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03/26 01:57:45수정됨
Name   Fate
Subject   오늘은 천안함 피격 사건 10주기입니다.




오늘은 천안함 피격 사건 10주기입니다.

제가 장교 후보생일 적에 문무제라는 것이 있었습니다. 한 달 간의 하계 입영훈련을 마치고 퇴소하기 전날, 걸그룹 공연과 장기자랑을 합친 행사였는데, 사회와 완전히 차단된 채 TV도 없이 주말마다 종교행사 가서 짤막하게 밖의 소식을 듣던 저희들에겐 굉장히 기대되는 이벤트였죠. 또 맥주 한 캔씩을 지급해 주고 임관을 위한 종합평가를 모두 마친 뒤 즐기기만 하면 되는 이벤트여서 그저 웃고 술 한 잔 할 생각만 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날 북한이 고사포 한 발을 분계선 너머 대북 확성기에 쐈습니다.

문무제를 기대하던 우리는, 이미 행사 전부터 온 간부들의 핸드폰이 동시에 울리고 학군교에 있는 모든 스피커가 진돗개 1호를 방송하는 걸 들었습니다. 설마 이러다 취소되는 거 아니냐. 그리고 걸그룹이 탄 벤은 도착했지만 그들은 내리지 않았고, 그녀들 대신 올라온 건 전투복 입은 준장님이었고, 준장님은 오늘 행사가 전면 취소되었다고 발표하셨습니다. 

동기들은 웅성웅성댔고, 어떤 이들은 우우 하면서 야유를 했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한심하지만, 그때는 한달 동안 산속에서 새카맣게 탄 원시인에 가까웠습니다. 굉장히 일차원적이었죠.

"조용히 해!" 준장님이 소리쳤고, "조국을 수호하는 방패인 너희들이, 국가가 공격당한 이 상황에, 웃고 떠들 수 있느냐! 국민은 여러분을 믿고 있고, 여러분은 여러분의 소임을 다하라." 

그 순간 모두가 찬물을 끼얹은 듯이 조용해졌습니다. '간부는 군대의 기간(基幹)이다' 하는 말은 자주 들었어도, '조국을 수호하는 방패'라는 표현은 처음 들어서 그랬을까요. 처음엔 행사 취소에 야유하던 오천명의 동기, 후배들이 자기가 누구인지, 지금이 어떤 상황이고 우리가 지금 어디에 있는지 천천히 받아들이던 광경은 압도적이었어요. 우리는 조용히 생활관으로 들어가 모두 완전군장을 하고 10시까지 조용히 대기했습니다.

물론 이성적으로는 전쟁이 날 가능성은 굉장히 희박하다는 걸 알았어요. 하지만 그 희박한 상황이 실제로 벌어질 때 내가 가장 최선봉에 서 있고, 내가 모두를 위해 가장 먼저 희생하는 '바로 그 사람'이라는 걸 받아들이는 과정은 이성 저편에 있었습니다. 그날 28사단이 대응사격으로 대남한계선 북방으로 36발을 사격했고, 다음날 퇴소하고 돌아오는 길에 북한의 준전시상태가 선포되고 김정은이 최후통첩 시한을 발표하고, 그에 다시 대응하며 옥신각신하고, 다음 날에서야 안보실장과 통일부장관, 총정치국장과 당비서간 사이의 고위급 접촉을 갖기로 한 뒤에야 사태는 진정세로 돌아섰습니다.

그리고 한동안 제 기억에서 잊혀졌지요. 그런데 신기하게도 임관을 하고, 최전방에 배치되고, 하필이면 고사포가 날아왔던 인접 사단 GP에서 근무하며 1년 전의 해당 GP에서 기록된 TOD영상을 다시 볼 기회가 있었어요. 그 때 영상에서는 약 3km 떨어진 산 능선에 천천히 병력들이 집결하더니, 나중에는 수백 명이 산을 온통 빼곡히 채우더군요. 그 당시 GP에서 근무하던 수색중대 병력들, 최전방에서 적이 집결하는 걸 보고, 좌표를 산출하고 있던 관측반들, 모니터를 돌리고 있던 TOD병사들은 어떤 마음이었을까요. 

