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7/09/28 23:53:52
Name   Leeka
Subject   애플의 새로운 시스템, APFS 이야기
탐라에는 슬쩍 적었지만

애플은 하이 시에라에서 APFS 라는 파일 시스템을 새롭게 도입했습니다.

윈도우 기준으로 설명하면 FAT32, NTFS 같은 형태를 말하는데요.


기존의 파일 시스템들은 'HDD' 시절을 기반으로 설계했기 때문에
'SSD' 와는 맞지 않는 부분이 꽤 있고..

애플은 SSD에 맞는 시스템을 새롭게 설계해서 이번에 본격적으로 적용을 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덧붙이자면 SSD용 시스템이기 때문에... 'HDD가 설치된 맥' 에는 하이 시에라를 업데이트 해도 적용되지 않습니다. (SSD만 달린 맥에 한해서 적용됨)




1. 파티션 기능 개선


윈도우 기준으로 200GB 하드가 있습니다

파티션 C를 100GB / D를 100GB로 나눕니다.

쓰다보니 C는 95GB를 써서 여유용량이 5GB밖에 없다고 하는데.. D는 30GB밖에 안썼습니다.. 70GB의 여유용량이 있죠..

그럼 이제 과거의 방식에서는 '아 용량 왜 이렇게 나눴을까.. 로 멘탈 한번 흔든뒤에 처치 곤란이 됩니다만'


새로운 애플의 APFS에서는 문제가 없습니다.


애플의 하이 시에라 기준으로 200GB SSD가 있습니다.

파티션 C와 D로 나눕니다.

C에 95GB를 쓰고, D에 30GB를 씁니다.

여유용량은 통합으로 75GB가 남아있습니다.

'그냥 파티션이 구분만되어 있을뿐..  여유용량은 통합으로 적용되며.. 그냥 각 파티션에 저장하는 만큼 파티션이 알아서 늘어나고. 공용 여유공간이 줄어듭니다'



SSD는 물리적인 개념이 아니기 때문에.. 해당 기능을 잘 활용한 파티션 개념이 도입된거죠.





2.  20GB 파일을 복사하는 데도 3초가 안걸리는 시스템.


이건 엄밀히 말하면 '파일을 복사할 때'는 윈도우의 바로가기 처럼 바로가기를 만들지, 이제는 복사를 하지 않습니다.

문서로 예를 들면

ABCDEFG 가 있다면.. 이 문서를 복사했을때.. '기존 방식은 정말 복사를 했지만'
지금 방식은 ABCDEFG가 있는 곳을 가리키는 파일을 하나 더 만들뿐.. 실제 내용을 복사하지 않기 때문에 용량에 관계없이 초고속으로 복사가 되는거죠..


그럼 실제 복사는 언제될까요?

ABCDEFG 파일을 ABCDHHH로 고치게 되면..  그 순간에 'HHH만큼의 공간이 할당되어서 따로 저장됩니다' -.-;
(물론 가능한 파일 구조에 한해서만 그렇고..  부분 저장이 불가능하다면 그 순간에 실제 통 파일 복사를 진행합니다)

즉 같은 내용은 '하나만 저장해서 그냥 같은 곳을 바라보고' // '다른 내용만 별도로 그 순간에 저장해서 가지고 있는다'
'파일을 삭제할때는 혼자 바라보고 있는 부분만 삭제한다' 라는 개념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네요 -.-;



왜 이렇게 만들었느냐.. 라고 하면 꽤 심플한 이유입니다
'SSD는 읽고 쓰기 횟수 제한' 이 있는 매체라서..  최대한 읽고 쓰기를 조금 해서 수명을 늘리려고 만든 기법..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덧붙이자면 HDD와 다르게 '실제 내용이 사방팔방에 있어도' 속도 저하가 없기 때문에 쓸 수 있는 기법이기도 하죠.. (HDD는 흩어져있으면 느려집니다...)






결론.

파일 시스템을 HDD 방식이 아닌 SSD에 최적화된 방식으로 갈아 엎은 애플의 다음 세대 기술.
30년도 더 된 시스템을 통으로 엎은거라 선발대는 부작용 감수해야 되니 도전 정신 없으면 천천히 올리세여(내년 언젠가?)..
통으로 갈아 엎었기 때문에 기존 macOS들 보다 더 내려가기 겁나 힘듬미다....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7-10-09 23:44)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5


    오, 되게 좋네요.
    본문에 언급하신 기능, 하나도 빠짐없이 윈도우에도 하루빨리 적용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二ッキョウ니쿄
    자바 배열같은 기능이네요 신기
    오호...... 일종의 쉘이군요. 실물파일은 가만히 있고 링크만 왔다갔다 하는 ㅋㅋ
    무적의청솔모
    이글 보고 앱스토어 봤는데 찾을 수가 없었습니당. 어디서 찾죠 이거??
    ZFS에 비해 딱히 나은지는 모르겠어요. 왜 굳이 직접 새로운 파일시스템을 만들어야 했을까...? 라는 의문이 들죠. 그냥 호환 안 되게 하려고 한 거 아닌가...

