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9/24 13:42:11
Name   모모스
Subject   항생제 이야기
항생제는 박테리아, 세균, 병원균 등으로  불리우는 이들을 죽이는 약물입니다. 유행성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 중에 작년에 유행했던 그 유명한 메르스나 천연두처럼 바이러스와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열원충 처럼 기생충에게는 안타깝게도 항생제가 효과를 발휘하지 못합니다. (물론 예외가 있습니다.) 병원성 세균들이 우리 몸에 감염되었을 경우만  항생제를 투여해서 치료할 확률이 있는 겁니다. 물론 세균이 우리 몸에 침입했을 경우 우리의 면역시스템이 먼저 극복합니다. 그렇지 못한 경우 항생제의 도움을 받아야죠.

항생제
항생제는 원핵세포인 세균과 진핵세포인 우리 인간 세포의 차이점을 이용해 공격하여 효과를 나타냅니다. 그 중 한가지 예를 들면

1. 가장 처음으로 개발된 항생제가 그 유명한 페니실린 (Penicillin)입니다. 원핵세포 (박테리아, 세균은 원핵세포입니다.) 은 우리 몸을 이루고있는  진핵세포과 달리 세포벽이라는 것이 있는데 페니실린은 이 세포벽합성을 방해해서 세균을 터트려 파괴시켜버립니다.


2. 그에 대한 반격으로 오랫동안 사용해온 페니실린에 대항해  많은 세균들이 β-lactamase 라는 효소를 분비해서 페니실린 (페니실린계, 세파계, 반코마이신 등이 β-lactam구조 가지고 있습니다.) 을 파괴할 수 있습니다. 이를 페니실린 내성균이라 부릅니다.  


3. 이에 또 인간은  β-lactamase를 저해하는 β-lactamase inhibitor을 페니실린계 항생제에 조합하여 투여하고 있습니다. Amoxicillin ( Penicillin 항생제) +  Clavulanic acid (β-lactamase inhibitor) 이 조합된 항생제가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항생제 중 하나입니다.


인간과 세균의 끊임없는 신무기 개발로 군비경쟁을 하고 있는 셈이죠.



이 외에도 다른 기전들의 항생제들이 있는데 처음 말씀드린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차이를 공략하는 것들입니다.


살짝 다른 이야기이지만 암세포 (암세포는 우리세포와 같은 진핵세포입니다.)를 죽이는 항암제의 경우, 글리벡처럼 몇몇 표적항암제를 제외하면 항암제는 세포분열하는 것을 공격하므로 아군, 적군 피아를 가리지 않고 공격합니다. 물론 암세포가 훨씬 빠르게 세포분열을 하므로 더 타격을 받겠지만 우리 몸의 세포도 느리지만 끝임없이 세포분열을 하고 심지어 머리카락이나 손발톱 등은 비교적 빠르게 세포분열을 합니다. 따라서 항암제 장기 치료시 머리카락이 빠지고 손발톱이 빠지는 부작용 등이 생깁니다.


항생제의 내성
항생제는 개인별로는 내성이 없습니다. 혈압, 당뇨, 콜레스테롤 약처럼 우리 몸에 직접 작용하는 약들인 경우 장기 복용 후 우리 몸에서 내성이 생기기도 해서 (우리 몸에 작용하는 약물들은 주로 우리 몸의 세포표면 receptor에 결합하거나 결합을 방해하거나 해서 효과를 발휘하는데 내성이 생기면 receptor 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방법 등으로 약물의 효과를 감소시킵니다.) 투여 용량을 높이거나 좀 더 단계가 높은 약물을 쓰곤 하지만 항생제는 우리 몸에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들어온 세균에게만 작용 (물론 세부적으로 기전이 다른 항생제들도 있고 복잡합니다.) 하므로 내가 항생제를 많이 먹었다고 해서 치료가 완료되었다면 다음에 항생제를 또 먹을 때 (우연히 내성이 생긴균이 들어오지 않는 이상) 내성이 생겨서 효과가 없는게 아닙니다. 다만 장기 복용하면 우리몸에 존재하는 유익한 세균인 장내유산균들도 감소해서 설사 등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 대사시스템을  induction했을 경우 문제가 있을 수 있고 drug-drug interaction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지만 그건 아주 장기 복용해야하고 모든 약물에서 그런 것도 아니구요.)

