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7/01/23 22:37:38
Name   레이드
Subject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시 알아두면 좋을 팁.
안녕하세요.  티타임을 살펴보다 문득, 사슴도치님의 고소하면 제가 돈을 받을 수 있나요?라는 글을 보고, 동 주민센터 (혹은 각 면사무소) 방문시 알아두면 좋을 팁을 작성해보면 좋겠다 싶어 이 글을 써봅니다.

1. 등,초본이란? 그리고 발급시 필요한 준비물은?

가장 많은 분들이 주민센터를 방문하시게 되는 이유이자, 가장 많이 떼는 서류중에 하나 입니다. 등본은 현재 세대를 이루고 있는 세대원들의 정보가 나오게 되며 (이름, 주민번호 세대주등등) 초본의 경우 그 세대를 이루고 있는 각 세대원 중 한 명에 대한 전출입 정보가 나오는 서류입니다. 등,초본의 경우 광범위하게 쓰이며 특히 아파트 청약(무주택자 확인 등)의 필수 서류입니다.  
필요한 준비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본인의 등초본을 발급하는 경우

- 신분증만 지참 하시면 됩니다.

②그 이외의 경우

- 본인의 신분증, 대상자의 신분증과 도장이 있으면 됩니다.


사실 초본의 경우 세대원일 경우나 가족관계가 확인될경우에는 본인 신분증으로 확인하여 발급해드릴 수 있으나 제 3자의 신청이나 이해관계인상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프리패스의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수수료는 각 1통당 400원입니다. 


2. 인감이란? 인감증명서 발급시 필요한 준비물은?


인감 : 대조하여 당사자의 동일성이나 진부(眞否)를 확인하기 위하여 미리 관공서 또는 거래처 등에 제출해 두는 특정한 인영 (출처 네이버 사전)


그리고, 이러한 인영을 증명하는 서류가 인감증명서입니다. 대부분의 거래, 중요한 서류 제출시 반드시 필요한 서류입니다. 인감증명서를 발급하시기 위해서는 우선 인감을 등록해두셔야 하는데 이 인감을 등록 및 변경 하는 곳 거주지 주민센터 (등본상 주소지)가 유일합니다. 다른 곳은 안됩니다. 구청도 안되고 시청도 안되고 다른 읍면동 주민센터도 안됩니다.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등본상 읍면동 주민센터입니다. 하지만 인감을 등록하거나 변경하는 것과는 달리 인감증명서를 발급하는 것은 전국 어느 주민센터를 방문하셔도 가능합니다. 

발급에 필요한 준비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본인의 인감증명서를 발급하시는 경우

신분증만 지참 하시면 됩니다.

② 타인의 인감증명서를 발급하시는 경우

본인의 신분증, 대상자의 신분증과 도장이 있으면 됩니다. *단 본인서명사실확인의 경우 대리 발급이 불가능합니다.


인감의 경우 용도에 따라서 일반용 매도용으로 나뉘게 되는데요. 일반용의 경우 매수자의 인적사항이 필요치 않으나, 매도용(주택 혹은 자동차)의 경우 매수자의 인적사항 (이름, 주민번호, 주소)를 알아오셔야 발급이 가능합니다. 부동산이나 자동차를 파시는데 사용하지 않으실 경우는 모두 일반용입니다. 인감의 유효기간은 따로 정해진 것은 없으나 너무 시일이 오래되셨으면 재발급 받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수수료는 각 1통당 600원입니다.


3. 확정일자 


간단하게 표현해서 임차인이 은행이나 혹은 다른 제3자보다 먼저 보증금을 변제받을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직인입니다. 

임대차 보호법에 따라서 운영되는 제도이며 주민센터외에도 등기소에서도 업무를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보통 전입신고 후 바로 진행하시는 경우가 많으며 전입신고, 확정일자, 중도금지급이 완료되면 임대차 보호법의 보호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확정일자에 필요한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오시는 분 신분증, 계약서 원본


확정일자의 경우, 반드시 임차인이 오지 않아도 진행가능하며 임차인의 배우자나 대리인 (보통 공인중개사)이 오셔도 진행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확정일자의 경우 계약서상의 자료를 정확히 입력해드려야 하므로, 계약서를 꼼꼼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계약일자 계약일 임차인 임대인 주소 

확정일자는 계약서 원본상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가능합니다 (수정하였습니다). 잊지마세요. 타 시군구 읍면동에 가셔도 확정일자 받지 못합니다. 