이후 GP에서 내려와 GOP에서 약 1년여를 근무하면서, GP/GOP가 실제 전면전 상황에서 몇 분을 버틸 수 있을까를 늘 생각했어요. 몇 시간이 아니라 몇 분이었습니다. 우리의 목표는 FEBA선단의 아군들이 준비할 시간을 충분히 벌어주는 것이었고, 우리의 작계에는 재집결 장소도 한 줄에 불과했습니다. 즐거운 때도 있었지만 탈북한 병사가 내려올 때, 북한이 핵실험을 할 때 늘 칼날 위를 걷는 기분이었습니다. 초계(哨戒)와 경계(警戒)의 나날들... 그리고 초계함...

제게 천안함은 음모론자들과의 싸움으로 기억됩니다. 진짜 증거들을 무시하고, 가능만 한 온갖 음모론들과 싸웠던 시간들, 피로파괴, 기뢰, 잠수함, 암초, 붉은 멍게... 그들은 아마도 핵심증거인 인공지진과 지진파, 탄약재, 절단면, 인공추진체를 바라볼 용기가 없는 자들이지요. 혹은 정권에 대한 증오심으로 진실로부터 시선을 외면한 자들이거나요. 정권에 대한 호오는 그들의 자유지만, 천안함에 대해 나온 첫 번째 영화가 그들의 죽음을 모욕하는 음모론자들의 영화였다는 사실은 저를 언제나 힘들게 합니다. 그들을 미워하지 않을 자신이 없어서요. 

그럼에도 오늘은 바다에서 조국을 수호했던 젊은이들에 대한 시간으로 기억하고 싶습니다. 저는 이제 방패를 내려놓고 다시 평범한 시민으로 돌아갔지만, 대잠능력이 없는 노후된 초계함이 적 잠수함의 어뢰 공격을 받아 칠흑의 바다에서 침몰했을 때, 조국은 끝까지 임무에 충실했던 병사들로, 조국을 수호했던 방패로 당신들을 기억할 것입니다.    

천안함 46용사, 그리고 전우를 구하기 위해 순직하신 故 한주호 준위의 명복을 빕니다. 
 


-772함 수병은 귀환하라


772함 나와라.
가스터어빈실 서승원 하사 대답하라.
디젤엔진실 장진선 하사 응답하라.

그대 임무 이미 종료되었으니
이 밤이 다하기 전에 귀대(歸隊)하라.

772함 나와라.
유도조정실 안경환 중사 나오라.
보수공작실 박경수 중사 대답하라.
후타실 이용상 병장 응답하라.

거치른 물살 헤치고 바다위로 부상(浮上)하라.
온 힘을 다하여 우리 곁으로 돌아오라.

772함 나와라. 

기관조정실 장철희 이병 대답하라.
사병식당 이창기 원사 응답하라.

우리가 내려간다.
SSU팀이 내려 갈 때까지 버티고 견디라.

772함 수병은 응답하라.
호명하는 수병은 즉시 대답하기 바란다.

남기훈 상사, 신선준 중사, 김종헌 중사, 박보람 하사, 이상민 병장, 김선명 상병,
강태민 일병, 심영빈 하사, 조정규 하사, 정태준 이병, 박정훈 상병, 임재엽 하사,
조지훈 일병, 김동진 하사, 정종율 중사, 김태석 중사, 최한권 상사, 박성균 하사,
서대호 하사, 방일민 하사, 박석원 중사, 이상민 병장, 차균석 하사, 정범구 상병,
이상준 하사, 강현구 병장, 이상희 병장, 이재민 병장, 안동엽 상병, 나현민 일병,
조진영 하사, 문영욱 하사, 손수민 하사, 김선호 일병, 민평기 중사, 강준 중사,
최정환 중사, 김경수 중사, 문규석 중사.

호명된 수병은 즉시 귀환하라.
전선(戰線)의 초계(哨戒)는 이제 전우(戰友)들에게 맡기고
오로지 살아서 귀환하라.
이것이 그대들에게 대한민국이 부여한 마지막 명령(命令)이다.

대한민국을 보우(保佑)하시는 하나님이시여, 

아직도 작전지역에 남아 있는
우리 772함 수병을 구원(救援)하소서.

우리 마흔 여섯 대한(大韓)의 아들들을 
차가운 해저(海底)에 외롭게 두지 마시고
온 국민이 기다리는 따듯한 집으로 생환(生還)시켜 주소서.
부디
그렇게 해 주소서.