그럼 도대체 항생제 내성이 무엇이냐라고 물으실 수 있는데. 우리가 항생제를 사용하다보면 내성균이 생기고 그 내성균이 만연하게 되어 그 내성 세균류가 일반화되어 기존 항생제가 안듣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미시적으로 우리 몸 안에서 생기는 게 아니라 거시적인 시점으로 내성균이 만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항생제를 계속 먹어서 치료가 완료되면 그 균은 사라지는 것입니다.  먹다 안먹다하면 (내성균양성실험실이 되는 거죠) 내성균이 생겨날 확률이 높아집니다. 이 내성균이 그 집단에 퍼져 내성균주가 일반화되면 바로 처음 쓴 그 항생제는 효용성이 없어지는 겁니다. 따라서 항생제는 짧은 기간 그리고  빠짐없이 먹어야합니다. 그 대표적인 예로 세포분열이 느리고 내성균주가 자주 발생하는 결핵에  항생제를 사용할 때 극단적으로 잘 나타납니다. 우리나라는 결핵유행국가로 지정되어있다니까 중요하죠.

항생제를 전인류가 아껴써야 하는 공공재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후손들이 쓸 항생제를 위해서 항생제 남용으로 인한 내성균 일반화를 막아야합니다. 우리나라도 항생제를 많이 사용하는 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생제는 필요한 부분에 적절하게 사용되어져야하고 정해진 기간동안 꾸준히 치료가 완료될 때까지 빠짐없이 사용해야 합니다. 안타깝게도 새로운 항생제가 한참 동안 개발되지 않고 있습니다. 근래엔 거대제약회사에서도 새로운 항생제 개발에 별로 의지가 없는 것 같구요.

또 위험한게 우리들이 키우는 가축들에게 쓰는 항생제입니다. 이 항생제들은 아픈 애들에게만 쓰는게 아니라 광범위하게 사료나 식수에 무차별 살포하므로 가축에게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은 일종에 내성균을 키우는 대규모 배양 공장과 같습니다.. 또 강력한 항생제를 무차별적으로 사용하는 최상위 종합병원 (어쩔수 없죠. 치료하다치료하다 안되어서 오신 환자들이라) 에  MRS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E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같은 항생제 내성이 있는 슈퍼박테리아가 나타나는 것도 무서운 일입니다. 메르스 사태에서도 아시겠지만 종합병원은 무서운 곳이에요.



음주에 대한 수학적이고 과학적인 접근 https://kongcha.net/?b=3&n=2617
판피린 3형제 이야기 https://kongcha.net/?b=3&n=2605
게보린 3형제 이야기 https://kongcha.net/?b=3&n=2596
이부프로펜, Cyclooxygenase, 아스피린 이야기  https://kongcha.net/?b=3&n=2592
적록색맹과 Vitamin C 이야기 https://kongcha.net/?b=3&n=2566
보쌈, 면사포, 결혼반지 https://kongcha.net/?b=3&n=2187
육두구 이야기 https://kongcha.net/?b=3&n=2163
각국의 의료보험 https://kongcha.net/?b=3&n=2145
오줌병 이야기 https://kongcha.net/?b=3&n=1519
지헬슈니트 (낫질) 작전 - 1940년 독일-프랑스 전투 https://kongcha.net/?b=3&n=1461
지구의 온난화와 빙하기 https://kongcha.net/?b=3&n=1354
설사병 이야기 https://kongcha.net/?b=3&n=1322
토마토는 과일인가? 채소인가? https://kongcha.net/?b=3&n=1310
쓰레기 유전자 ( Noncoding DNA ) 와 유전자 감식 https://kongcha.net/?b=3&n=1297
생명체의 과밀화 https://kongcha.net/?b=3&n=1269
X 염색체 - 인간의 기본형은 여성? https://kongcha.net/?b=3&n=1259
각인 - 애들은 엄마, 아빠 누구 머리를 닮나? https://kongcha.net/?b=3&n=1252
정자왕 침팬지 https://kongcha.net/?b=3&n=1243
이스터섬 https://kongcha.net/?b=3&n=1234
불멸의 세포 https://kongcha.net/?b=3&n=1215
히스파니올라섬 https://kongcha.net/?b=3&n=1200
천연두 바이러스 https://kongcha.net/?b=3&n=1191
기생충 이야기 https://kongcha.net/?b=3&n=1183
기생충에 대한 또다른 인간의 방어법 IgE https://kongcha.net/?b=3&n=1175
가축화된 포유류는 어떤게 있나? https://kongcha.net/?b=3&n=1161
섹스의 진화 https://kongcha.net/?b=3&n=1147
외계로부터의 생명 전달 https://kongcha.net/?b=3&n=1097
항생제 이야기  https://kongcha.net/?b=3&n=1091
소주 이야기   https://kongcha.net/?b=3&n=1075
콜라 이야기   https://kongcha.net/?b=3&n=1057      
커피 이야기 - Caffeine https://kongcha.net/?b=3&n=1051
보스턴차사건 (Boston Tea Party) - 보스턴홍차사건 https://kongcha.net/?b=3&n=1034
유전자조작식물 (GMO)  https://kongcha.net/?b=3&n=1024



