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1/12/03 18:59:32
Name   경계인
Subject   서울대병원 응급실에 대한 단상
뉴스에 서울대병원 기사 올리고 나니 옛생각이 납니다.
 
15년전 지방대 사립대학병원에서 인턴한지 얼마 안되어서 주치의 명을 받고 중환자 1분을 서울대병원으로 전원하라는 명을 받고 앰불런스에서 환자 옆에서 킵하고 앰부(ambu)짜면서 4시간을 가게 됩니다. 서울시내가 그렇게 막히는 줄 대전을 벗어나 본적이 없는 저는 몰랐습니다. 결국 4시간 걸려서 서울대병원 응급실에 도착했는데, 당직의사는 환자 못내리게 하면서 연락 받은거 없다고 돌아가라고 생난리를 칩니다. '입원 못해요. 누가 여기로 오라고 했어요. 연락도 안하고 보내는 그런 나쁜 xx들은 대체 어떤 병원이야!' 하면서 발광을 합니다.

맞습니다. 우리병원 주치의는 연락한적이 없습니다. 보호자가 서울대병원 가고 싶다고 하니, 소견서 써주고 조심해서 잘가시라 인턴 하나 붙여준거죠.

당직의사도 이해는 됩니다. 그때나 지금이나 서울대병원 응급실은 전국에서 중환들을 올려보내는 곳이고, 그런 중환들이 입원병실이 없어서 응급실 구석에 자리 날때까지 간이 침대에 2박3일 누워있던 시절이니까요.

보호자는 뭐 잘못이 있겠습니까? 지방대 병원에서 상태가 호전이 안되니 주치의한테  '선생님, 죄송한데 못미더워서가 아니라 혹시 서울대 병원에 가 볼 수 있을까요' 물어보면 환자 상태에 골치아프던 주치의는 기다렸다는 듯이 '아 아쉽네요. 그럼, 저희가 다 (서류만) 준비해 드릴테니 치료 잘 받으세요. 응급실로 가시면 입원할 수 있을거에요' 이렇게 말하니, 보호자는 감사합니다 하면서 짐쌌죠.

여기서 가장 만만한 사람은? 그렇습니다. 앰부짜고 있는 인턴이죠. 철저히 제 앞에서 모욕을 줍니다. 네가 의사 맞냐고 이야기좀 해보라고, 진단명은 뭐고 무슨 치료 했었냐고 제대로 인계하라며 저를 조집니다.(알턱이 없죠.)...그 당직의사는 철저히 저에게 화살을 돌리지만,

저는 모르쇠로 일관하고, 환자 옆에서 끝까지 앰부만 짜고 있었습니다. 느낌이 왔거든요. 괜히 말섞었다가 싸움 길어지면 혹시나 삔또상한 보호자가 다시 대전으로 돌아갈지도 모른다. 그럼 이 환자 상태는 호전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상황을 끝낸건 잠시 후 보호자가 당직의사에게 사정사정 하면서 부탁하고, 간이침대에서 기다리더라도 절대로 병원에 컴플레인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당직의사가 받아낸 후 였습니다.

돌아오는 차안에서 아무렇지 않은 척 했지만. 되게 속상했습니다.

'그래 나 서울대도 못가고, 서울대병원도 못들어가고 환자 치료 뭐했는지도 모르는 못난 의사다. 

그래도 그냥 환자는 좀 받아주면 안되나. 당신네 믿고 간건데, 뭐 그리 대단한 권력이라고....'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1-12-14 09:32)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4
  • 저런저런..


맥주만땅
그 당시는 교통사고 환자는 입구컷 하던 시절이라서
15년 전이면 수용 능력 사전 확인이 법제화되기 이전이네요. 하긴 그 시절이니 사설 이송단에서 인턴샘한테 암부를 4시간이나 잡으라고 했을 것 같읍니다.
뉴게에도 적었지만 그냥 들어가면 좋은 소리 절대 못 듣지요. 그래도 인턴한테 뭐라 하는 건 좀 그렇네요. 여기서 잘못한 건 생각 없이 환자 쏴버린 주치의인데...
걍 어떻게든 밀어넣으면 되겠지 하는 착각과 응급실을 입원 창구로 생각하는 잘못된 인식이 지속되면 이런 에피소드는 계속될 겁니다. 지금도 빈도만 낮아졌을 뿐이지 계속되고 있기도 하고...
그리고 수용 능력이 안 되면 안 받는 편이 무리하게 받아서 병원 복도에 방치되는 것 보다 환자나 보호자에게도 더 좋읍니다...
경계인
서로 보는 위치가 달라서 그런것 같아요. 위치가 다르면 보이는 것도 달라지겠지요.