36
  • 삼가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구밀복검
천안함 연평도 시절을 군머에서 보냈습니다 후새드..
7
야 리건...
안경쓴녀석
이거 저도...
the hive
저두 ㅠㅠ
다키스트서클
저때 휴가 다 짤리고 조기복귀하고 난리도 아니었죠.
제가 당직부사관 근무때 일어났었습니다.
10시 좀 안되서 당직사령이 전화로 밤새 뉴스 틀어놓고 전화대기 철저히 하라고 전달했었죠.
밤새 정말 많은 생각을 했었고, 다음날 근취할 잠도 안왔었습니다.

그리고 며칠 뒤 저녁 뉴스에서 실종자 수색을 벌이던 한주호 준위의 순직 소식을 접했었습니다.
그의 장례식장에서 상주(아들)의 인터뷰를 보고있었는데 너무 낯이 익더군요
곰곰히 생각해보니 훈련병시절 신교대(1사단) 소대장이었습니다.(당시 한상기 소위) 만감이 교차하면서 가슴이 많이 아팠던 기억이 납니다.
1
그렇군요. 당시 한주호 준위님이 나이가 꽤 되셨으니, 장성한 아들이 있었군요.

참 그 나이에도 전우들을 구하기 위해 무리하다 순직하셨으니.. 눈물납니다.
알료사
그렇게 해 주소서
그저그런
가슴이 답답하네요 ㅠㅠ
시간이 참 빨리 지났네요. 아직도 그 참담함이 마음에 선한데.

저도 GOP에 전역하는 날까지 일년동안 있었는데.. FEBA-A 에 있다가 인수인계 작업하러 올라갔던 첫날 무척이나 얇은 전세규를 보고서 마음이 서늘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이 얇은 종이들에 내가 살 수 있는 길은 적혀있지 않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서였죠.

그 복무하는 일년동안 매일같이 일기삼아 쓰던 당시 여자친구(현 마눌님)에게 보내던 편지글을 다시 봐도, 그때만큼이나 인생에서 죽음을 친구처럼 곁에 두고 있던 적이 없었네요. 뉴스에는 나오지도 않을 상황들을... 더 보기
시간이 참 빨리 지났네요. 아직도 그 참담함이 마음에 선한데.

저도 GOP에 전역하는 날까지 일년동안 있었는데.. FEBA-A 에 있다가 인수인계 작업하러 올라갔던 첫날 무척이나 얇은 전세규를 보고서 마음이 서늘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이 얇은 종이들에 내가 살 수 있는 길은 적혀있지 않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서였죠.

그 복무하는 일년동안 매일같이 일기삼아 쓰던 당시 여자친구(현 마눌님)에게 보내던 편지글을 다시 봐도, 그때만큼이나 인생에서 죽음을 친구처럼 곁에 두고 있던 적이 없었네요. 뉴스에는 나오지도 않을 상황들을 겪고 또 겪으며 죽을 때 죽더라도 GP 와 도로는 다 부수고 죽자며 확인점 다섯 개, 60미리 포 3 문 어치의 제원을 목숨처럼 외웠죠. 내가 그 제원들을 무전으로 불러주고, 적의 GP와 시설과 도로가 터져나가는걸 내 눈으로 보고 죽게 해주소서, 하고 매일 같이 믿지도 않는 신에게 기도하곤 했었는데.. 다행히도 저는 살아 돌아왔네요.