3


    삼공파일
    지난주에 감염내과 실습 도는데 교수님이 타과에서 컨설트 내놓고 맘대로 tazocin이랑 levofloxacine 쓴다고 어찌나 화를 내시는지... 굳이 감염내과 입장에서 안 보더라도 항생제 내성은 9할은 의사 잘못이 아닌가 싶어요.

    컨퍼 때 들은 얘기로는 내성을 따라잡기에 개발 속도를 추월한 지 오래도 제약회사 입장에서는 개발 유인이 없어서 쓰다가 만 항생제를 다시 쓰는 게 트렌드라더군요. UTI에서 nitrofurantoin에 관련된 논문 발표 보면서 알았습니다.
    Beer Inside
    그런 감염내과가 2000년 파업 당시 consult 못봐주겠다고 해서, 모 병원 중환자실에 acidobacter가 만연해버린 문제도 있었지요.

    감염내과가 화만 내면 뭐 합니까.... 적극적으로 움직여야지요.

    항생제 내성은 최근에는 의사문제보다는 육상 및 수중 생물 양식산업에서 더 문제이지요. 사람에게 쓰는 것 보다 더 많이 쓰고 있으니까요.

    그래도 항생제가 있어도 우리도 이만큼 오래 살고, 닭도 돼지고 광어도 많이 먹을 수 있는 것이니.....
    삼공파일
    [감염내과가 화만 내면 뭐 합니까.... 적극적으로 움직여야지요. ] 크크크. 재밌는 말씀이시네요.
    레지엔
    타조... 는 컨설트 안내고 쓰는게 사실 좀 용감한 거긴 한데 레보는 적응증 명확한 질환이 꽤 있어서... 그리고 사실 병원에서 항생제 좀 쓴다고 내성균이 확 생기느냐에 대해선 통계 자체가 좀 부정적입니다. 내성균 유입 루트에 대해선 좀 이것저것 말이 많아서... 당장 같은 병원 내에서도 감염내과와 진검이 이걸로 서로 싸우는 경우도 있습니다.
    눈부심
    오늘 재미있는 기사를 하나 읽었는데 마침 세포얘기 하셨네요. 우리의 모든 세포는 제 역할을 하다가 결국 죽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어서 매일 수십억 개의 세포가 죽고 새로 나곤 하는데 이 프로그램에 에러가 생겨서 안 죽고 부득부득 살아서 세포분열하며 번성하는 애들이 암이라고 하더라고요. 이 애들이 마구마구 자라서 종양이 되고 도통 죽을 생각은 않고 무지막지하게 자라나는 거라고요. 얘네들은 보통 살았다가 죽어나가는 평범한 세포들보다 글루코스도 훨씬 많이 먹어서 환자들이 당을 적게 섭취하는 것이 종양이 힘을 못 쓰게 하는 한 방법일 거란 말을 하더라고요. 당과 암의 직접적인 상관관계는 없다고들 하지만 의사들이... 더 보기
    오늘 재미있는 기사를 하나 읽었는데 마침 세포얘기 하셨네요. 우리의 모든 세포는 제 역할을 하다가 결국 죽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어서 매일 수십억 개의 세포가 죽고 새로 나곤 하는데 이 프로그램에 에러가 생겨서 안 죽고 부득부득 살아서 세포분열하며 번성하는 애들이 암이라고 하더라고요. 이 애들이 마구마구 자라서 종양이 되고 도통 죽을 생각은 않고 무지막지하게 자라나는 거라고요. 얘네들은 보통 살았다가 죽어나가는 평범한 세포들보다 글루코스도 훨씬 많이 먹어서 환자들이 당을 적게 섭취하는 것이 종양이 힘을 못 쓰게 하는 한 방법일 거란 말을 하더라고요. 당과 암의 직접적인 상관관계는 없다고들 하지만 의사들이 음식에 대한 적절한 조언을 하기도 하잖아요.