수수료는 한 건당 600원입니다.


4. 전입신고 


전입신고는 거주지를 옮겨 내가 이곳에 살겠다는 걸 밝히는 걸 말합니다. 원칙적으로 이사온 후 14일 이내에 해야 하는 작업입니다. 전입신고 후에는 관할 주민센터가 바뀌게 되므로, 이전 주소지 주민센터에서 인감대장 및 본인에 관한 비밀 서류가 넘어오게 됩니다

전입신고에 필요한 준비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본인이 세대주인 경우 혹은 따로 나와 세대주가 되는 경우

신분증만 지참 하시면 됩니다.

②그 이외의 경우 (세대 편입, 혹은 세대주이외의 분이 신고하시는 경우)

-  본인의 신분증, 대상자의 신분증과 도장이 있으면 됩니다.


전입신고의 경우 신고가 가능한 사람이 따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그 케이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세대주의 위임을 받은 세대주의 배우자 

세대주의 위임을 받은 세대주의 직계혈족(ex 세대주의 성년 자녀)

세대주의 위임을 받은 세대주의 배우자의 직계혈족 (형제자매x)

세대주의 위임을 받은 세대주의 직계혈족의 배우자

기숙사나 여러 사람이 동거하는 숙소의 관리자

기숙사나 여러 사람이 동거하는 숙소의 거주민


 위의 경우에 들어가야만 전입신고가 가능합니다. 잘 알아보시고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전입신고 수수료는 없습니다.


처음엔 가볍게 팁정도로 쓰려고 했는데.. 생각보다 길어졌네요. 아직 쓸 내용이 좀 더 있는데, 너무 길어지면 안될 거 같아서 이만 쓸까합니다. 어깨도 아프구요 ㅎㅎ.. 대체적으로 모든 서류는 본인 신분증과 필요하신 분 신분증 및 도장이 있으면 프리패스로 발급이 가능하다는 점, 그리고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에서만 가능한 업무가 있다는 점을 알아주셨으면 해요 ㅎㅎ


이외에도 궁금하신 게 있다면 덧글 혹은 쪽지로 남겨주시면, 아는대로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7-02-06 09:09)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2
  • 주민센터는 춫천
  • 이런게 꿀팁아니겠습니까 흐흐
  • 꿀팁은 추천! 스크랩해놔야겠네요!
  • 여러분! 공무원을 소중하게 다뤄주세요!
이 게시판에 등록된 레이드님의 최근 게시물


춫천춫천... 제가 이삼년 전에 주민증을 잃어버려서 새로 만들었는데요, 요즘은 지문을 기계에도 인식시켜 전산 등록하더라고요. 근데 제 손가락이 미쳤는지 아무리 해도 인식이 안 됐어요. 난투 끝에 포기하고 주민센터 담당자분이 본인 지문을 찍어서 절차를 끝내 주셨는데 혹시 그것 때문에 문제되는 일이 있을까요..?
레이드
지문관련해서 문제 생기는 경우는 실상 거의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문제라면 무인발급기를 통해서 서류를 떼실 때 지문이 안나오면 발급받기 어렵다 정도에요. 그 외엔 큰 쓰임이 없으니 걱정하지않으셔도 됩니다^^
아 고마워요! :D 주민센터의 그분에게 민폐 안 끼치게 강력범죄만 안 저지르도록 조심하면 될라나요.;;
Dr.Pepper
빠진 내용 살짝 첨부합니다.
저도 자동발급기에 지문이 거의 읽히지 않아서 주민센터를 꽤 방문하게 되어 알게된 내용입니다.
가족관계 증명서는 본인 기준으로 받게되면 자기 직계 부모 및 자신의 부양가족만 나옵니다.
따라서 형제/자매에 대한 내용을 뽑고 싶으면 본인의 부모님 기준으로 뽑아야 나오게 되겠죠.

