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8/02/13 14:44:48
Name   기쁨평안
Subject   금융권의 차세대 시스템이 도입되는 과정
이 글은 전에 올린 글(https://kongcha.net/?b=12&n=570 )과 같은 사건에 대한 다른 측면의 이야기입니다.

개별적인 경험이므로 일반화할 수는 없음을, 그리고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일부 각색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금융권의 차세대 시스템은 고도화된 현재의 금융거래 처리에 한계가 있는 오래된 시스템을 싹 다 걷어내는 작업입니다.

여기서 오래된 시스템의 코어 부분은 "포트란"으로 구현 된 것이 많이 있데,이를 수정, 보완할 수 있는 프로그래머 자체가 없어서

문자 그대로 '그냥 내버려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하네요. 지금까지 별 문제 없었으니까 그냥 건드리지 않은 거죠.

이런 부분까지도 싹 다 걷어내다보니 대대적인 개편이 불가피한데요. 차세대 프로젝트는 대형 컨설팅 업체가 PM으로 붙고, 대형 SI 업체(삼성 SDI, LG CNS, 인텔 등..)가 개발쪽에 붙습니다.

차세대 일정은 대략 5년을 잡고 시작을 합니다. 사이즈가 크고 프로세스가 복잡하면 당연히 기간은 더 늘어나겠지만, 일단 5년을 잡는다 치면, 3년을 기존 프로세스 분석에 보통 사용을 합니다.

그러면 컨설팅 업체 직원들이 전략기획팀이나 인사팀, 총무팀 같은데서 그려준 전체 업무 프로세스를 가지고 각 지점, 부서, 업무 현장으로 파견을 갑니다.

그래서 실무 직원 옆에 붙어서 꼬치꼬치 물어봅니다.

'여기 이렇게 되어있는 건 이건가요? 저기 저거는 이걸 말하는 건가요?'

이러다보니 당연 실무직원들에게는 불만이 쌓입니다. 가뜩이나 바빠죽겠는데 자꾸 와서 캐묻고 따지고 질문을 해대니 견딜 수가 없죠.

하지만 본사 차원에서 공문이 내려오기 때문에 어찌할 도리가 없습니다. 그래서 결국 실무직원들은 대충 가르쳐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들어, 컨설팅 직원이 "A가 D로 가는데 B에서 C를 건너뛰네요? 원래 이런건가요?"

이러면 실제로는 경우에 따라 C를 건너뛰기도, 건너뛰지 않기도, 때로는 E와 F 지나서 다시 D로 가는 경우도 있지만

그걸 어느세월에 다 이야기를 해줄까요. 그냥 실무직원은 '네. 대부분 그래요.' 이러고 맙니다.

그러면 컨설팅 직원은 "네 그렇군요. 협조에 감사드립니다. 여기 설명을 다 했음 으로 되어있는데 사인해주세요."

이러고 사인을 받고 떠납니다. 그럼 직원은 '아휴 겨우 끝났네. 쓸데없는데 시간낭비나 하고. 쯧쯧' 이러고 다시 현업에 몰두를 하지요.

이런 식으로 부실하게 모아진 프로세스 분석은 사실 실제 업무의 한 절반 정도나 제대로 반영할까요?

3년에 걸쳐서 이런 반쪽짜리 분석 결과 모으는데요. 이 3년동안 제도가 바뀌고, 관련 지침과 규정이 바뀌는 경우도 허다하지만

제대로 반영이 안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리고 컨설팅 회사는 이 결과를 SI에다가 던집니다.

SI는 이걸 하청에 하청에 하청을 주고, 마지막 하청업체는 자신들의 직원과 프리랜서들로 구성된 팀을 짜서 각각 맡은 부분을 개발합니다.

개발과정에는 본사 직원들이 배정되어 감독을 하는데요. 정작 본사 직원들도 가장 말단 업무에서 일어나는 모든 프로세스를 다 알고 있지 못합니다.

큰 틀에서는 보면 대충 맞는 것 같거든요. 그래서 한 1년 동안에 걸쳐 프로토 타입이 만들어집니다.

