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자가 질문을 받을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AMA는 Ask me anything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라는 뜻입니다.
Date 23/07/09 19:53:02
Name   [익명]
Subject   조선일보 인턴 해봤습니다.
조선일보는 참 인턴을 많이 뽑는데요, 매년 20~30명씩 두 번씩 인턴을 뽑으니 기자 준비하는 사람들은 어지간하면 한 번쯤은 지원해보고 또 많이들 경험해보는 그런... 곳입니다. 막 엄청 특별할 건 없다는 얘기죠.

하다보면서 놀란 점이 몇 가지 있는데

1. 편집국이 한국 그 어떤 신문사 편집국을 가져다 둬도 압승할 정도로 완벽 그 자체.
- 진짜 놀랐는데 조선일보라는 고루한 느낌의 편집국, 꽉 막힌 답답한 느낌의 편집국을 생각했는데... 웬걸 너무 탁 트여 있고 거의 무슨 워싱턴 포스트나 뉴욕 타임즈 편집국을 그대로 옮겨온 듯한 혁신적인 느낌을 받았습니다. 아니 이렇게 혁신적이고 깔끔한 공간에서 그런... 기사가?

2. 생각보다 정체성 혼란을 느끼는 기자들이 많음
- 뭐 어디 가나 데스크와 현장의 알력다툼은 있다지만 여기는 유독 심한 느낌. 조선일보에는 '그런 기자'만 있는 거 아냐? 라고 생각했지만 딱히 그렇지도 않다는 걸 깨달았음. 하지만 데스크에는 정말 '그런 사람'들만 올라갈 수 있는 느낌. 오히려 현장 기자들은 되게 편견없고 조선일보답지 않은 점이 많았다고 느낌.

3. 업계 최고 자부심
- 솔직히 이제 언론 1등이 조선일보는 아니라 생각하고, 그래도 신문 1등 정도는 조선이 맞다고 생각하긴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업계 최고라는 자부심을 굉장히 강조합니다. 페이를 건너듣기로는 완전 업계 최고와는 거리가 좀 있다고 들었는데(방송 포함) 그래도 신문 중에서는 많이 주는 편에 속할겁니다. 아마 1등?

4. 놀라울 정도의 경쟁
- 보통 언론들은 내부 경쟁을 아주 심하게 하지는 않는데, 조선은 내부에서도 경쟁을 엄청 심하게 붙이더라구요. 이건 나중에 실제 입사한 인턴 동기와 술마시다가 들은 내용. 결국 최고 수준의 실력이 없으면 이직하거나 업계를 떠나거나 하는 일이 잦다고 들었습니다.

2달밖에 안 하는데도 인턴을 마치 사골육수 빼먹듯이 굴리는 걸 보면서, 여기 들어가면 진짜 큰일나는거아냐? 싶었는데 나중에 공채로 뽑힌 사람들이 증언하기로는 인턴은 맛맛맛보기에 불과했다고.

5. 명문대 좋아함
- 팩트임

그런데도 인턴 2달 해보고 기자는 내 일이 아닌 것 같다며 이 판을 뜨는 동기들도 참 많았습니다. 거기 적응해서 조선일보 간 친구들도 여럿 있었지만. 저도 아 이건 아닌것 같은데... 싶어서 업종을 바꿨지만, 그래도 그 때 동기들하고 인턴 마치고 먹었던 술은 살짝 그립기도 하네요.

http://m.journalist.or.kr/m/m_article.html?no=37175
이런 기사도 있는데 조선은 확실히 체계적으로 운용하는 듯 싶더라구요. 기자를 경험해보기에는 가장 완벽한 인턴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힘들긴 하지만

- 나중에 지울 수도 있습니다-

아 그래서 질문은 다양하게 받습니다. 조선일보 대해서 물어보셔도 되고 언론 관련해서 물어보셔도 되고 다 됩니다.



