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05/08 20:33:49수정됨
Name   존보글
Subject   ETF 이야기 - 0. 그래서 ETF가 뭔데?
ETF라는 말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이제 더 이상 처음 듣는 단어는 아닐 것입니다. 저만 해도 몇년 전까지 어디서 주워듣기로 지수추종 ETF를 해라 뭐 이런 말은 들어봤을 정도니까요. 그런데 ETF가 뭔지, 기존의 펀드랑 뭐가 다른지 첨에는 하나도 몰랐었죠. 그래서 최근에 아예 처음부터 하나하나 다 알아보는 중입니다.

ETF는 Exchange Traded Fund의 줄임말입니다. 우리말로는 상장지수펀드라고 하죠. 20년 전에 흔히 유행하던 펀드들과의 차이점은 크게 2개가 있습니다. 첫 번째로 거래소에서 주식처럼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습니다. 펀드는 들면 나오기가 어렵죠. 두 번째로는 대체로 해당하는 품목의 지수를 충족합니다. 예를 들어서 KOSPI ETF면 KOSPI 주가지수를 추종하고, 원자재 펀드면 해당 원자재의 선물 가격을 추종합니다. 예를 들어 코스피가 1% 올랐다, 그러면 해당 ETF는 1% 올라야 하는 겁니다. 국제 금 가격이 1% 올랐다 하면 금 실물 ETF(나중 글에 써야겠지만 원자재의 경우 대부분이 선물거래이므로 이러한 선물과 현물은 구분해야 합니다!)는 그 가격을 따라가야 하는 거죠.
물론 이번 원유 선물펀드 사태처럼 정상적인 기능을 못 해서 문제가 된 사례도 있지만 일단 논외로 두겠습니다. 추종하는 품목은 주가지수, 채권가격, 원유, 원자재, 금, 달러와 같은 화폐....등 끝이 없습니다. 미국 기준으로 2008년부터는 액티브 펀드라고 해서 단순히 지수를 추종하는 것이 아닌, 운용사펀드매니저에 의해 여러 전략에 기반하여 구성된 ETF들도 판매가 허가되어 팔리고 있습니다.

ETF가 기존 뮤추얼 펀드들에 비해 갖는 장점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우선 운용 보수가 쌉니다. 그리고 거래가 자유롭습니다. 마지막으로 한 주만 보유해도 해당 ETF가 담은 모든 품목을 그 가격만큼 살 수 있습니다. 다 좋은 특징인데 이중에서 마지막 장점이 정말 엄청납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쓰도록 하겠습니다.

수수료도 정말 엄청난 장점이죠. 선취, 환매수수료도 없고, 운용수수료도 쌉니다. 세금도 쌉니다. 판매도 자유롭습니다. 판매가 자유로운 건 잦은 거래를 유도하여 단점이 될 수 있으나, 적어도 환매타이밍 놓쳐서 손해 엄청보는 펀드보다는 낫습니다. 이러한 여러 이유 때문에 2000년대 이후 ETF는 완전히 대세가 되었죠.

다만 한국에서는 ETF의 거래량 자체가 몇몇을 제외하면 많지 않고, 운용수수료도 미국에 비해 비쌉니다. 결정적으로 다양한 품목도 없고 보유하고 있는 품목도 개판인 경우가 많습니다. 시총 자체가 적어서 운용금액이 적다보니 제대로 해당 상품의 가격을 추종하지 못해서 NAV에 갭이 상당한 경우도 허다하고, 거래량이 적으니 슬리피지(호가대가 넓어져서 가격왜곡이 발생하는 현상)도 상당합니다. 제가 미국 주식으로 넘어간 결정적인 이유이기도 하죠.
미국은 ETF의 천국입니다. 2019년 말까지 미국에 존재한 ETF의 수는 2096개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대부분 거래량도 엄청난데다 미국의 자산운용사들은 3대 자산운용사(블랙록, 벵가드, SSGA)의 경우 몇천억 달러에서 조 달러 단위의 돈을 굴립니다. 운용수수료의 경우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벵가드의 VOO, 블랙록의 IVV의 경우 0.04%입니다. 제가 보유하고 있는 ETF가 총 4개인데 제일 비싼 IAU가 그래도 금이라고 0.25%를 받습니다.

이 글에서는 주로 미국 ETF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볼 생각입니다. 저도 주린이니 투자의 가장 기본이 되는 것부터 다시 공부해 나갈겸 글을 써보겠습니다. 첫 번째로는 가장 기본중의 기본, S&P500지수를 추종하는 미국의 3대 ETF, SPY IVV VOO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글이 좀 걸릴 듯합니다.



12
  • 공부는 추천!


시뮬라시옹
음 중간중간 오타가 있네용 ( 얘를 들어-> 예를 들어, 충족->추종)
그리고 제가 알기론 추종하도록 하는거지 반드시 1%올랐다고 이놈도 1%오르는건 아닌걸로 압니다.
애초에 이거 자체가 주식으로 상장되어 거래되기도하고, 코스피내 주요 종목에 분산투자하는것이라.. 반드시 똑같기는 어렵죠.

또 비과세상품인 경우가 많고 ETF투자 자체로 자동배당대상이되서 배당이나오는 ETF도 많다는 점도 장점일겁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ETF가 대세!
존보글
오타는 수정해놓겠읍니다.
말씀하신걸 괴리율이라고 하쥬. 미국의 주가지수추종 ETF들은 그래도 칼같이 맞추니 그리 썼읍니다.

