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0/03/26 03:53:17수정됨 |
Name | ![]() |
Subject | [lol] 디테일이 모자랐던 초반 설계, DRX |
자려고 누웠는데 잠이 안 와서 한화대 DRX 3세트를 돌려보면서 리뷰나 남겨보려 돌아왔습니다. 이 경기는 한화와 DRX에게 서로 시사하는 바가 있다 생각합니다. 한화는 이제 세주아니를 골라도 되는 팀이 됐다고 평가할 수 있는 바를 시사하고, 동시에 DRX는 최상위권을 유지하기 위해서 갖춰야 할 조금의 디테일을 더 보강해야한다는 약점을 노출한 경기라 평가하고 싶습니다. 개인적으로 이 경기에서 제일 의문이었던 점 중 하나는, 쵸비가 미드에서 3렙 갱을 당하는 장면이었습니다. 세주아니의 시점에서 세주아니가 미드를 들를 것이라는 것은 자명해 보였거든요. 세주아니가 블루 진영 윗캠프 3개를 먹고 레드를 먹은 뒤 탑에 다이브 vs 플래쉬 없는 노틸러스 갱킹 그런 상황에서 미드에서 라인을 당기고 사리는 플레이를 보여줘야할 쵸비가 미드에서 갱킹을 당하고, 주도권을 쥐고 바텀을 키워야 게임을 이길 수 있는 조합인 DRX 입장에선 많은게 어긋난 경기였습니다. 그리고 저는 초반 영상을 돌려보면서 DRX가 초반 설계 부분이 디테일하지 않았던 부분에서 아쉬움이 많이 남았다고 지적하고 싶습니다. 이 경기에서 초반 장면이 게임 전반을 결정할 정도로 중요하진 않았지만, 게임의 패배에 큰 지분을 차지했다고 생각하고 이 부분을 위주로 짧게 리뷰해보려 합니다. ![]() ![]() 개인적으로 이 게임 초반 설계에서 DRX가 한화에게 완벽하게 패배했음을 보여주는 결정적인 두 사진이라 생각합니다. 전에 제가 리헨즈가 전령 먹으러 올라가면서 자기 레이스쪽에 핑크와드를 꽂았다고 아주 극딜을 했던 적이 있습니다. 여기에서 케리아의 와드가 딱 그렇습니다. 케리아가 여기에서 와드를 꽂은 이유를 진짜 고민을 많이 해봤는데, 1. 탐켄치가 집을 가지 않은 것을 보니 렌즈가 없다. 2. 와드로 위치 확인하고 당겨서 삼거리로 넘기면 적 플래시 뺄 수 있다. 이 정도가 제가 해줄 수 있는 가장 좋은 평가입니다. 그런데 초반 와드는 적 정글의 동선을 예측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지 않는다면 그 가치가 굉장히 많이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저렇게 와드를 꽂을거였으면 최소한 레드에 꽂은 와드는 데프트/케리아 둘 중 하나의 것이어야 했습니다. "쵸비" 선수의 와드가 아니라요. 보통 저런 와드는 정글이 박아주는 것이 일반적일텐데, 이 경기에서 표식 선수의 챔피언은 "리신"입니다. 저기에 와드 꽂는 리신은 보통 잘 없습니다. 그래서 케리아 선수는 저기에 의미 없이 와드를 박고, 적에게 경험치랑 골드를 주면서 좀 뒤에 다른 장면과 겹쳐져 더 안 좋은 결과를 낳습니다. 그런데 거기까지 가기 전에 여기에서 추가적으로 언급하자면 도란은 최악의 사태를 막기 위해 최소한 삼거리쪽에 와드를 박는 정도의 플레이는 할 수 있지 않았을까 합니다. 이 경기에서 한화 vs apk와 결정적으로 차이가 나는 부분은 하루의 첫 와드 위치입니다. 그 때 굉장히 극딜했던 와드였는데, ![]() 지난 번의 세주아니 와드는 점부쉬에 있어서 적 정글의 위치를 알 수 없는 반면, 이번 세주아니 와드는 적 레드에 꽂혀 있습니다. 이를 통해 결국 세주아니는 자기 윗캠프를 돌고 적 레드를 들어가죠. 그런데 DRX는 세주아니가 위 3캠프를 돌고, 왜인지 전혀 제 생각에는 이해하지 못하겠지만, 바텀 땅굴을 팠다는 예측을 한 것 같습니다. ![]() 이 와드를 통해 한화는 DRX가 세주아니 위치를 전혀 감도 잡고 있지 못하단 정보와 역갱이 없으리란 확신을 얻었으리라 생각합니다. 