    그렇다면 과연 이런 나쁜 암세포들이 누구에게서 명령을 하달 받아 글루코스를 열심히 조달하는가? 때 되면 죽을 생각은 않고 빠득빠득 살아남는 종양 속 세포들에는 재깍재깍 말 잘 듣고 죽기도 잘 죽는 보통의 세포에서는 눈에 잘 안 띄는 특별한 단백질이 있는데 그게 PARP14이라나요. 이 말은 이 특이단백질을 차단하는 치료법을 개발하면 암치료도 쉽게 된다는 그런 뜻이래요.

    기사는 이거였어요. http://theconversation.com/starving-cancer-cells-of-sugar-could-be-the-key-to-future-treatment-47906

    옵... 의료넷에서 문과출신이 별말을.. (드가 자야지)
    삼공파일
    한국어로 이런 수준 높은 기사들이 많이 나와야 될텐데 항상 생각합니다 ㅠ
    레지엔
    대사 항진이야 암세포의 아주 저명한 소견인데 현실적으로 암세포만 굶길 방법이 좀 애매합니다. 단백질도 사실 관련된 단백질이 많고(암의 매커니즘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엄청나게 많고 각각의 유전자는 각각의 단백질을 만들어내므로...), 말씀하신 치료법이 이제 표적치료법인데 이게 좀 공학적으로도 의학적으로도 한계점이 있습니다. 딴 거보다 비싼데 효과가 애매....
    ORIFixation
    음음 주치의때 항생제 쓰다 감염내과 교수님한테 끌려간 기억이 나네요...
    삼공파일
    현장에서 봤다는...ㅠㅠ
    ORIFixation
    교수는 wound 안좋다고 쓰라하고 쓰다가 끌려가서 혼나고 결국 정형외과는 감염내과 특별 관리 대상으로 모든 안티를 감염내과에서 승인받아 쓰는걸로 ㅠ
    켈로그김
    정말 거시적으로 항생제를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비용의 울트라 증가와 접근/편의성의 감소가 동반되어야 합니다.
    지금 항생제 처방하는 1차 의원들이 과연 항생제를 올바르게 사용할 역량이 있는가에 대해서 저는 다소 부정적인데,
    학문적 토대가 있어서 올바른 판단을 하는 의사라고 해도, 기본적으로 자영업이기 때문에 환자의 욕구를 완전히 제어해낼 수 없는 이유가 가장 크다고 봅니다.
    (그렇다고 \'환자\' 라는 존재의 욕구가 온전히 제어불가능한 천재지변인가? 하면, 아닙니다.
    의사가 되든, 클래임 전담하는 원무과 직원이 ... 더 보기
    정말 거시적으로 항생제를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비용의 울트라 증가와 접근/편의성의 감소가 동반되어야 합니다.
    지금 항생제 처방하는 1차 의원들이 과연 항생제를 올바르게 사용할 역량이 있는가에 대해서 저는 다소 부정적인데,
    학문적 토대가 있어서 올바른 판단을 하는 의사라고 해도, 기본적으로 자영업이기 때문에 환자의 욕구를 완전히 제어해낼 수 없는 이유가 가장 크다고 봅니다.
    (그렇다고 \'환자\' 라는 존재의 욕구가 온전히 제어불가능한 천재지변인가? 하면, 아닙니다.
    의사가 되든, 클래임 전담하는 원무과 직원이 되든, 길건너 약사가 커버치든 해내야 하는거죠.
    그래서 중심이 되는 의사와 병원, 의사와 약국간의 핫라인이 필수적이라능... 저는 옆에 원장님이랑 재미보고 있다능.. 서로 미루고 ㅡㅡ;)

    그럼에도 항생제를 사용함에 있어서의 이득도 무시할 수는 없습니다.
    항생제 비싼거 처방한다고 말 많지만, 처방받아 복용하는 각각의 사람에게는 분명 비용과 시간의 이득이 생기거든요.

    의료 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가 그렇겠지만
    이거 정말 득-실 잘 따져볼 필요가 있습니다.
    의사들도 전공 과마다, 근무환경따라 의견이 갈리는 부분이지요.
    ORIFixation
    항생제의 empirical한 사용을 guideline이 아니라 정말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쓰시는 분들이 좀 있긴 하지요
    켈로그김
    그 부분은 제가 공공연히 논할만큼 확신할 근거가 없기에 언급할 수 없어유.. 그럴듯하쥬?;;
    ORIFixation
    크크 공공연한 비밀같은거 아니겠습니까
    damianhwang
    지금의 문제는 MRSA가 아니라 이미 VRE가;;;;
    항생제 개발속도와 균의 진화속도간의 싸움은 아무래도 주기가 짧은 균쪽이 이길 가능성이 높아보이는 문제도 있긴 하죠;
    레지엔
    VRE 그까이꺼 건강하면 무증상!(..)

