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자가 질문을 받을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AMA는 Ask me anything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라는 뜻입니다.
Date | 23/07/09 19:53:02 |
Name | [익명] |
Subject | 조선일보 인턴 해봤습니다. |
조선일보는 참 인턴을 많이 뽑는데요, 매년 20~30명씩 두 번씩 인턴을 뽑으니 기자 준비하는 사람들은 어지간하면 한 번쯤은 지원해보고 또 많이들 경험해보는 그런... 곳입니다. 막 엄청 특별할 건 없다는 얘기죠. 하다보면서 놀란 점이 몇 가지 있는데 1. 편집국이 한국 그 어떤 신문사 편집국을 가져다 둬도 압승할 정도로 완벽 그 자체. - 진짜 놀랐는데 조선일보라는 고루한 느낌의 편집국, 꽉 막힌 답답한 느낌의 편집국을 생각했는데... 웬걸 너무 탁 트여 있고 거의 무슨 워싱턴 포스트나 뉴욕 타임즈 편집국을 그대로 옮겨온 듯한 혁신적인 느낌을 받았습니다. 아니 이렇게 혁신적이고 깔끔한 공간에서 그런... 기사가? 2. 생각보다 정체성 혼란을 느끼는 기자들이 많음 - 뭐 어디 가나 데스크와 현장의 알력다툼은 있다지만 여기는 유독 심한 느낌. 조선일보에는 '그런 기자'만 있는 거 아냐? 라고 생각했지만 딱히 그렇지도 않다는 걸 깨달았음. 하지만 데스크에는 정말 '그런 사람'들만 올라갈 수 있는 느낌. 오히려 현장 기자들은 되게 편견없고 조선일보답지 않은 점이 많았다고 느낌. 3. 업계 최고 자부심 - 솔직히 이제 언론 1등이 조선일보는 아니라 생각하고, 그래도 신문 1등 정도는 조선이 맞다고 생각하긴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업계 최고라는 자부심을 굉장히 강조합니다. 페이를 건너듣기로는 완전 업계 최고와는 거리가 좀 있다고 들었는데(방송 포함) 그래도 신문 중에서는 많이 주는 편에 속할겁니다. 아마 1등? 4. 놀라울 정도의 경쟁 - 보통 언론들은 내부 경쟁을 아주 심하게 하지는 않는데, 조선은 내부에서도 경쟁을 엄청 심하게 붙이더라구요. 이건 나중에 실제 입사한 인턴 동기와 술마시다가 들은 내용. 결국 최고 수준의 실력이 없으면 이직하거나 업계를 떠나거나 하는 일이 잦다고 들었습니다. 2달밖에 안 하는데도 인턴을 마치 사골육수 빼먹듯이 굴리는 걸 보면서, 여기 들어가면 진짜 큰일나는거아냐? 싶었는데 나중에 공채로 뽑힌 사람들이 증언하기로는 인턴은 맛맛맛보기에 불과했다고. 5. 명문대 좋아함 - 팩트임 그런데도 인턴 2달 해보고 기자는 내 일이 아닌 것 같다며 이 판을 뜨는 동기들도 참 많았습니다. 거기 적응해서 조선일보 간 친구들도 여럿 있었지만. 저도 아 이건 아닌것 같은데... 싶어서 업종을 바꿨지만, 그래도 그 때 동기들하고 인턴 마치고 먹었던 술은 살짝 그립기도 하네요. http://m.journalist.or.kr/m/m_article.html?no=37175 이런 기사도 있는데 조선은 확실히 체계적으로 운용하는 듯 싶더라구요. 기자를 경험해보기에는 가장 완벽한 인턴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힘들긴 하지만 - 나중에 지울 수도 있습니다- 아 그래서 질문은 다양하게 받습니다. 조선일보 대해서 물어보셔도 되고 언론 관련해서 물어보셔도 되고 다 됩니다. 0
|
좋은가요?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조선일보의 사회면 기사는 이미 많은 부분 정치화됐다고 생각하고 정치면 기사는 많은 부분에서 데스크 입맛에 맞는 기사만 나가죠. 그나마 장점이 있다면 문화 정도가 끝인 것 같은데 문화도 이제 더 잘하는 곳이 많다고 봅니다. 연예는 연예 전문 매체가 잘하고, 스포츠도 스포츠 전문 매체가 훨씬 낫죠.