세주아니가 DRX 레드를 처리했을 것이라 생각했다면 리신이 블루 버프를 챙긴 뒤 3렙으로 미드를 뛰거나 노틸러스가 사리는 플레이를 해야했습니다. 그런데 DRX는 두 가지 플레이를 모두 하지 않았고, 노틸러스는 초반 와드를 무의미하게 적 레드에서 소모했으며 이는 이 게임에서 치명적으로 작용한 세주아니의 미드 3렙 갱킹이 허용되는 결과를 낳았다는 것이 제 결론입니다. 반면 한화는 이 경기에서 대 apk전과 비교했을 때 확실히 나은 시야 플레이를 보여줬습니다. 초반 적 레드 와드, 그리고 아군 삼거리 와드 두 개로 적 정글 동선을 완벽히 따내서 세주아니가 초반 동선을 잡을 수 있게 해줬고 1R와 2R 사이 공백기를 효과적으로 활용했다 평하고 싶습니다. 사족) 제가 이 경기에서 DRX가 위닝플랜으로 삼았던 것은 결국 노틸-카이사로 이어지는 돌진 조합으로 포킹조합을 깨부수고 탐켄치가 이를 카운터치는 플레이를 파이크로 역카운터치는 플레이였다고 생각합니다. 이 과정에서 가장 문제는 바텀 라인전입니다. 제가 바텀 라이너가 아니기에 정확하지 않을 수 있지만, 카이사/파이크는 초반 라인전이 굉장히 약한 반면 세나/켄치는 라인전이 굉장히 강하고 이 때문에 리신은 바텀에 밸런스를 초반에 맞춰줄 필요가 있었습니다. 이 때문에 지난 한화 vs apk에서 apk의 자르반이 선택했던 것과 이번 리신의 동선이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이는 동시에 DRX의 팀컬러기도 하구요. DRX는 제 기억으로 전반적으로 초반에 상대 아래쪽 정글에 힘을 싣고 들어가 시야 장악을 한 뒤 위아래 가르는 플레이를 굉장히 즐겨 사용하는 팀입니다. 이를 이용해 바텀 라인전을 안정시키고, 발이 풀린 케리아가 정글과 함께 게임을 푸는 플레이가 DRX 베스트 시나리오 입니다. 그런데 DRX는 미드가 초반 설계 실수 때문에 고꾸라졌고, 결과적으로 바텀 발을 풀었지만 이를 활용한 미드 다대다 교전에서 패배했습니다. 이 패배는 결국 뒤로 갈수록 불리한 조합을 가지고 있는 DRX가 패배하는 결과를 낳았다-정도로 생각해볼만한 경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모자란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5
이 게시판에 등록된 kaestro님의 최근 게시물
|
리헨즈 선수를 지난번에도 그렇고 되게 좋아하시네요 ㅋㅋㅋ
개인적으로는 3세트가 굉장히 고무적이었던게 저는 그 경기 보면서 한순간도 한화가 질거라는 생각이 안 들더라구요.
한화는 계속해서 미스플레이를 했지만, 그 미스플레이에는 이거 실수해도 우리가 이겨라는 생각과 이걸 우리가 왜 하는지 두 가지 생각이 엿보였거든요.
지난번처럼 뭘 해야될 지 몰라서 우왕좌왕하지 않구요
2라운드 한화 경기는 기대해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엄청 좋게 평가하면, 1라운드 케이티 같다고 생각해요
개인적으로는 3세트가 굉장히 고무적이었던게 저는 그 경기 보면서 한순간도 한화가 질거라는 생각이 안 들더라구요.
한화는 계속해서 미스플레이를 했지만, 그 미스플레이에는 이거 실수해도 우리가 이겨라는 생각과 이걸 우리가 왜 하는지 두 가지 생각이 엿보였거든요.
지난번처럼 뭘 해야될 지 몰라서 우왕좌왕하지 않구요
2라운드 한화 경기는 기대해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엄청 좋게 평가하면, 1라운드 케이티 같다고 생각해요
옆동네 댓글 중 아마 확인이 안 되실 것으로 추정되는 걸 내용만 발췌하여 공유드립니다.