그러면 본사 임직원들과 다 모아 놓고 시연회를 엽니다. 막상 이렇게 뚜껑을 열어보면 그 결과가 정말 충격과 공포입니다.

본사는 다 뒤집어집니다. '이 개XX들이 뭘 만든거야?' '어떤 XX가 일을 이따구로 가르쳐줬어?'

온갖 험한 소리가 다 나오죠. 그러면 컨설팅 회사 PM은 지난 3년동안 사인받아놓은 프로세스 분석도를 들이밉니다.

(이제 4년이 지났네요) 그 동안 바뀐 내용도 많고, 부실하게 알려준 것도 많은데, 오랜 시간이 지나서 퇴사한 직원도 많고 다른데 발령난 직원도 많고..

아무튼 엉망진창입니다.

진정한 차세대 프로젝트는 지금부터 시작이 됩니다. 고위 임원진과 오너 회장님 모르게 비상 TFT가 꾸려집니다.

그러면 회사 안에서 정말 A부터 Z까지 잘 아는 완전 에이스 중 에이스 들만 차출되어 들어옵니다. 당연 그들이 원래 속해있던 부서에서는 쌍욕을 하며 난리가 납니다.

하지만 어쩔수 없죠. 조 단위가 넘어가는 예산이 들어가는 프로젝트 엎어지면 한두명 모가지 날아가는 걸로는 끝나지 않거든요.

에이스들이 모여서 프로세스 처음부터 다시 검토에 들어갑니다. 그들도 맨날 날밤을 지세웁니다.

프로세스 분석과 시스템 구성 기획과 개발이 동시에 진행이 됩니다.
하청에 하청에 하청 직원들의 이탈이 가속화 되고, 빈 곳은 새로운 프리랜서 개발자들로 채워집니다.
퀄리티 관리는 개나 주고 일단 돌아만 가게 만듭니다.

온갖 쌍욕과 비난과 책임 덮어씌우기가 난무한 가운데 능력있는 PM이라면 정말 미친놈처럼 일정을 맞춰 냅니다.
(제가 본 PM은 정말 존경스러울 정도로 회의 진행과 일정관리를 잘하더군요. 하지만 이 사람은 그 능력에 걸맞게 프로젝트 중간에 더 큰회사로 이직을 해버리더군요;;;)

아무튼 그렇게 일정에 맞춰 개발을 해 내면, 보통 3~6개월 테스트 기간 잡지만 최종 완료는 한달전, 혹은 2주 전에 개발이 완료되고 테스트 기간이 한달에서 2주 밖에 안남게 되는 거죠.

가끔 오너회장님이 '잘되가나?' 물어보면 다들 머리를 조아리며 '아무 이상 없습니다.' 이러고 가니까..

남은 한달동안은 이제 현업에서 뒤집어 집니다. 밤새 테스트를 하고...결국 '핵심 주요 업무 50%까지만 테스트 진행'으로 쇼부를 보고 테스트를 완료합니다.

그리고 보통 한 3, 4일 전에 치명적인 오류가 나타나죠.

그럼 이제 누가 총대를 매느냐로 온갖 정치질을 하다가 결국 한명이 책임을 지고 진실을 보고합니다.

6개월에서 1년의 추가개발을 하기로 하고 SI 업체에서는 기간 연장의 책임이 고객사에 있음을 친절하게 알려주는 공문을 보냅니다.

소송을 거네 마네 또 쌍욕이 오고가다가 대충 금액의 50% 정도로 합의를 보고 추가 개발에 들어갑니다.

완료가 되면 이 결과를 가지고 SI업체는 대단한 레퍼런스로 삼으며 엄청 홍보를 합니다.

고객사도 차마 실패했다는 소리를 못하고 대단히 성공했다고 보도자료를 배포할 수 밖에 없습니다.

사실 이정도면 엄청 양호한게, 롤백 한 고객사도 엄청 많거든요.