0


카르스
- 조선일보는 정치면을 벗어나면 정말 퀄리티가 높은 기사들이 많은데, 이게 말씀하신 훌륭한 편집국 덕이라 보면 될까요?

- 개인적으로 지켜본 바로 근래 20년간 언론 전반의 수준이 답보하거나 퇴보하는 느낌이지만, 대신 퀄리티 상위 10%끼리만 비교하면 예전보다 수준이 확 높아진 느낌입니다. 특히 연재 및 특종 기사들. 문제의식, 취재 및 분석능력, 해결방안 모두 우수한 기사가 많아요. 조선일보 인턴 경험에 비추어봤을 때, 어떻게 이런 좋은 기사들이 나올 수 있었을까요?
[글쓴이]
좋은가요?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조선일보의 사회면 기사는 이미 많은 부분 정치화됐다고 생각하고 정치면 기사는 많은 부분에서 데스크 입맛에 맞는 기사만 나가죠. 그나마 장점이 있다면 문화 정도가 끝인 것 같은데 문화도 이제 더 잘하는 곳이 많다고 봅니다. 연예는 연예 전문 매체가 잘하고, 스포츠도 스포츠 전문 매체가 훨씬 낫죠.
경제면까지도 정치로 써먹는데 과연 조선일보 지면에서 '정치면'이 아닌 지면이 몇장이나 되는지... 심지어 사설까지도. 모두 정치면 기사인데... 좋은 기사들도 데스크가 건들면 오히려 더 나빠질걸요. 조선일보에서 좋은 기사가 나오는 건 아마 데스크가 덜 건드려서 아닐까요?
... 더 보기
좋은가요?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조선일보의 사회면 기사는 이미 많은 부분 정치화됐다고 생각하고 정치면 기사는 많은 부분에서 데스크 입맛에 맞는 기사만 나가죠. 그나마 장점이 있다면 문화 정도가 끝인 것 같은데 문화도 이제 더 잘하는 곳이 많다고 봅니다. 연예는 연예 전문 매체가 잘하고, 스포츠도 스포츠 전문 매체가 훨씬 낫죠.
경제면까지도 정치로 써먹는데 과연 조선일보 지면에서 '정치면'이 아닌 지면이 몇장이나 되는지... 심지어 사설까지도. 모두 정치면 기사인데... 좋은 기사들도 데스크가 건들면 오히려 더 나빠질걸요. 조선일보에서 좋은 기사가 나오는 건 아마 데스크가 덜 건드려서 아닐까요?

시간이죠. 좋은 기사는 시간에서 나옵니다. 좋은 기사를 보면 이제 신문보다는 방송 쪽에서 훨씬 더 많이 나온다고 보는데 방송이 확실히 신문보다 취재할 시간도, 지원도 더 잘해줍니다. 신문과 방송의 헤게모니 싸움에서 방송이 완승을 거뒀고 방송국에서 '신경쓰는' 취재들은 퀄리티가 확연히 높은 게 느껴집니다. 최근에 KBS가 보도한 전세사기 특집 기사 같은 경우에도.. 과연 신문이 그렇게 할 수 있나? 하면 물음표가 뜨는 게 현실이죠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624380
4
R세제곱인생(삼유인생)
조선일보는 기사는 그냥 데스크가 쓴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점점 더 퀄러티가 떨어지고 있고요. 제 첫 직장에서 조선일보로 이직해간 선후배동료가 5명은 되는데 공통된 의견이고요.
3
[글쓴이]
데스크가 만질수록 기사가 이상해진다는 건 모든 기자의 공통된 의견이죠. 조선일보는 유독 더하다 뿐이고...
3
R세제곱인생(삼유인생)
조선일보가 유독 데스크들이 손을 많이 대긴 하죠. 매경이나 동아는 손 많이 안댑니다. 글을 고치긴 하는데 야마를 틀진 않아요
3
[글쓴이]
야마를 트는 건... 사실 욕밖에 안나오긴 하죠.