- 첫 짤의 와드는 리신이 작골을 먹을 때 동선을 봐 주는 용도. 보통 인베 후 맵가르기 전략을 취할 때 다른 팀도 저 위치에 와드를 박아서 시야를 뚫어 줌. 방치할 경우 상대 봇듀오 + 미드정글에 싸먹힐 리스크가 있음. 따라서 이상할 것은 없어 보임.
- 쵸비의 와드는 저 위치보다는 리신이 방호를 탈 수 있도록 좀 더 뒤쪽에 박았으면 좋았을 것
- 세나 켄치 조합은 견제가 세고 상대편에서 조합의 성장을 막을 수가 없기 때문에 답답한 것... 더 보기
- 첫 짤의 와드는 리신이 작골을 먹을 때 동선을 봐 주는 용도. 보통 인베 후 맵가르기 전략을 취할 때 다른 팀도 저 위치에 와드를 박아서 시야를 뚫어 줌. 방치할 경우 상대 봇듀오 + 미드정글에 싸먹힐 리스크가 있음. 따라서 이상할 것은 없어 보임.
- 쵸비의 와드는 저 위치보다는 리신이 방호를 탈 수 있도록 좀 더 뒤쪽에 박았으면 좋았을 것
- 세나 켄치 조합은 견제가 세고 상대편에서 조합의 성장을 막을 수가 없기 때문에 답답한 것... 더 보기
옆동네 댓글 중 아마 확인이 안 되실 것으로 추정되는 걸 내용만 발췌하여 공유드립니다.
- 첫 짤의 와드는 리신이 작골을 먹을 때 동선을 봐 주는 용도. 보통 인베 후 맵가르기 전략을 취할 때 다른 팀도 저 위치에 와드를 박아서 시야를 뚫어 줌. 방치할 경우 상대 봇듀오 + 미드정글에 싸먹힐 리스크가 있음. 따라서 이상할 것은 없어 보임.
- 쵸비의 와드는 저 위치보다는 리신이 방호를 탈 수 있도록 좀 더 뒤쪽에 박았으면 좋았을 것
- 세나 켄치 조합은 견제가 세고 상대편에서 조합의 성장을 막을 수가 없기 때문에 답답한 것이나, 동 조합 자체가 순수 라인전이 강력한 것은 아님. 즉 리신을 3렙 타이밍에 부를 정도는 아니었다고 생각됨. 차라리 해당 타이밍에 미드로 갱을 갔다면 그림이 달라졌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듬.
(※ 개인 의견 : 견제가 센 것이 라인전이 강력한 것과 거의 같은 의미라고 봐도 무방하지 않은가 싶긴 합니다)
- 첫 짤의 와드는 리신이 작골을 먹을 때 동선을 봐 주는 용도. 보통 인베 후 맵가르기 전략을 취할 때 다른 팀도 저 위치에 와드를 박아서 시야를 뚫어 줌. 방치할 경우 상대 봇듀오 + 미드정글에 싸먹힐 리스크가 있음. 따라서 이상할 것은 없어 보임.
- 쵸비의 와드는 저 위치보다는 리신이 방호를 탈 수 있도록 좀 더 뒤쪽에 박았으면 좋았을 것
- 세나 켄치 조합은 견제가 세고 상대편에서 조합의 성장을 막을 수가 없기 때문에 답답한 것이나, 동 조합 자체가 순수 라인전이 강력한 것은 아님. 즉 리신을 3렙 타이밍에 부를 정도는 아니었다고 생각됨. 차라리 해당 타이밍에 미드로 갱을 갔다면 그림이 달라졌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듬.