경제면까지도 정치로 써먹는데 과연 조선일보 지면에서 '정치면'이 아닌 지면이 몇장이나 되는지... 심지어 사설까지도. 모두 정치면 기사인데... 좋은 기사들도 데스크가 건들면 오히려 더 나빠질걸요. 조선일보에서 좋은 기사가 나오는 건 아마 데스크가 덜 건드려서 아닐까요?
... 더 보기
경제면까지도 정치로 써먹는데 과연 조선일보 지면에서 '정치면'이 아닌 지면이 몇장이나 되는지... 심지어 사설까지도. 모두 정치면 기사인데... 좋은 기사들도 데스크가 건들면 오히려 더 나빠질걸요. 조선일보에서 좋은 기사가 나오는 건 아마 데스크가 덜 건드려서 아닐까요?
... 더 보기
좋은가요?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조선일보의 사회면 기사는 이미 많은 부분 정치화됐다고 생각하고 정치면 기사는 많은 부분에서 데스크 입맛에 맞는 기사만 나가죠. 그나마 장점이 있다면 문화 정도가 끝인 것 같은데 문화도 이제 더 잘하는 곳이 많다고 봅니다. 연예는 연예 전문 매체가 잘하고, 스포츠도 스포츠 전문 매체가 훨씬 낫죠.
경제면까지도 정치로 써먹는데 과연 조선일보 지면에서 '정치면'이 아닌 지면이 몇장이나 되는지... 심지어 사설까지도. 모두 정치면 기사인데... 좋은 기사들도 데스크가 건들면 오히려 더 나빠질걸요. 조선일보에서 좋은 기사가 나오는 건 아마 데스크가 덜 건드려서 아닐까요?
시간이죠. 좋은 기사는 시간에서 나옵니다. 좋은 기사를 보면 이제 신문보다는 방송 쪽에서 훨씬 더 많이 나온다고 보는데 방송이 확실히 신문보다 취재할 시간도, 지원도 더 잘해줍니다. 신문과 방송의 헤게모니 싸움에서 방송이 완승을 거뒀고 방송국에서 '신경쓰는' 취재들은 퀄리티가 확연히 높은 게 느껴집니다. 최근에 KBS가 보도한 전세사기 특집 기사 같은 경우에도.. 과연 신문이 그렇게 할 수 있나? 하면 물음표가 뜨는 게 현실이죠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624380
경제면까지도 정치로 써먹는데 과연 조선일보 지면에서 '정치면'이 아닌 지면이 몇장이나 되는지... 심지어 사설까지도. 모두 정치면 기사인데... 좋은 기사들도 데스크가 건들면 오히려 더 나빠질걸요. 조선일보에서 좋은 기사가 나오는 건 아마 데스크가 덜 건드려서 아닐까요?
시간이죠. 좋은 기사는 시간에서 나옵니다. 좋은 기사를 보면 이제 신문보다는 방송 쪽에서 훨씬 더 많이 나온다고 보는데 방송이 확실히 신문보다 취재할 시간도, 지원도 더 잘해줍니다. 신문과 방송의 헤게모니 싸움에서 방송이 완승을 거뒀고 방송국에서 '신경쓰는' 취재들은 퀄리티가 확연히 높은 게 느껴집니다. 최근에 KBS가 보도한 전세사기 특집 기사 같은 경우에도.. 과연 신문이 그렇게 할 수 있나? 하면 물음표가 뜨는 게 현실이죠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624380
조선일보는 기사는 그냥 데스크가 쓴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점점 더 퀄러티가 떨어지고 있고요. 제 첫 직장에서 조선일보로 이직해간 선후배동료가 5명은 되는데 공통된 의견이고요.
조선일보가 유독 데스크들이 손을 많이 대긴 하죠. 매경이나 동아는 손 많이 안댑니다. 글을 고치긴 하는데 야마를 틀진 않아요
이런 기사 써도 되나 고민하는 기자도 있고 아닌 기자도 있는데 어쨌거나 그다지 신경쓰는 분위기는 아니긴 해요. 그리고 그걸 신경쓰며 스트레스 받을 정도로 일이 적지 않아요.