간혹 헷갈리시는 분들이 계서서 써봤습니다.
요즘 주민센터도 참 좋아져서 어지간한건 본인 신분증 한 장만 있으면 거의 처리되더라구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지리멸렬
전입신고시 원칙적으로 14일 내에 하는게 원칙이라고 알고 있는데, 출근을 하느라 주민센터에 갈 시간이 없습니다.
단순 전입신고는 인터넷으로도 되지만 확정일자까지 받으려면 꼭 주민센터에 방문을 해야 하는걸로 알고 있는데,
14일이 지난 이후에 가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벌금이 있을까요? ㅜㅜ
레이드
전입신고를 단순히 늦게 했다고 해서 과태료가 부과되지는 않습니다. 다만 현재처럼 (1.16~3.24) 주민등록 일제조사 시기일 경우에는 전입신고가 안되어 있을 경우에 거주불명등록 처리가 될 경우가 있습니다. 그 경우에는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되도록이면 빠른 시일이내에 전입신고 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56 꿀팁/강좌고부갈등을 해결해보자 - 희망편 40 기아트윈스 18/07/02 8059 56
655 꿀팁/강좌집단상담, 무엇을 다루며 어떻게 진행되는가 4 아침 18/07/02 6233 14
644 꿀팁/강좌[사진]이미지의 품질 12 사슴도치 18/06/07 7267 10
640 꿀팁/강좌[사진]꿀팁. 내가 써본 보정하기 좋은 어플순위 13 사슴도치 18/05/31 9058 14
496 꿀팁/강좌[사진]하늘 사진을 찍어봅시다. 4 사슴도치 17/08/18 8230 8
492 꿀팁/강좌[커피]모카포트이야기 39 사슴도치 17/08/11 10400 11
443 꿀팁/강좌[사진]을 찍는 자세 20 사슴도치 17/06/02 8935 6
420 꿀팁/강좌[사진]인물 사진의 기초 - '앵글'을 알아봅시다. 14 사슴도치 17/04/26 8671 8
418 꿀팁/강좌[사진]인물 사진의 기초 - '프레이밍'을 알아봅시다. 2 사슴도치 17/04/25 7522 7
413 꿀팁/강좌국립중앙박물관에 가 보세요! 34 열대어 17/04/16 7705 15
410 꿀팁/강좌원룸 구할 때 고려해야 할 것 (#원룸 #부동산 #월세 #자취) 5 이슬먹고살죠 17/04/12 9304 7
409 꿀팁/강좌[사진]주제 부각하기. 15 사슴도치 17/04/10 5893 5
403 꿀팁/강좌움짤을 간편하게 만들고 업로드해보자 (데이터 주의) 6 익금산입 17/04/01 9569 16
367 꿀팁/강좌[사진]판형에 대해 알아봅시다. 30 사슴도치 17/02/16 8353 11
365 꿀팁/강좌[사진]노출의 3요소와 PSAM 27 사슴도치 17/02/15 9574 13
361 꿀팁/강좌사진찍으러 갈까요? 22 사슴도치 17/02/07 8175 25
359 꿀팁/강좌인간의 일 22 moira 17/02/04 8704 16
352 꿀팁/강좌읍,면,동 주민센터 방문시 알아두면 좋을 팁. 6 레이드 17/01/23 7135 12
281 꿀팁/강좌셀카기술학 개론 (1) 19 elanor 16/10/12 9247 7
249 꿀팁/강좌의료 및 의학 관련 질문을 올릴 때 27 리틀미 16/08/11 6870 4
246 꿀팁/강좌조용함의 떠들썩한 효과 26 눈부심 16/08/07 7217 8
204 꿀팁/강좌우리의 뇌에는 청소부가 있어요. 66 눈부심 16/05/12 9156 11
147 꿀팁/강좌로버트 새폴스키 - 스트레스와 인간 16 눈부심 16/01/31 9241 10
141 꿀팁/강좌만장일치의 역설 30 눈부심 16/01/11 9367 11
114 꿀팁/강좌진지한 취미 사진가를 위한 다섯 가지 팁(스크롤 압박!) 43 *alchemist* 15/11/15 10559 14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