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05/14 11:38:07수정됨
Name   존보글
Subject   ETF 이야기 - 1. 미국 S&P500 지수 추종 ETF - SPY, IVV, VOO
*주의사항 : 이 글은 해당 종목들 추천글이 아닙니다. 해당 종목들의 매수, 매도는 투자자 본인의 판단이며 그 결과 또한 본인의 책임입니다.


들어가기 앞서, 미국 주식에서 종목을 부를 때는 '티커'를 사용합니다. 우리나라 주식의 종목번호와 같은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서 애플은 AAPL, 마이크로소프트는 MSFT 이런 식입니다. 찾아보면 꽤 재밌는 티커도 많습니다. T(AT&T)라던가 RACE(페라리)라던가 MMM(3M)... 제목에서 언급된 SPY, IVV, VOO도 이러한 티커에 해당합니다.

미국 ETF들의 시가총액 순위 1~5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SPY-IVV-VTI-VOO-QQQ입니다. 이 중에서 SPY, IVV, VOO가 바로 S&P500지수를 추종하는 ETF이고, VTI는 미국 주식 전체, QQQ는 나스닥100을 추종하는 ETF입니다. 지수추종은 이미 대세인 것입니다. 그러면 도대체 이 지수추종이 뭐길래 이렇게 인기가 있는 것일까요. 이걸 S&P 지수추종 ETF들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PY가 가장 크고 가장 일반적이니 이 친구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어차피 SPY=IVV=VOO입니다.

SPY는 무려 1993년에 생긴,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ETF입니다. 현재 시가총액은 약 300조 이상으로, 디즈니보다도 시가총액이 높은 괴물입니다. 주식시장 전체로 봐도 시총 22위에 해당하는 공룡이지요. 미국에서 3번째로 큰 자산운용사인 SSGA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얘들이 내놓는 ETF 브랜드명이 SPDR인데, 흔히 스파이더라고 많이 부르더군요. ETF 정식명칭은 'SPDR S&P 500 Trust ETF'입니다.

이 ETF가 뭐가 대단하기에, 미국에서 가장 시총이 높고, 거래량도 압도적인 ETF일까요? 한번 보겠습니다.



사실 이걸 놓고도 할 이야기가 아주 많지만, 효용만 놓고 아주 단순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여러분이 1994년도에 SPY를 사서 들고만 있었다고 하더라도 26년이 지난 현재 열 배의 수익을 냈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연복리 9.21%의 무지막지한 성장세를 보이면서요. 대충 S&P500이 40년간 연복리로 평균 8.5%정도 올랐다고 하는데, 이를 그대로 따라주는 거죠. 대충 8%라고 합시다.

연복리 9%. 사람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는데, 이는 엄청난 수익입니다. 존 보글이 1970년부터 2005년까지 미국에 존재했던 355개의 펀드들을 전부 조사했는데, S&P 500 지수의 성장률보다 1% 이상 높은 성과를 얻은 펀드는 단 24개에 불과했습니다. 그중에서도 15개는 초과수익이 2% 이하이므로 수수료로 초과수익이 다 녹게 되고, 나머지 9개 중 6개는 자산 증가로 인해 초과수익을 상실했습니다. 즉 35년간 355개의 펀드 중에서 진짜로 초과수익을 낸 펀드는 단 3개였던 거죠. 여담으로 223개의 펀드는 아예 중간에 펀드가 없어졌습니다.


아주 쉽게 이야기해서 개인투자자의 99%, 전문투자가의 대다수가 SPY를 못 이기는 것입니다.


2000년대 이후로 헤지펀드들도 좋은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지수추종 ETF는 완전히 대세가 되었습니다. 누구나 여기에 돈을 넣어놓기만 하면 연복리 8%를 먹는 것입니다. 혹자는 이를 가리켜 '투자의 민주화를 이끌어냈다'고 평하기까지 합니다. 워렌 버핏은 자신의 유언장에 자산의 90%를 S&P 500을 추종하는 ETF에 넣으라고까지 했습니다. 그 정도로 투자의 기본 중 기본이 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SPY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S&P 500을 구성하는 모든 종목의 주식을 'S&P 500 전체의 시가총액에서 해당 종목이 차지하는 시가총액의 비율만큼' 구매합니다.



중간에 구글이 2개가 들어가 있는것을 볼 수 있는데, GOOGL이 Class A, GOOG는 Class C주식입니다. A가 의결권이 있고 C가 없다나... 투자자 입장에선 거의 같긴한데 저도 확실하게 아는게 아니니 일단 넘기게습니다. 여튼 거의 시가총액과 일치하는 비율로 구성이 됩니다. 비중은 주가 변화에 따라 달라지고, S&P 500의 종목 구성에 따라서도 들어오고 나가는게 달라집니다.