야마를 틀어버리는 일을 몇번 겪고 나면 아예 그냥 데스크 입맛에 맞게 쓰던가 아님 나가던가...
1
R세제곱인생(삼유인생)
조선일보 차장급 기자랑 지난주에도 술먹었는데 인턴한테는 완벽하게 보이도록 세팅하는 거지 실제 편집국은 덤앤더머에요 ㅎㅎㅎㅎㅎㅎㅎ
[글쓴이]
개인적으로 인턴에게도 회사의 허술함은 많이 보였습니다. 그런데 그정도면 신문사 중에서는 탑급...
R세제곱인생(삼유인생)
동아일보도 인턴한테는 꽤 좋은 모습을 보이는 거로 알고 있어요. 제가 볼때 인턴 운영하는 회사 중에서는 조선하고 동아가 젤 괜찮은 건 맞는거 같아요
[글쓴이]
사실 조선이 인턴 운영하면서 얻는 이득은 별로 없고, 현장에 나가 있는 기자들만 혹 붙이고 일하느라 고생하죠

수습기자들도 전력이 안 되는 마당에 두달짜리 인턴을 매년 두번씩 받아야되는 사회부 기자들이 인턴한테 까칠할 수밖에 없는 건 어찌 보면 당연한거죠. 동아 인턴 얘기도 들었고, 중앙 인턴도 얘기를 들어봤는데 동아도 힘든 건 마찬가지였다고.
R세제곱인생(삼유인생)
그래도 남는 좋은 이미지? 개선된 이미지? 이런게 조선이나 동아나 큰 메리트라고 생각하는 거 같아요. 그리고 실제 받아보면 그닥 힘들지 않아요. 수습은 진짜로 전력이 되고요. 인턴은 늘 챙겨주고 싶은 손님이자 미래 후배같은 존재랄까. 전 뭐 기렉시트 한지 좀 됐습니다만. 여전히 그렇지 않을까 싶네요
[글쓴이]
저도 느낀 게 이미지 개선용으로 엄청 좋은 것 같긴 해요. 저만 해도 조선????????????? 이었는데 그래도 그거 끝나고 난 후에는 좀 긍정적인 방향으로도 보게 된 것 같은...

수습기자는 전력이 안 되면 안되죠. 수습은 진짜 기자인데 ㅎㅎㅎ... 조선은 아직도 수습 교육을 혹독하게 시키는 걸로 유명하니.. 근데 제 주변은 인턴 기자들 좀 귀찮아하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나 발제하고 기사쓰기에도 바쁜데 웬 인턴?
Mandarin
조선일보는 장기간의 탐사보도에는 관심이 없나요? 조선일보에서 그런식의 기사를 본적이 없습니다.
탐사해야할 대상이 기득권층이라 그런걸꺼요?
[글쓴이]
관심이 없습니다. 실제로 조선일보는 보는 사람들 중에서 ‘탐사보도’를 원하는 사람이 없을 걸요?

탐사보도라하면 꼭 정치권이 아니더라도 뭔가 사회적인 반향을 이끌어낼만한 게 있어야 하는데 사실 조선일보 애독층은 그러한 걸 원하지 않아요. 데스크도 원하지 않구요.

탐사 보도를 원하시면 시사인같은 주간지를 보거나 방송사 탐사보도 관련 뉴스, 프로그램을 보는 것이 낫습니다.
Mandarin
하나더 여쭤보면 정치적 스탠스가 반대인 한겨레는 왜이랗게 기사의 질이..
(관계자분들에게 미리 죄송합니다)
[글쓴이]
저는 한겨레도 그냥저냥 잘 보는 편이라...