    근데 VRSA랑 CRE가 한 병동에서 같이 나오는 걸 보니까 그 층에는 안가게 되더군요.
    damianhwang
    이 콩알만한 병원에도 자이복스, 타조신 등등을 쌓아놓고 있어야 하는 현실이 ;-)
    물론 여기엔 감염내과 전문의 같은 분은 안 계십니다 클클
    문과생인 저에게 여기는 신세계네요 ㅜㅜ.
    결국 항생제는 필요시만 빨리 쓰라는 말인 것 같네요. 의료넷 파이팅
    사나운나비
    여기 뭐야.. 무서워...
    realise
    지금 한국에 축산물관리가 전혀 안되고 있는데. 얼마만큼 항생제를 쓰는지 모르겠네요. 문제네요 항생제는 진짜.
    아하스페르츠
    축산물 관리가 전혀 안되는 것은 아닙니다.
    아라리
    여기가 그 유명한 의료넷인가요..
    먼산바라기
    ... 진통제는 내성이 생기나요? (지나가던 문과생)
    모모스
    지속적으로 진통제를 사용하면 내성이 생깁니다. 하지만 복용이 중단되고 시간이 흐른 후에 다시 복용시에는 바로 는 내성이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먼산바라기
    고맙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24 과학/기술유전자조작식물 (GMO) 4 모모스 15/09/18 15886 0
    3303 IT/컴퓨터어느 게임 회사 이야기 (5) 14 NULLPointer 16/07/20 15850 6
    1062 생활체육차범근의 동료들 - 프랑크푸르트 4 Raute 15/09/22 15798 1
    112 기타최근 봤고 보고 있는 아니메(망가포함, 약스포 주의) 16 Yato_Kagura 15/05/31 15788 0
    3329 IT/컴퓨터어느 게임 회사 이야기 (12) 9 NULLPointer 16/07/23 15699 8
    5739 게임(스타1)Elo 레이팅, 선수들의 실력, 맵 밸런스 19 스카이저그 17/06/03 15678 10
    1091 의료/건강항생제 이야기 25 모모스 15/09/24 15663 3
    3302 IT/컴퓨터어느 게임 회사 이야기 (4) 19 NULLPointer 16/07/20 15645 12
    3346 IT/컴퓨터어느 게임 회사 이야기 (16) 17 NULLPointer 16/07/24 15627 5
    2482 과학/기술전문성없이 쓴 짧은 MOF 이야기 8 NightBAya 16/03/27 15624 0
    4209 IT/컴퓨터애플워치 나이키 3일 사용기 5 Leeka 16/11/21 15606 0
    3327 IT/컴퓨터어느 게임 회사 이야기 (11) 15 NULLPointer 16/07/23 15580 4
    1494 문화/예술[바둑칼럼] 천재들의 ‘천재 감별법’ 25 커피최고 15/11/08 15568 5
    1259 과학/기술X 염색체 - 인간의 기본형은 여성? 13 모모스 15/10/15 15515 2
    3310 IT/컴퓨터어느 게임 회사 이야기 (7) 11 NULLPointer 16/07/21 15482 4
    2997 기타불화살은 존재하지 않았다? 25 눈부심 16/06/11 15477 0
    143 기타[과학철학] 칼 포퍼에 대하여 11 삼공파일 15/06/01 15469 1
    2466 IT/컴퓨터최근 국내 PC 웹브라우저 점유율의 변화 35 Toby 16/03/24 15466 3
    454 기타[스포가득]뮤지컬 데스노트 관람후기 6 No.42 15/06/28 15445 0
    2805 요리/음식덴뿌라와 튀김의 기원 27 마르코폴로 16/05/14 15426 10
    3304 IT/컴퓨터어느 게임 회사 이야기 (6) 14 NULLPointer 16/07/20 15397 5
    308 기타제가 가지고 있던 마우스들.jpg 39 김치찌개 15/06/11 15370 0
    2757 과학/기술설사하면 왜 "죽"을 먹어야하나? 35 모모스 16/05/07 15360 0
    1147 과학/기술섹스의 진화 10 모모스 15/10/01 15253 0
    227 기타정도전 21화 4 천하대장군 15/06/06 15238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