미국 주식을 처음 시작한다면 많은 사람들이 SPY, IVV, VOO를 추천합니다. 이런 이유에서죠. 어떻게 보면 이들 ETF에 투자하는 것은 '미국에 투자하는 것'과 같습니다. 30만원 정도의 돈으로 미국에서 가장 좋다고 평가받는 500개의 기업 모두에 일부나마 투자하는 개념인 것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해당 기업을 장기적으로 보는 눈이 없고, 있다고 하더라도 등락이 엄청날 때 버티지 못합니다. 사실 SPY도 등락률이 엄청나지만 개별주만큼은 아니거든요. 개별주 이야기가 나와서 보론하면, 씨티뱅크나 GE같은 기업에 잘못 투자하면 지금 아주 지옥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주식들, 10여 년 전까지만 해도 시총 5위 내에 있던 것들입니다. 반면 SPY는 그런 변화를 잘 따라가죠. 그래서 훨씬 안정적인 것입니다.

SPY IVV VOO 이 셋은 사실상 같기 때문에, 뭘 고르든지간에 그냥 입맛대로 고르면 됩니다. 거래량과 시총 1위를 보겠다면 SPY, 적은 수수료와(SPY는 0.09%, IVV 0.04%, VOO 0.03%) 그나마 한 주당 싼 가격을 보겠다면 VOO, 높은 배당률을 보겠다면 IVV 이런 식으로 보통 추천을 하지요.

물론 이들도 단점이 있습니다. 세상에 완벽한 건 없지요. 주식 자체의 리스크가 높은 편이기 떄문에, 그 리스크에 그대로 노출됩니다. 어디까지나 '개별주보다' 안전하다는 거지 주식시장이 갖고있는 리스크는 그대로 다 받습니다. 지수 추종이니까요. 첫번째 짤에도 나오지만, 고점 대비 -50.8%까지도 맞아본 사례가 있습니다. 26년 사이에 -10% 이상 난 경우도 의외로 흔합니다.
그리고 이건 결정적으로 사람들이 잘 안 투자하려는 이유인데, 뭔가 심심합니다. 보통 0.x%대로 움직이고, 1%대면 꽤 급변, 2~3%는 뉴스에 날 정도의 변화입니다. 단기간에 고수익을 노리는 사람들에게는 정말 변하는 거 같지도 않습니다. 이 때문에 '감질난다'는 이야기를 많이 듣습니다. 전형적인 장투용이죠. 사실 ETF가 레버리지 아니면 다 그렇습니다만.. 그래서 이게 역으로 잦은 매매를 유도한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지금 현재 미 증시는 상당히 위험구간에 들어와 있기 때문에, 사실 지금 들어가기에는 좋은 타이밍이 아니라는 지적이 많습니다. 주식시장은 상당히 리스크가 큰 곳입니다. 물론 전체적으로 놓고 보면 미국 증시는 항상 우상향했지만, 그 우상향 대세가 항상 우상향이라는 것은 아닙니다. S&P500은 2020년 1월 기준으로 아직도 -11%대로 알고 있고, 추가 하방압박이 거셉니다. 대공황에 비교하는 이야기도 많죠. 그렇지만 투자를 하게 된다면 도저히 모르고 지나갈 수 없는 이야기라 생각합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투자는 본인의 판단으로 해야 하고, 책임도 본인이 져야 합니다.

다음 글은 아마 Nasdaq 100을 추종하는 ETF인 QQQ, 몇 년째 참 말이 많은 놈을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이 ETF는 현재 제가 투자중인 4개의 ETF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다시 재검토도 해볼겸...



8


    잘 읽었습니다. 개인적으론 ETF로 재미를 본적이 없는데.. 미국은 좀 다를까나요.. 코로나 좀 상황봐서 약간 타봐야겠군요
    존보글
    사실 미국도 2010년대에 재미를 많이 봤지만, 2000년대만 해도 신흥국보다 별로였어요. 참 미래는 모를 일이더군요
    루키루키
    SPY가 S&P지수의 변화폭을 추종한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괴리가 있다는 사실도 알고 있습니다.