개인적으로 조중동이나 한경이나 둘 다 기사의 질적인 차이가 크다고 생각은 안해요
Mandarin
저도 한겨레 7년째 구독하고 있습니다만 정치적인 기사는 몰라도 문화쪽은 차이가 좀 난다 느꼈습니다. 인풋이 달라서 그런건가? 라는 생각을 해본적이 있어 여쭤보았습니다.
사레레
쓰레기같고 하잘것없는 정보들이 막대한 분량으로 생산되고 또 그걸 입맛에 맞는다고 소비하는 시대에서 언론의 역할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나요?
소위 말해 양질의 기사나 글의 가성비가 안나오는 시대같아서요
[글쓴이]
정보를 최대한 빨리 전달하는 게 목표가 되겠죠. 이미 지금도 많은 신문들이 속보경쟁에 목을 매구요. 하지만 이것도 시간문제라 봅니다. 저는 몇년만 지나면 이제 언론사에서 주요 출입처에 기자를 배치하지 않게 될 거라 생각합니다. 지금 국제 뉴스 보면 실제 취재가 아니라 다 외신 받아쓰기 하잖아요. 아마 이제 슬슬 한국 내에서도 메이저 언론이 그런 식으로 쓰는 경우가 왕왕 생길 것이라 생각합니다.
Paraaaade
구독자 트렌드는 어떤가요? 시간이 지나며 뉴미디어의 출현, 구보수 세력의 늙음으로 인해 고령화 및 감소가 일어날 것 같은데 실제로도 그런지.
[글쓴이]
실제로 그렇습니다. 고령화+부수감소 모두 현재진행형이죠
스라블
구직자 입장에서 조선일보의 매력은 무엇인가요? 그럴싸하게 규모있고 안정적인 면이 다른 언론에 비해 두드러지나요? 페이가 많은 편인가요?

기자가 최종본을 송고한 후에 데스크에 의해 수정지시가 내려오는 게 아니라 데스크가 임의로 편집한다면, 그 기사에는 기자 이름을 붙여서는 안 될것 같은데 실제로는 기자 이름이 붙는 것 같습니다. 그런 식이면 애초에 바이라인이 의미없는 것 같은데.. 제가 이해하고 있는 상황에 잘못 알고 있는 것이 있는지요?
[글쓴이]
페이도 쎄고, 방송(TV조선)에서 일할 수 있다는 것도 강점으로 봅니다.

2. 바이라인이 의미 없진 않죠. 어쨌건 취재는 그 기자가 한 거니... 다만 그럴 경우 데스킹한 사람도 기재해야 되는 것 아닌가 싶습니다
Broccoli
인턴/정직원으로 뽑히는 분들 중에서 대학신문이든 신방과든 관련된 경험이나 배경이 있는 분들은 어느정도 퍼센트가 될까요??
1
[글쓴이]
인턴 한 사람 중에서 대학신문/방송 경험 없는 사람은 진짜 몇명 안 됐습니다. 기본적으로 다 한 번쯤은 했다 고 봐야...
듣보잡
질문은 아니고 써주신 글만 보면 재료도 좋고 시스템도 괜찮은데 윗대가리들 이슈로 결과물이 그 모양인가 보네요. 조선일보가 당연히 상당한 수준의 기업이라고 생각은 하고 있었지만 1, 2번은 제 생각보다도 더 긍정적으로 보이네요...
[글쓴이]
이게 제가 잘못 쓴건지는 모르겠는데 편집국 공간 디자인이 좋다는 얘기였는데 어째 편집국이 좋다는 걸로 곡해된 것 같네요... 제 말은 그 동선, 편집국 설계가 외국 탑급 언론에 비해서도 꿀리지 않다는 얘기였습니다
노바로마
조선일보 일 하시면서 논조 등에는 불만이 없으셨나요?
[글쓴이]
많았죠. 매일 아침 조선일보 읽고 가야 했는데 읽으면서도 진짜 도가 넘는 기사를 보면서 동기들끼리 의견 나누고 그랬습니다.
기자 자신들을 기레기라고 인식을 하나요?
아니면 무시하면서 하는지 궁금하네요.
[글쓴이]
이런 기사 써도 되나 고민하는 기자도 있고 아닌 기자도 있는데 어쨌거나 그다지 신경쓰는 분위기는 아니긴 해요. 그리고 그걸 신경쓰며 스트레스 받을 정도로 일이 적지 않아요.