물론 성공적으로 런칭을 한다 해도 실제 현업에서는 한 2년간은 기존 시스템과 차세대 시스템을 같이 사용을 합니다.

그러면서 계속해서 테스트에 테스트에 안정화에 안정화 작업을 계속한 끝에 최종 적용을 하죠.

이렇게 해서 도입된 차세대 시스템을 기존 직원들이 어떻게 쓰는지는 앞선 글에 일부 밝힌 바가 있습니다.

아무튼 그래서, 우리은행의 이런 사태는 지극히 당연한 상황이라는 것을 알려드리고 싶네요.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8-02-26 08:17)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26
  • 와 재밌게 읽었습니다


맥주만땅
차세대 시스템 도입한다가 명절에 사람잡은 경우가 생각납니다.
그것도 병원에서.....

잘할 수 있다고 뻥만 치던 PM 때려 죽이고 싶었는데....

이제 포트란도 저물어가는군요.

하기는 10년전에 NONMEM이라는 통계 프로그램을 포트란으로 만들었는데, 코어를 만든 사람이 사망해서 내부적으로 어떻게 돌아가는 지 아는 사람이 없다고 하는 이야기도 들었으니....
기쁨평안
병원도 그렇군요...어딜가나 조선이 조선하나봐요.
혹시 그 b모병원 관련된 사건 말씀이시라면...
그거는 시스템의 문제보다도 유저들에게 교육을 제대로 하지 않은 탓도 있었지요......
유저들에게 교육할만한 거리는 없을 정도로 시스템이 구닥다리기는 했지요......

문제는 무엇이든 할 수 있다고 말해 놓고, 해달라고 하면 않된다고.....

그러면 시스템 안정성이라도 있었어야 했는데, 익스플로러보다 크롬으로 접속하는 것이 더 빠르게 작동했으니....

그리고 시스템이 다운 되거나 롤백에 대비해서 종이차트와 종이처방전 같은 녀석도 준비도 없이...

그 병원 원장 얼굴만 보아도 빡쳐서...
아 말씀 들어보니 제가 생각하는 것과 다른 사건인가봅니다 (...)
무적의청솔모
포트란 아직도 쓰지 않나요? 가끔 보면 포트란 쓴다는 사람들 있긴 하던데..
맥주만땅
공대 연구실에서만 쓸 겁니다.
Azurespace
그 포트란은 저 포트란과 비슷하지만 다른 녀석으로 보시면 됩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도 revise가 되죠.
졸려졸려
언제나 극현실주의 글에 감사드립니다!!!
군대 있을 때 차세대 의료시스템 개발한다면서
실 투입->사용 까지 딱 하루 주더라구요.
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근데 사실상 바뀌는 건 하나도 없고 안좋아지는 건 많고....문제 생기면 고치는 방법을 스스로 알아내야 했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

그렇게 군의관이랑 싸우고 군의관은 군의관 커뮤니티 보면서 남들은 되는데 왜 우리는 안 되냐면서 쪼고....약 코드 집어넣다가 애들끼리 대판 싸우고 엌ㅋㅋㅋㅋㅋ

차라리 병행이 낫지 그냥 다음달부터 바꿈! 이게 더 무서운 것 같아요 크크
T.Robin
혹시 DEMIS? (......)
넹 데미스...정확히는 eDEMIS...
T.Robin
DEMIS 이후 한차례 더 업데이트가 있었나 보군요. 제때는 그냥 DEMIS라고 불렀고, 클라이언트는 Delphi로 만든 프로그램이었습니다.

저는 그거 도입하고 나서 병원에서 하도 말이 많아서 의무사령관이 사무실에 직접 방문하는 상황까지 갔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그 와중에 Borland Delphi란 녀석을 접하게 되고, 이후 본격적으로 각잡고 Windows programming의 세계에 들어서게 되는군요. -_-
네 열심히 만드신 그 프로그램이 노후화됬(...아니 쓸만한데 왜..????)다는 이유로 웹으로 새로 만들었.....