    추종하는 내부 로직이 어떻게 되는지 알고 계신가요?
    https://www.ssga.com/library-content/products/fund-docs/etfs/us/ps/SPDR_500-TRUST_PROSPECTUS.pdf

    63쪽 혹은 60쪽(;PDF페이지로 67쪽 혹은 64쪽)부터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티커 얘기 보니 생각나는데, 티커나, 이름, 분류/정의 같은 것들이 마케팅 측면에서 생각보다 더 중요하죠. 운용사들이 ETF 관련 로비도 엄청 열심히 하는데, 최근 뉴스 중에 ETF 정의/분류를 새로 하고. 레버리지나 인버스 상품들도 따로 구분되게 하자는 제안을 공식적으로 다시 한 것도 있습니다. 위험도나 복잡도나 여러 면에서 차이가 큰 ETP들이 뭉뚱그려져서 ETF로 불리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죠.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00513005792/en/Industry-Coalition-Champions-Clarity-ETP-Classifications-%C2%A0
    1
    가이브러시
    그래서 SHY를 섞죠! 더욱더 심심해집니다!!
    존보글
    EDV를 스까면 이게 주식인지 채권인지 가끔 헷갈릴 때가 있읍니다...
    SHY는 미 채권인가요? 찾아보니 1~3년물인거 같은데 (장기대신)단기채권을 섞는 이유가 있으실지 궁금합니다.
    가이브러시
    저는 현금 대신에 섞습니다. 뭐 EDV같은 장기, 중기채권도 섞고요.
    칸나바롱
    저같은 경우는 IRP에서 위험자산에 비중을 높이기 위해서 KODEX TRF3070 쓰까버립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046 경제사람들이 생각보다 잘 모르는 집값 상승율 공식 2 Leeka 20/10/13 4574 9
    10993 경제우리은행,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대출 금리가 올랐습니다 1 Leeka 20/09/25 5311 0
    10983 경제주식투자, 튜토리얼부터 레이드까지 28 기아트윈스 20/09/23 6359 17
    10950 경제토스 P2P 결과 14 잘살자 20/09/12 5503 2
    10912 경제줌 비디오의 2분기 역대급 실적 24 존보글 20/09/01 5845 1
    10895 경제자산배분 투자 소개 31 化神 20/08/28 7098 11
    10884 경제사람들이 생각하는 최악의 타이밍에 주식을 사보았습니다. 19 존보글 20/08/26 6093 1
    10868 경제[독후감] 세금이란 무엇인가 4 기아트윈스 20/08/17 4886 5
    10867 경제intel 풀매수 당겼습니다 7 보리건빵 20/08/17 5219 0
    10825 경제도대체 금(원자재)은 왜 이렇게 오를까 21 존보글 20/07/29 5193 3
    10816 경제코로나19 관련 거시경제 주요 이슈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 1 이그나티우스 20/07/26 4234 3
    10792 경제서울집값은 떨어질 일이 없을 것 같읍니다. 6 Groot 20/07/17 4506 0
    10790 경제사람들은 왜 다주택자 투기꾼이 집값을 올린다는 정부의 말을 믿는걸까 73 감자 20/07/17 5716 7
    10775 경제[펌] 착한 사장님들 씨가 마른 이유?? 10 Groot 20/07/14 4906 0
    10751 경제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개인적 평가 13 할머니 20/07/05 5096 20
    10749 경제주식투자자라면 부탁드립니다 11 와데 20/07/04 5494 0
    10739 경제애플과 인텔에 투자하려고 합니다 23 보리건빵 20/07/02 5547 0
    10721 경제124년 역사상 최대의 위기를 겪고 있는 두산그룹 7 토끼모자를쓴펭귄 20/06/27 4748 1
    10671 경제ETF 이야기 - 사회책임투자 ESG에 대하여 14 존보글 20/06/10 4622 3
    10657 경제지난 주 우리나라 사람들은 미장에서 뭘 많이 순매수했을까 7 존보글 20/06/06 5372 2
    10641 경제ETF 이야기 - 3. 원자재 ETF에 대하여... 4 존보글 20/06/02 4740 3
    10639 경제현재 한국 개미들은 어떤 미국 주식을 들고 있을까 4 존보글 20/06/01 4907 8
    10622 경제미국 S&P 500기준 섹터 구분 4 존보글 20/05/26 4679 11
    10613 경제ETF 이야기 - 2.5 - SPY, QQQ 너무 비싸요! 싼거 좀 알려주세요! 존보글 20/05/22 9406 7
    10610 경제ETF 이야기 - 2. 나스닥 100 추종 QQQ - 뭐가 그렇게 잘났는데? 4 존보글 20/05/22 5252 3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