어차피 지금 정치 상황에서는 내 반대쪽으로 가면 무조건 기레기, 내쪽으로 오면 기자님이니까요
1
조선일보에는 '그런 기자'만 있는 거 아냐? 라고 생각했지만 딱히 그렇지도 않다는 걸 깨달았음.

조선일보가 광주 빨갱이로 먹고 사는데 일조하신다는 생각은 없으신지요? 전 아무리 먹고 살기 힘들다 해도 방씨일가 앞잡이는 못할거 같더라구요.
어차피 지금 정치 상황에서는 내 반대쪽으로 가면 무조건 기레기, 내쪽으로 오면 기자님이니까요

—————————————————


조선일보와 방씨 일가를 이정도로 이해하신다면 더 드릴말씀은 없긴 합니다.

앞으로도 언론에서 일할 의향이 있으시다면 제발 그 시선을 부디 약자와 피해자들에게 먼저 보여 주시길…
[글쓴이]
아마 타넨바움님보다 제가 더 조선일보를 싫어할 겁니다

조선일보를 이해한다는 건 아니고 거기서 일하는 기자들은 이해가 간다는 얘기였습니다. 광주 빨갱이로 먹고사는 기자도 많지만, 정말 저널리즘 가지고 일하는 기자들도 있었거든요. 앞잡이...라고도 할 수 있겠지만요. 아닌 사람도 있고, 그걸 싫어하면서도 하는 사람도 있더라... 정도였습니다.
네 근현대사 조선일보 행태를 알고도 맨정신으로 취업할리는 없죠. 이해합니다. 목구멍이 포도청이라자나요.

먹고 살라고 광주 빨갱이로 먹고 사는 신문사에 부역할수도 있죠.

그래도 최소한 지 그 행동이 부끄러운 줄은 알아야 하는데… 아니던데요. 백이면 백 죄다 존나 저널리스트던데요?
직원도 아니고 인턴 하셨다는 분께 너무 공격적이신 거 아닌가요?
그러게요. 제가 미쳤었나 봅니다.

근데 말입니다. 무고한 사람들 칼로 푹푹 찔러가며 일제시대엔 일제, 해방후엔 독재자 마름으로 벌어먹고 사는 놈한테 칼 맞은 놈들이 욕이라도 할라치면…

저.. 저… 천박한 것들 그러니 칼 맞았지~

이게 한국 근현대사죠. 이걸 모르실리 없다는 가정하에, 말씀대로 직원, 인턴의 상황은 다를수도 있는데 결국 내 스펙이고 포트폴리오죠. 이점을 인정 못하신다면 이 댓글은 무의미 하겠네요.

여튼 근데요 무엇보다…

광주출신이란 이유로 한평생 조선일보와 그 패거리들에게 좌좀빨갱이 몰이 ... 더 보기
그러게요. 제가 미쳤었나 봅니다.

근데 말입니다. 무고한 사람들 칼로 푹푹 찔러가며 일제시대엔 일제, 해방후엔 독재자 마름으로 벌어먹고 사는 놈한테 칼 맞은 놈들이 욕이라도 할라치면…

저.. 저… 천박한 것들 그러니 칼 맞았지~

이게 한국 근현대사죠. 이걸 모르실리 없다는 가정하에, 말씀대로 직원, 인턴의 상황은 다를수도 있는데 결국 내 스펙이고 포트폴리오죠. 이점을 인정 못하신다면 이 댓글은 무의미 하겠네요.

여튼 근데요 무엇보다…

광주출신이란 이유로 한평생 조선일보와 그 패거리들에게 좌좀빨갱이 몰이 당한 저한테는 선생님의 글쓴님에 대한 그 이해가 왜 적용되지 않을까요?

뭐… 칼로 덤비는 사람 한대라도 치면 정당방위가 아니라 쌍방폭행으로 처벌 받는 한국인지라 그렇게 이해하겠습니다.
전 이글이 너무도 공격적이고 무섭습니다.