데미스 개발자이셨다니... 제 인생에서 만난 프로그램 중에서 기능이 그렇게 많은데 쓸 만한 게 그렇게 적은 프로그램은 처음이였습니다 ㅋㅋ 설명서도 없고....모든 걸 경험으로 찍어서 알아내던 과거의 제가 떠오르네요 크크
저는 DEMIS 개발자는 아니었고, 초기 도입될때 병으로 근무하다가 건강보험 청구쪽에서 하도 안되는게 많아서 답답한 나머지 아예 시스템을 보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별도로 만들었죠. 과에서 힘좀 써서 포상휴가를 좀 챙겨주더군요. -_-;

기존 DEMIS는 노후화는 둘째치고 유지보수할 개발자를 구하기 힘들겁니다. 지금 국내에 남아있는 Delphi 개발자가 거의 전무하다시피해요. 저도 Delphi나 Object Pascal을 쓸 줄 알지만 안 쓴지 꽤 오래됐습니다. Delphi의 마지막 보루(?)였던 삼성병원도 웹으로 넘어가고 있... 더 보기
저는 DEMIS 개발자는 아니었고, 초기 도입될때 병으로 근무하다가 건강보험 청구쪽에서 하도 안되는게 많아서 답답한 나머지 아예 시스템을 보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별도로 만들었죠. 과에서 힘좀 써서 포상휴가를 좀 챙겨주더군요. -_-;

기존 DEMIS는 노후화는 둘째치고 유지보수할 개발자를 구하기 힘들겁니다. 지금 국내에 남아있는 Delphi 개발자가 거의 전무하다시피해요. 저도 Delphi나 Object Pascal을 쓸 줄 알지만 안 쓴지 꽤 오래됐습니다. Delphi의 마지막 보루(?)였던 삼성병원도 웹으로 넘어가고 있는데요 뭐(지금쯤이면 다 넘어간 것 같기도 하고). 그에 비해서 웹쪽 인력은...... 어...... 차고 넘치죠. 일단 숫자로만 놓고 보면 그렇습니다(먼산).

그리고 Delphi 자체가 그동안 부침이 좀 심했습니다. 한때는 엄청 잘나가던 개발도구였는데, 언제부턴가 말 그대로 상병신이 되었습니다. 지금은 다시 정신을 차리고 뭔가 해보려고 하는 것 같지만, 예전의 영광을 되찾기에는 너무 늦었어요.
2
웹쪽 기반이라고 하니까 예전부터 궁금했는데... 저희는 emr이 xplatform을 쓰더라구요 (db는 오라클 기반이구요)
프로그래밍을 잘 알지 못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언뜻 보기엔 암튼 뭔가 누르면 db를 가져와서 xml 문서를 만들어서 뿌리는 구조인 것 같던데 이게 activex 위에서만 돌아갈 수 있는 건가요~?
T.Robin
짧은 대답: 아뇨. 표준 기술만으로 가능합니다. ActiveX는 불필요합니다

긴 대답: 서버에서 DB 데이터를 추출해서 XML로 만든 뒤에 이걸 그냥 웹페이지로 던지면 웹페이지에서 XML을 받아서 화면에 알맞게 표시해줄 수 있습니다. 단, 너무 예전(예: 2000년대 초반 등)에는 기술부족, 컴퓨팅 파워 부족 또는 당시 표준으로는 관련된 기능을 구현하기 어려운 상황이라 ActiveX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으리라 생각됩니다.
1
아하 그렇군요
제가 원장이라면 activex 버리라고 조져볼 수 있을텐데 아직 그런 레벨이 아니니 그냥 참고 써야...ㅜㅜ
맥주만땅
그 병원은 서울의 모병원 시스템을 그대로 가지고 와서 PowerBulider로 만들고 있는 것입니다.

아직도 explorer에 의존적인 프로그램이니 답이 없죠.
근데 우리 시스템 베껴간 다른 대형 병원이 두 곳이나 있다는게 레알이랍니다 (...)
맥주만땅
먹이 님// 뭐 대형병원 여러곳에서 검증된 시스템이라고 팔아먹죠

소스코드를 제공한다고 하면서
맥주만땅
DEMIS도 생각보다 쓸만했지요.