배당은 정확하게는 분배금 명목으로 나오는데 이조차 미국 ETF들이 더 많읍니다...쿨럭
시뮬라시옹
미국 ETF가 최고긴하죠.특히 우리같은 신흥국투자자들에겐 달러까지..하하

글에 보탬이 될까하여 어제 본 팩트북 중에서


미국이 짱이시다.
존보글
틀린 거 있으면 사정없이 지적해주십... 저도 배워가는 주린이라서요 ㅋ
저는 묻어갈 뿐입니다. :)
1

액티브 펀드는 점점 인기가 없다. 패시브가 대세가 되었었다. (2019년까지 데이터들로 만든 팩트북입니다.)
1

대부분의 주요 ETF들을 소위 빅3(블랙락, 뱅가드, 스테이트 스트릿)가 운용합니다만, 어쨌든 ETF 인기가 대단합니다.

번외인 것 같은데, ETF 투자자 가구들이 가계소득이나 금융자산, 교육 수준이 많고, 높더라구요. (중간값 기준)

전체 미국 가계, ETF 투자중인 가계, 뮤추얼 펀드 투자중인 가계, 개별 주식 투자 가계 순입니다.
켈로그김
배워가는 이의 뒷모습은 이다지도 아름답군요..
1
재밌다재밌다
미국 ETF는 한국 증권사를 이용해서 하나요? 거래수수료가 만만찮아서 하기가 좀 어렵네요...
존보글
한국 증권사로 합니다. 환전수수료는 그래도 예전에 비하면 많이 싸졌습니다. 그리고 국내 ETF들 운용수수료+슬리피지 보다보면 그것도 감내 가능한 수준...
안그래도 미국으로 넘어갈까 하고 있었는데, 조언을 구해봐도 될까요?
한국시장에 상장된 미국ETF(SNP500 등) 를 투자 중인데, 미국쪽으로 넘어갈까합니다.
언제쯤 어떤 전략으로 넘어가는게 좋으려나요?
지금 정리하자니 환율이 엄두가 안나네요;
존보글
한국에 상장된 ETF중에 S&P500추종은 아리랑 빼면 전부 선물이고 전부 환헷지 아닌가요. 다만 지금처럼 환율이 높을 때는 환헷지가 유리하긴 합니다. 그래도 금액이 크면 클수록 국내가 불리합니다. 환율 좀 떨어질 때쯤 정리하고 넘어오셔요.
네 전부 헷지상품입니다. 말씀하신대로 계좌만 준비하고 환율 추이를 살펴야겠네요. ARIRANG S&P500에 들어가있습니다. (일부는 KODEX FANG플러스)

다음글이 기다려지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존보글
다행이네요.
팡플러스는 제가 잘 모릅니다ㅠ

환율의 경우 인베스팅닷컴에서 최근 몇년간 환율데이터도 제공하니 평균 보시고 판단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046 경제사람들이 생각보다 잘 모르는 집값 상승율 공식 2 Leeka 20/10/13 4586 9
10993 경제우리은행,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대출 금리가 올랐습니다 1 Leeka 20/09/25 5327 0
10983 경제주식투자, 튜토리얼부터 레이드까지 28 기아트윈스 20/09/23 6384 17
10950 경제토스 P2P 결과 14 잘살자 20/09/12 5519 2
10912 경제줌 비디오의 2분기 역대급 실적 24 존보글 20/09/01 5854 1
10895 경제자산배분 투자 소개 31 化神 20/08/28 7115 11
10884 경제사람들이 생각하는 최악의 타이밍에 주식을 사보았습니다. 19 존보글 20/08/26 6108 1
10868 경제[독후감] 세금이란 무엇인가 4 기아트윈스 20/08/17 4898 5
10867 경제intel 풀매수 당겼습니다 7 보리건빵 20/08/17 5233 0
10825 경제도대체 금(원자재)은 왜 이렇게 오를까 21 존보글 20/07/29 5202 3
10816 경제코로나19 관련 거시경제 주요 이슈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 1 이그나티우스 20/07/26 4244 3
10792 경제서울집값은 떨어질 일이 없을 것 같읍니다. 6 Groot 20/07/17 4514 0
10790 경제사람들은 왜 다주택자 투기꾼이 집값을 올린다는 정부의 말을 믿는걸까 73 감자 20/07/17 5719 7
10775 경제[펌] 착한 사장님들 씨가 마른 이유?? 10 Groot 20/07/14 4922 0
10751 경제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개인적 평가 13 할머니 20/07/05 5107 20
10749 경제주식투자자라면 부탁드립니다 11 와데 20/07/04 5503 0
10739 경제애플과 인텔에 투자하려고 합니다 23 보리건빵 20/07/02 5564 0
10721 경제124년 역사상 최대의 위기를 겪고 있는 두산그룹 7 토끼모자를쓴펭귄 20/06/27 4758 1
10671 경제ETF 이야기 - 사회책임투자 ESG에 대하여 14 존보글 20/06/10 4634 3
10657 경제지난 주 우리나라 사람들은 미장에서 뭘 많이 순매수했을까 7 존보글 20/06/06 5379 2
10641 경제ETF 이야기 - 3. 원자재 ETF에 대하여... 4 존보글 20/06/02 4758 3
10639 경제현재 한국 개미들은 어떤 미국 주식을 들고 있을까 4 존보글 20/06/01 4919 8
10622 경제미국 S&P 500기준 섹터 구분 4 존보글 20/05/26 4687 11
10613 경제ETF 이야기 - 2.5 - SPY, QQQ 너무 비싸요! 싼거 좀 알려주세요! 존보글 20/05/22 9414 7
10610 경제ETF 이야기 - 2. 나스닥 100 추종 QQQ - 뭐가 그렇게 잘났는데? 4 존보글 20/05/22 5266 3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