나와 내 이웃을 도륙한 집 머슴으로 들어가 우리 집 머슴들 의외로 착해요 하는 격.

그리고 선생님.
그 다른데 파견?같은거 나가서 몇주몇달동안 거기서 출퇴근 하는 근무형태를 보이던데, 몇년차까지 그런 일을 하나요? 친구 보니까 들어간지 꽤 됐는데 아직도 그러고있더라고요. 부서의 차이려나요
[글쓴이]
보통 부바부입니다. 애당초 언론사는 본사로 출근하는 경우가 드물고 정치부는 국회/용와대, 사회부 사건팀은 경찰서, 법원/검찰팀은 법원/검찰, 경제부는 금감위 등, 산업부나 정책사회부는 정부 부처 등등으로 출근하지 본사로 안갑니다. 본사 들어가는 팀은 문화부랑 국제부 정도...?
글쿤요.. 고생하더라고요ㅜ 감사합니다~
보통 기자들 하면 술 먹을 때 자기 돈으로 안 먹는다는 이미지가 있는데 사실에 가깝나요?
[글쓴이]
기업이랑 얽힌 쪽은 실제로도 그런데, 공무원이랑 연결된 부서들은 그러기 힘들어요. 사는 경우도 왕왕 있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124 일 하기 싫어서 열어보는 AMA 34 레몬버터 23/08/21 2047 0
2123 그림 낙서 하수입니다 26 [익명] 23/08/07 2263 0
2122 맛집 물어보십시오 74 [익명] 23/08/06 2442 0
2121 힘들면 하는 ama 32 whenyouinRome... 23/08/05 1966 0
2120 성격이 특이하다고 많이 듣습니다. 질문 던져주세요. 15 [익명] 23/08/04 2368 0
2119 대학생 자녀 37 [익명] 23/07/31 2999 1
2118 상견례 하고 왔습니다 33 바이엘 23/07/27 2822 11
2117 게임회사에서 일합니다. 46 [익명] 23/07/26 2337 0
2116 입시 및 대형학원, n수 도전 등 질문 받습니다. 48 Shameless 23/07/23 2787 1
2114 뭐든지 답해드립니다.(민증번호빼고) 66 소맥왕승키 23/07/17 2483 0
2113 우중런을 즐겨합니다!!!! 17 [익명] 23/07/15 1936 0
2112 발톱무좀으로 3년 고생하고 나았어요 8 도리돌이 23/07/14 1924 0
2110 부모님댁에 갔다가 제방에 언제 샀는지 모를 양주한병 있어서 가져왔습니다. 뭐에다 먹을지 고민중입니다. 8 전화위복어 23/07/12 2116 0
2109 조선일보 인턴 해봤습니다. 43 [익명] 23/07/09 3319 0
2108 실패한 야설 작가입니다 57 [익명] 23/07/07 6476 0
2107 정신과 다닌지 10년이 조금 넘었습니다. 16 [익명] 23/07/06 2178 0
2106 방사선 안전 AMA 41 [익명] 23/07/05 2535 0
2105 1년만에 다시 출근했습니다. 12 당근매니아 23/07/05 2004 0
2104 캐나다 이민 6년차 디자이너입니다 32 하늘보랑파랑 23/06/30 2994 0
2103 점봐드립니다 Season 7: Midnight Summer's Tarot 81 T.Robin 23/06/14 2835 1
2102 자전거 사고로 황천길 다녀올뻔 했던. 질문 받습니다. 18 [익명] 23/05/27 2564 0
2101 오사카-교토 가족여행 다녀왔습니다. 질문 받아요 32 SCV 23/05/25 2921 1
2100 부서원 4명 중 3명이 휴가 갔습니다. 10 [익명] 23/05/19 2313 0
2099 대리시험을 해봤습니다 11 [익명] 23/05/19 2608 0
2098 아무거나 물어보십시오 21 [익명] 23/05/06 2248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