문제는 DEMIS보다 못한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X같은 병원이 있어서...
T.Robin
아니 DEMIS보다 못한 병원시스템이 있다고요? -_-;
맥주만땅
제가 가는 곳 마다 DEMIS를 Open해서 써 보았는데, DEMIS 나쁘지 않았습니다.

워낙 호구들이 많은 동네라서.....

하청을 얼마나 주었는지 몰라도 나름 대형업체에서 만든 것이기도 하고....
흥미롭네요;
혼돈의카오스
재밌습니다 킄ㅋㅋㅋㅋ 현실적이네요 ㅋㅋㅋ
T.Robin
금융권이나 공공기관 SI가 개판인 이유죠. -_-
하청에 하청에 하청에 하청에......

꼭 우리나라 농산물 유통구조 보는 것 같단 말이죠.
T.Robin
여담입니다만, 월스트리트에서는 포트란을 대체하기 위한 언어로 C나 C++등이 선호되고 있다고 합니다. 개발자가 많은데다가 포트란처럼 사라질 이유도 없고, 속력도 확실하고 하다보니 속력이 필요한 구간, 또는 대규모 연산이 필요한 구간을 중심으로 C/C++을 사용한다네요.

우리나라는...... 아마 곧죽어도 Java죠?
저희는 차세대하면서 계정계는 메인프레임 코볼에서 유닉스 자바로 승인계는 텐덤 C에서 유닉스 C로 변경했습니다.
블레쏨
규모가 작지만 제가 요즘 겪고 있는 일이네요. ㅠㅠ
ㅋㅋ 정확하십니다. 저희가 차세대한지도 벌써 4~5년 가까이 됐네요. 저희는 그래도 연기하지 않고 오픈했습니다. 정말 사람을 갈아갈아 넣었죠.
BPO로 참여한 IT 프로젝트만 5개인데...... 정말 큰 틀에서 보면 제가 겪었던 다섯 번의 일들과 거의 흡사하네요. 원래 다 그런거겠지만 ㅎㅎㅎㅎㅎㅎㅎ
그리고 걍 만드는건 그나마 나은데 구 시스템이 있으면 데이터 마이그레이션과 변화관리라는 최종보스가 기다리고 있습죠.
일본은 코볼, 포트란 대체할 생각 자체를 안 하고 있던데... 할부지들이 계속 코딩하고 계세요...
백의그림자
너무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시스템 이라는게 정말 어려운것같아요 만들고 굴리다보면 너무 거대해지는데 이걸 어떻게 차세대 도입하는게 좋을까요?
아마미아 레이나
그러고보니 하나-외환 통합때 별 삽질을 다하다가 한건 생각보다 잘 한 모양새였군요(....)
제가 예전에 일하던 모 사이트(금융권은 아닙니다)도 제가 퇴사할때즈음 차세대 시스템 도입한다고 예전에 같이 일했던 사수를 PM으로 진행했죠.
금융권은 아니지만 꽤 규모있는 사이트라 2년짜리 계획이였지만 결국 3년가까이 걸려 완성되었다고 들었습니다.
그 안에 있었던 수많은 일력 교체와 믹서로 인력을 갈아넣은걸 옆에서 듣다가 '내가 저기 안간게 천만 다행이군' 이란 생각이 절로 들었죠...(...)
세리엔즈
어엌ㅋㅋㅋㅋㅋㅋ중간중간 저희병원 이야기도 나오고 ㅋㅋㅋㅋㅋㅋ 꿀잼이네요.
지금은 SMIS에서 90% 이상 이행했습니다만 아직 예전의 기능들 중 못 가져온 것들이 남아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
신문안사요
우리은행 5월 전산망 교체 문자 받으니까 이 글이 또 생각나네요 ㅋㅋ
기쁨평안
ㅋㅋㅋㅋ 저도 받았어요
트리플헤더
우리 은행 사고 덕분에 이런 좋은 글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되었네요. SDI를 SDS로만 바꾸면 명문 오브 명문입니다.
배워보자