    그리고 SSD에서 파일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어도 속도 저하가 없다는 건 맞는 말이기도 하고 틀린 말이기도 합니다.
    SSD 내부에서 펌웨어가 특정 Physical Address의 Page를 Fetch하는 시간이 차이가 없는거지, 호스트 OS 입장에서 보면 파일을 Flash Page size 단위로 Sequential하게 잘 모았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 속도저하가 꽤... 크게 보일걸요.
    ios - macOS 를 통합하는 독자적인 시스템을 가지고 싶었다.. 가 의도인거 같긴 한데 (향후에도 본인들이 자유롭게 고칠 수 있게)
    April_fool
    (꺼라)위키에 따르면 ZFS를 안 쓰는 이유는 오라클 때문이라 카더라…
    https://namu.wiki/w/APFS
    걍 별거아닌가보다 하고 넘어갔는데 설명 들어보니까 전공자입장에서 저게 좋은건가 싶은...
    moneyghost
    신기하네요. 2번은 처음 듣는데 이게 장점만 있는지, 다른 전문가분들의 견해가 궁금하네요.
    Azurespace
    COW라고 하는데, 사실 전혀 새로울 것이 없는 개념입니다. btrfs나 zfs 등 기존에 존재하던 파일시스템들이 이미 사용하고 있는 방식이고, 단점은 fragmentation이 증가해서 내용의 일부분만 수정되는 경우가 잦은 파일의 경우 읽리 성능 저하로 이어진다는 점, 파일시스템 구현이 복잡하다는 점 정도가 있습니다.
    moneyghost
    그렇지요? 말씀하신 fragmentation 증가가 떠오르더라고요.
    그래서 개념상으로는 파일 종류에 따라 그 기능을 쓰는 경우와, 일부를 수정할때 통으로 분리하는 경우. 2가지를 다 가지고 있고.. 그걸 ?!?! 의 방법으로 OS가 구분해서 처리한다.. 긴 합니다..
    (그걸 보안하기 위해)
    April_fool
    APFS의 기술적인 부분에 대해 더 잘 알고 싶으신 분들은 다음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drmola.com/etc_column/50912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33 기타육아일기 - 아이와 나눈 대화 8 까페레인 16/12/28 6487 5
    409 꿀팁/강좌[사진]주제 부각하기. 15 사슴도치 17/04/10 5926 5
    459 일상/생각급식소 파업과 도시락 3 여름 소나기 후 17/06/30 5237 5
    520 IT/컴퓨터애플의 새로운 시스템, APFS 이야기 15 Leeka 17/09/28 10195 5
    547 여행상해(상하이) 여행기 1 pinetree 17/11/17 6164 5
    672 여행산 속의 꼬마 - 안도라 1 호타루 18/07/29 6395 5
    714 음악 쉬어가는 페이지 - 음악으로 이어 보는 근대 유럽사의 한 장면 호타루 18/10/10 7230 5
    1003 문화/예술한복의 멋, 양복의 스타일 3 아침커피 20/08/30 5221 5
    953 일상/생각한국인이 생각하는 공동체와 영미(英美)인이 생각하는 공동체의 차이점 16 ar15Lover 20/05/01 6335 5
    977 과학사칙연산 아니죠, 이칙연산 맞습니다. (부제: 홍차넷 수학강의 시즌2 프롤로그) 36 캡틴아메리카 20/07/02 6614 5
    1019 꿀팁/강좌[사진]노출차이가 큰 풍경사진 찍기 - GND필터 사용하기 9 사슴도치 20/10/18 4985 5
    1034 의료/건강심리 부검, 자살사망자의 발자취를 따라간 5년간의 기록 4 다군 20/11/28 5233 5
    1048 게임체스 글 5편 - 세기의 게임, 바비 피셔 vs 도널드 번 8 Velma Kelly 21/01/03 5618 5
    1169 의료/건강코로나19 입원-격리자 생활지원 안내 6 dolmusa 22/02/23 3965 5
    1375 창작소수 사막은 얼마나 넓을까? 5 Jargon 24/03/06 2396 5
    1433 체육/스포츠볼링 이야기 20 거소 25/01/19 1116 5
    1452 기타장애학 시리즈 (6) - 청력에 더해 시력까지라고? 1 소요 25/03/30 576 5
    77 경제집은 시장리스크, 전세는 신용리스크 20 MANAGYST 15/09/22 8718 6
    81 역사두 형제 이야기 - 황형의 유산 10 눈시 15/09/30 5658 6
    97 정치/사회비동시성의 동시성과 한국의 페미니즘 40 난커피가더좋아 15/10/31 8695 6
    96 요리/음식토마토는 과일인가? 채소인가? 24 모모스 15/10/21 10810 6
    124 문학발자크와 바느질하는 중국소녀 12 마르코폴로 15/12/03 8858 6
    134 문학비극적 영웅의 조건 7 팟저 15/12/25 7175 6
    139 게임칼바람 노하우 - 강력한 첫 템으로 스노우볼링 9 한아 16/01/09 8866 6
    143 일상/생각추운날 추억 8 nickyo 16/01/19 6562 6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