 싶진 않은데 저도 스위트블루바드(이것도 한국에서 철수했죠)로 마카롱 입문을 한터라 다른 곳 마카롱을 먹고 꽤 당황을 했더랬습니다 가게마다 맛이 다를 수 있지라고 하기엔 아예 다른 종류로 느껴질 정도였거든요 이제 뚱카롱은 어엿한 한식으로 자리잡은 거 같으니 역발상으로 오리지널 마카롱 가게가 등장해서 한번 유행을 타보면 좋겠어요 그립네요
저도 홍대 마카롱 사라진 뒤에는 마카롱을 잘 안먹게 되네요. 그나마 홍대 나갈 때 가끔씩 르쁘띠푸 들리곤 하는데 괜찮은 것 같습니다.
저는 마카롱에대해 잘은 모르지만 예전에 공연장 근처 맛집 검색하다가 본 글이 떠올라서 링크 남겨요. 마카롱 불판입니다ㅎㅎ
https://m.dcinside.com/board/theaterM/2506400
https://m.dcinside.com/board/theaterM/2506400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