예전 신한-조흥 통합 차세대 프로젝트에 관여했던 사람입장에서 정말 명문이라 하지 않을 수 없네요. 새삼 그 때의 악몽이 생생히 되살아 나네요 ㅎㅎ. 이런 좋은 글은 금융권 SI 및 솔루션 업체 신규 인력들은 필히 일독해야 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37 IT/컴퓨터LLM에 대한 두서없는 잡썰 (3) 23 덜커덩 25/02/05 1397 23
1426 IT/컴퓨터인공지능 시대,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말빨" 5 T.Robin 25/01/05 1295 8
1258 IT/컴퓨터(장문주의) 전공자로서 보는 ChatGPT에서의 몇 가지 인상깊은 문답들 및 분석 9 듣보잡 22/12/17 4440 19
1242 IT/컴퓨터망사용료 이슈에 대한 드라이한 이야기 20 Leeka 22/09/30 4449 9
1230 IT/컴퓨터가끔 홍차넷을 버벅이게 하는 DoS(서비스 거부 공격) 이야기 36 T.Robin 22/08/08 4429 25
1141 IT/컴퓨터변화무쌍한 웹 기술 역시 톺아보기 - 1 16 nothing 21/11/05 4879 10
1082 IT/컴퓨터우리도 홍차넷에 xss공격을 해보자 19 ikuk 21/04/20 5829 14
1079 IT/컴퓨터<소셜 딜레마>의 주된 주장들 9 호미밭의 파스꾼 21/04/06 5129 13
1056 IT/컴퓨터주인양반 육개장 하나만 시켜주소. 11 Schweigen 21/01/24 6218 40
759 IT/컴퓨터컴퓨터는 메일을 어떻게 주고 받을까? 13 ikuk 19/01/18 8108 17
727 IT/컴퓨터인터넷 뱅킹, 공인인증서를 사용하지 않아도 안전할까? 31 T.Robin 18/11/07 7754 10
692 IT/컴퓨터Gmail 내용으로 구글캘린더 이벤트 자동생성하기 8 CIMPLE 18/09/06 6836 6
593 IT/컴퓨터금융권의 차세대 시스템이 도입되는 과정 41 기쁨평안 18/02/13 10975 26
570 IT/컴퓨터정보 기술의 발달이 지식 근로자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추억 11 기쁨평안 18/01/03 9935 23
568 IT/컴퓨터아마존이 만든 사고를 역이용한 버거킹의 혁신적인 광고 7 Leeka 17/12/29 9710 19
558 IT/컴퓨터'옵션 열기'의 정체 16 Toby 17/12/07 12166 37
529 IT/컴퓨터뱀은 다리를 가지고 있다구 16 Toby 17/10/16 8252 11
520 IT/컴퓨터애플의 새로운 시스템, APFS 이야기 15 Leeka 17/09/28 10119 5
502 IT/컴퓨터컴쫌알이 해드리는 조립컴퓨터 견적(2017. 9월) 25 이슬먹고살죠 17/08/29 9665 23
480 IT/컴퓨터재미로 써보는 웹 보안이야기 - 1 19 Patrick 17/07/25 7227 7
447 IT/컴퓨터탭 내빙(Tabnabbing) 보안 공격 10 Toby 17/06/07 9219 12
374 IT/컴퓨터컴알못의 조립컴퓨터 견적 연대기 (1) 배경지식, 용도결정 편 6 이슬먹고살죠 17/02/23 8889 12
319 IT/컴퓨터회귀신경망으로 만든 챗봇 11 Azurespace 16/12/07 10714 8
297 IT/컴퓨터신경망 학습의 틀을 깨다, DFA 15 Azurespace 16/11/06 10017 10
274 IT/컴퓨터컴퓨터는 어떻게 빠르게 검색을 할까 - 보이어-무어-호스풀 알고리즘 18 April_fool 16/10/04 15008 1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