얼마나 아프고 힘들었을까요. 그 젊은 마음들이 떠올라서 가슴이 참 아픕니다.
2
세상의빛
잊지 않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기억할거구요.
ebling mis
그때 음모론 주장한 사람들 사과한마디 없었죠. 4년후에 벌어진 끔찍한 사고에 대한 음모론도 마찬가지고요.
정권에 대한 호오는 그들의 자유고 음모론을 말할 권리조차 없다고 할 생각은 없지만, 틀렸다면 사과라도 했으면 합니다.
5
방사능홍차
저는 모 포털사이트 가면은 아직도 형광등이 깨지지 않았네, 1번 색이 지질 않았네 등 MB 때 일어나고 조사한 일이라고 계속 음모론 제기하고 음모론이 정설인 마냥 주장하는 언론, 사람들을 보고 환멸 많이 느꼈습니다.
나라 지키다가 가신 영혼들의 안식을 빕니다
이들을 잊지않고 있습니다. 이들의 희생이 음모론 안주거리로 치부되는 모습들이 선합니다. 그러지 말아야하는데...
김치찌개
잊지 않고 있습니다.
아 갑자기 답답해지네요ㅠ
goldfish
이렇게 자신이 무엇을 보았는지를 말하고 기록하다보면 헝클어진 세상에 숨어있는 맥락을 찾아내는 길이될겁니다. 그것들이 모이고 시간의 힘까지 더해지면 역사가 되는거고 , 결국 그게 지성이죠.
하우두유두
하 정치논리에 말하지말고
천안함 용사분둘을 잊지않겠습니다.. 행복하세요
화이트카페모카
살면서 지켜주신 나라에서 잊지 않고 열심히 살겠습니다....
얼그레이
진짜 너무 애기들이네요ㅜㅜ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천안함 음모론과의 싸움은 마치 미씽링크와의 싸움과 비슷했지요. 여튼 추모합니다.
로냐프
언제까지 당해야 되는지 참 분했던 기억이 나네요. 결국 고작 무슨무슨 조치 같은 애들 장난 같은 조치로 끝나버렸죠. 물론 당시 현실적으로 우리에게 다른 옵션이 없긴 했지만, 10년이 지난 지금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지면 과연 제대로 보복할 수 있을까? 라는 의문이 드는 것도 사실입니다.
STARSEEKER
제 친구가 해사출신으로 천안함 장교였는데..트라우마건드릴까봐 아직도 천안함의 천 자도 못꺼내봤습니다.
엄두가 안나더라구요.
그때 음모론이 하도 활개를 쳐서 사실이냐고 물어보고 싶은걸 꾹참았는데, 10년 지나서 생각해보니 물어보고 싶은 마음이 들었던거 자체가 넌씨눈이었습니다. 어휴 등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303 일상/생각열아홉, 그리고 스물셋 14 우리온 21/01/01 4567 37
11129 일상/생각아빠의 쉼 총량제 22 Cascade 20/11/13 4381 37
10706 일상/생각자격은 없다. 94 절름발이이리 20/06/22 9127 37
10404 의료/건강자존감은 꼭 높아야 하나요? 38 호라타래 20/03/20 8241 37
9609 기타[옷나눔] 여자 직장인 옷 나눔입니다 56 다람쥐 19/09/01 6125 37
6868 일상/생각오랜만에 어머니와 새해를 맞았습니다. 32 1일3똥 18/01/01 5828 37
6634 일상/생각홍차넷의 정체성 45 알료사 17/11/22 6817 37
5890 사회홍차넷 20000플 업적달성 전기 87 파란아게하 17/07/04 7512 37
14995 일상/생각트라우마여, 안녕 7 골든햄스 24/10/21 1427 36
14690 도서/문학제가 드디어 에어북을 출간했습니다. 14 카르스 24/05/19 2519 36
11367 일상/생각주인양반 육개장 하나만 시켜주소. 9 Schweigen 21/01/24 5227 36
10525 일상/생각하루 왕복 110km 통근했던 이야기 37 SCV 20/04/23 6233 36
10432 역사오늘은 천안함 피격 사건 10주기입니다. 22 Fate 20/03/26 6535 36
9715 기타마감)강다녤 줄서면 스벅 깊티콘 주는 게시물 (추가X2) 113 tannenbaum 19/09/27 6089 36
9324 과학/기술과학적 연구의 동기부여는 시대를 어떻게 대변하는가? 25 다시갑시다 19/06/18 6554 36
9215 일상/생각홍차넷 1년 후기 8 곰돌이우유 19/05/20 6007 36
8548 사회형벌의 목적, 책임주의, 그리고 음주운전 28 烏鳳 18/11/20 7609 36
6997 과학/기술국뽕론 43 기아트윈스 18/01/25 7446 36
5020 일상/생각10 26 진준 17/02/27 5492 36
4883 기타홍차상자 이야기 :) 52 새벽3시 17/02/15 7750 36
11876 정치내가 왜 문재인을 좋아하지...? 107 매뉴물있뉴 21/07/13 6898 36
2711 역사유게에 올라온 유재흥 글에 대해 63 눈시 16/04/29 13637 36
15032 IT/컴퓨터추천 버튼을 누르면 어떻게 되나 13 토비 24/11/08 1326 35
14427 일상/생각전세보증금 분쟁부터 임차권 등기명령 해제까지 (4, 完) 6 양라곱 24/01/31 5073 35
13791 일상/생각부모님이 반대하는 결혼 썼던 사람입니다 오랜만에 왔습니다 18 이웃집또털어 23/04/27 4156 35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