(※ 개인 의견 : 견제가 센 것이 라인전이 강력한 것과 거의 같은 의미라고 봐도 무방하지 않은가 싶긴 합니다)
아 첫짤의 와드가 그런 의미가 있을거라고는 생각을 못했네요. 그런데 제가 머리속으로 그리는 그림으로는 저기에 와드를 꽂지 않았다 해서 봇듀오 + 미드정글에 싸먹히는 그림이 어떻게 나오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레드 위치에 쵸비가 와드를 꽂은건 전 실수가 맞다고 생각해요. 아마 리신이 아니라 그 어떤 정글 챔피언을 갖다 놨어도 리신이 와드를 꽂을 타이밍이었을텐데, 챔피언이 리신이라 미드가 와드를 꽂은게 좀 많이 악수가 됐다는 생각을 보면서 했습니다. 리신이어도 거기에 와드를 꽂아야되는게 맞았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리신은 첫... 더 보기
그런데 레드 위치에 쵸비가 와드를 꽂은건 전 실수가 맞다고 생각해요. 아마 리신이 아니라 그 어떤 정글 챔피언을 갖다 놨어도 리신이 와드를 꽂을 타이밍이었을텐데, 챔피언이 리신이라 미드가 와드를 꽂은게 좀 많이 악수가 됐다는 생각을 보면서 했습니다. 리신이어도 거기에 와드를 꽂아야되는게 맞았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리신은 첫... 더 보기
아 첫짤의 와드가 그런 의미가 있을거라고는 생각을 못했네요. 그런데 제가 머리속으로 그리는 그림으로는 저기에 와드를 꽂지 않았다 해서 봇듀오 + 미드정글에 싸먹히는 그림이 어떻게 나오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레드 위치에 쵸비가 와드를 꽂은건 전 실수가 맞다고 생각해요. 아마 리신이 아니라 그 어떤 정글 챔피언을 갖다 놨어도 리신이 와드를 꽂을 타이밍이었을텐데, 챔피언이 리신이라 미드가 와드를 꽂은게 좀 많이 악수가 됐다는 생각을 보면서 했습니다. 리신이어도 거기에 와드를 꽂아야되는게 맞았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리신은 첫 와드를 두번째 와드 돌때까지 못 썼거든요.
결국 쵸비가 위쪽 시야를 밝혀야 할 타이밍에 와드가 없어서 미드에서 죽었다고 생각하는게 결국 제가 쓴 글의 핵심이거든요.
리신이 바텀에 들른건 아마 3레벨이 아니라 2레벨 타이밍일텐데 이건 무슨 뜻인지 이해가 안되네요?
얘기하다보니 결국, DRX 플레이가 아쉬웠던 부분은 위아래 갈라먹기를 하려고 레넥톤을 불러놓고 같이 적 정글 깊숙히까지 들어가질 않았다는거가 되는 것 같네요. 그것 때문에 DRX는 초반부분에 적 정글 위치에 대해 깜깜한 상태로 게임을 했으니까요. 그걸 단적으로 보여주는게 데프트가 지워질걸 뻔히 알면서도 땅굴에 꽂은 와드라고 생각합니다. 적 정글이 반대편에 있는데 땅굴에 꽂히는 와드라니;
세나 켄치가 라인전이 센게 아니라 카이사 파이크가 라인전이 약하다고 생각하는건데 이건 바텀 라이너가 아니니까 코멘트하지 않을게요.
그런데 레드 위치에 쵸비가 와드를 꽂은건 전 실수가 맞다고 생각해요. 아마 리신이 아니라 그 어떤 정글 챔피언을 갖다 놨어도 리신이 와드를 꽂을 타이밍이었을텐데, 챔피언이 리신이라 미드가 와드를 꽂은게 좀 많이 악수가 됐다는 생각을 보면서 했습니다. 리신이어도 거기에 와드를 꽂아야되는게 맞았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리신은 첫 와드를 두번째 와드 돌때까지 못 썼거든요.
결국 쵸비가 위쪽 시야를 밝혀야 할 타이밍에 와드가 없어서 미드에서 죽었다고 생각하는게 결국 제가 쓴 글의 핵심이거든요.
리신이 바텀에 들른건 아마 3레벨이 아니라 2레벨 타이밍일텐데 이건 무슨 뜻인지 이해가 안되네요?
얘기하다보니 결국, DRX 플레이가 아쉬웠던 부분은 위아래 갈라먹기를 하려고 레넥톤을 불러놓고 같이 적 정글 깊숙히까지 들어가질 않았다는거가 되는 것 같네요. 그것 때문에 DRX는 초반부분에 적 정글 위치에 대해 깜깜한 상태로 게임을 했으니까요. 그걸 단적으로 보여주는게 데프트가 지워질걸 뻔히 알면서도 땅굴에 꽂은 와드라고 생각합니다. 적 정글이 반대편에 있는데 땅굴에 꽂히는 와드라니;
세나 켄치가 라인전이 센게 아니라 카이사 파이크가 라인전이 약하다고 생각하는건데 이건 바텀 라이너가 아니니까 코멘트하지 않을게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