이 글도 그렇고, 뉴게에 올린 것도 마찬가지로 당시 제 경험을 바탕으로, 제 입장에서 글을 썼습니다. 댓글 다시는 분들도 각자 자신들의 경험을 기반으로 댓글 다시는 것이지요. 저는 외부인의 시각에서 본것이고, 아마도 내부에서 보신 분들은 다른 모습이 보이겠지요. 이제와서 제가 그날 누가 잘했고, 누가 못했고를 말하려는 것이 아니고, 그냥 저의 과거 감정의 응어리를 저 사건에 묻혀서 뱉어낸 것 같습니다.

(저 서울대병원 엄청 좋아합니다. 나중에 기부할 정도로 돈 많이 벌면, 모교병원 보다는 서울대병원에 기부하고 싶어요ㅎㅎ)
1
아무래도 제가 '응급실의 입원창구화'와 '응급실의 짬통화'를 너무나도 질색하고 그걸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1인이라 더 그렇게 봤던 것 같읍니다
근데 업계인의 시선으로 봐도 보호자와 인턴에게 설명은 고사하고 감정을 배설하는 건 그냥 화풀이(?)라고 밖에 보이긴 합니다... 그건 누가 봐도 뇌절이지요. 인턴샘은 걍 지시 받아서 간 거고, 보호자가 그렇게 가겠다고 해도 주치의라면 만류하면서 절차를 밟도록 안내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
보낸 사람은 의사가 아니고 받은 사람은 인간이 아닌듯.

오늘 치킨은 먼저 희생된 수많은 인턴들을 기리며 뜯도록 하겠습니다.
2
바라스비다히
어우 요샌 어레인지 없이 그렇게 던지면 큰일납니다만 그때 그시절에는 까라면 까야했으니까요....대전 사립이둘 중 하나였을텐데 아무튼 고생 많으셨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54 일상/생각구박이는 2021년에 무엇을 어떻게 먹었나 62 구박이 21/12/23 5549 71
1153 일상/생각도어락을 고친 것은 화성학과 치과보철학이었다 3 Merrlen 21/12/15 4725 31
1152 일상/생각헌혈하는 것의 의미 9 샨르우르파 21/12/14 4238 24
1151 음악2021 걸그룹 36 헬리제의우울 21/12/13 7167 58
1150 일상/생각벨기에 맥주 오프모임에 참석하지 못해서 하는 벨기에 맥주 셀프시음회(어?) 10 세리엔즈 21/12/08 4496 22
1149 정치/사회노인 자살률은 누가 감소시켰나 10 구밀복검 21/12/06 5442 32
1148 기타서울대병원 응급실에 대한 단상 6 경계인 21/12/03 5362 14
1147 일상/생각둘째를 낳았습니다. 15 고양이카페 21/11/29 4824 32
1146 기타쓸까말까 고민하다 쓰는 육아템 3 33 엄마곰도 귀엽다 21/11/23 5762 25
1145 문화/예술회사 식당에서 만난 박수근 12 순수한글닉 21/11/19 6626 46
1144 일상/생각어느 유서깊은 양반가문 이야기. 18 Regenbogen 21/11/16 5878 35
1143 정치/사회개인적인 투자 원칙 방법론 공유 16 Profit 21/11/09 6282 15
1142 경제최순실로 인해 불거진 ODA 문제는 해결되었는가 6 정중아 21/11/08 5121 17
1141 IT/컴퓨터변화무쌍한 웹 기술 역시 톺아보기 - 1 16 nothing 21/11/05 4929 10
1140 창작개통령 1화 47 흑마법사 21/11/02 7653 27
1139 정치/사회검단신도시 장릉아파트에 대한 법개정을 추적해 봤습니다. 15 Picard 21/10/28 5499 8
1138 정치/사회다시 보는 사법농단 8 과학상자 21/10/19 4778 19
1137 일상/생각마치츄카町中華 6 向日葵 21/10/18 5642 39
1136 꿀팁/강좌여자 생활한복 경험담+코디팁+쇼핑추천(부제:남편이여 선물하라) 38 흑마법사 21/10/12 9022 27
1135 일상/생각약간의 일탈과 음주 이야기 3 머랭 21/10/11 4497 19
1134 정치/사회IT 중소기업을 선택할 그리고 선택한 이들을 위한 -틀-의 조언 14 아재 21/10/07 6776 23
1133 정치/사회청소년, 정체성의 발전, 인종관계 15 소요 21/10/03 4860 30
1132 정치/사회산재 발생시 처벌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 3 Picard 21/09/30 4397 25
1131 여행[스압/사진多]추석 제주 여행기 20 나단 21/09/27 4693 25
1130 일상/생각합리적인 약자 9 거소 21/09/19 5761 32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