어차피 지금 정치 상황에서는 내 반대쪽으로 가면 무조건 기레기, 내쪽으로 오면 기자님이니까요
어차피 지금 정치 상황에서는 내 반대쪽으로 가면 무조건 기레기, 내쪽으로 오면 기자님이니까요
그러게요. 제가 미쳤었나 봅니다.
근데 말입니다. 무고한 사람들 칼로 푹푹 찔러가며 일제시대엔 일제, 해방후엔 독재자 마름으로 벌어먹고 사는 놈한테 칼 맞은 놈들이 욕이라도 할라치면…
저.. 저… 천박한 것들 그러니 칼 맞았지~
이게 한국 근현대사죠. 이걸 모르실리 없다는 가정하에, 말씀대로 직원, 인턴의 상황은 다를수도 있는데 결국 내 스펙이고 포트폴리오죠. 이점을 인정 못하신다면 이 댓글은 무의미 하겠네요.
여튼 근데요 무엇보다…
광주출신이란 이유로 한평생 조선일보와 그 패거리들에게 좌좀빨갱이 몰이 ... 더 보기
근데 말입니다. 무고한 사람들 칼로 푹푹 찔러가며 일제시대엔 일제, 해방후엔 독재자 마름으로 벌어먹고 사는 놈한테 칼 맞은 놈들이 욕이라도 할라치면…
저.. 저… 천박한 것들 그러니 칼 맞았지~
이게 한국 근현대사죠. 이걸 모르실리 없다는 가정하에, 말씀대로 직원, 인턴의 상황은 다를수도 있는데 결국 내 스펙이고 포트폴리오죠. 이점을 인정 못하신다면 이 댓글은 무의미 하겠네요.
여튼 근데요 무엇보다…
광주출신이란 이유로 한평생 조선일보와 그 패거리들에게 좌좀빨갱이 몰이 ... 더 보기
그러게요. 제가 미쳤었나 봅니다.
근데 말입니다. 무고한 사람들 칼로 푹푹 찔러가며 일제시대엔 일제, 해방후엔 독재자 마름으로 벌어먹고 사는 놈한테 칼 맞은 놈들이 욕이라도 할라치면…
저.. 저… 천박한 것들 그러니 칼 맞았지~
이게 한국 근현대사죠. 이걸 모르실리 없다는 가정하에, 말씀대로 직원, 인턴의 상황은 다를수도 있는데 결국 내 스펙이고 포트폴리오죠. 이점을 인정 못하신다면 이 댓글은 무의미 하겠네요.
여튼 근데요 무엇보다…
광주출신이란 이유로 한평생 조선일보와 그 패거리들에게 좌좀빨갱이 몰이 당한 저한테는 선생님의 글쓴님에 대한 그 이해가 왜 적용되지 않을까요?
뭐… 칼로 덤비는 사람 한대라도 치면 정당방위가 아니라 쌍방폭행으로 처벌 받는 한국인지라 그렇게 이해하겠습니다.
근데 말입니다. 무고한 사람들 칼로 푹푹 찔러가며 일제시대엔 일제, 해방후엔 독재자 마름으로 벌어먹고 사는 놈한테 칼 맞은 놈들이 욕이라도 할라치면…
저.. 저… 천박한 것들 그러니 칼 맞았지~
이게 한국 근현대사죠. 이걸 모르실리 없다는 가정하에, 말씀대로 직원, 인턴의 상황은 다를수도 있는데 결국 내 스펙이고 포트폴리오죠. 이점을 인정 못하신다면 이 댓글은 무의미 하겠네요.
여튼 근데요 무엇보다…
광주출신이란 이유로 한평생 조선일보와 그 패거리들에게 좌좀빨갱이 몰이 당한 저한테는 선생님의 글쓴님에 대한 그 이해가 왜 적용되지 않을까요?
뭐… 칼로 덤비는 사람 한대라도 치면 정당방위가 아니라 쌍방폭행으로 처벌 받는 한국인지라 그렇게 이해하겠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