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1/01/24 00:05:02
Name   Schweigen
Subject   주인양반 육개장 하나만 시켜주소.
퇴근 전 객실에서 콜을 받은 직원이 손님과 한참을 이야기 하더군요. 때마침 다른 손님들이 들어와 제가 대신 전화를 넘겨 받았습니다.

주인 양반 여 육개장 하나만 시켜주소. 내 저녁을 못 먹어서 그러오. 컴퓨터를(배달어플) 할 줄 몰라 그러니 부탁 좀 합시다.

저녁 늦은참 백살이 성성한 할아버지 한분이 투숙을 하셨어요. 무슨 사정인지는 모르나 일행도 없이 혼자 오셨더라구요. 근처 중국집이나 식당들은 문 닫은 뒤라 주문을 하려면 어플로 해야하는데 어려움이 있으셨던거죠. 금액 때문에 한그릇은 안되는지라 두 그릇 시켜 직원한테 한그릇 니 해라 하고 한그릇은 손님께 가져다 드리고 한그릇 값만 받으라 했습니다.

세상은 분명 빠르고 편해졌는데 누군가에게는 어렵고 불편해지기도 한다지요. 만역히 이야기를 듣는것과 경험하는 건 꽤 다르드라구요. 그냥 육개장 한그릇 먹는게 어떤이에겐 너무 높은 허들이 되버린 세상이 참 아이러니...

그 할아버님이 세상을 따라잡기 버거운것이 온전히 그분탓인것만은 아닐겁니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또 우리는 뒤쳐진 사람들을 뒤떨어진 사람이라 짜증을 내거나 비난을 하거나 혹은 아예 무관심하곤 하죠. 솔까 저도 그런 사람들 중 하나였구요.

얼마전이었을거에요. 점심께 은행에 일보러 갔다 대기표를 뽑고 기다리는데 할머님 한분이 창구에 앉아 직원과 한참을 실랑이 하시더라구요. 그리 어려운 내용은 아니었고 몇가지 서류와 개인정보 활용 동의에 대해 몇번씩 되묻고 되묻고 설명하고 설명하고... 그러다 원점으로 되돌아가고. 창구 중 몇은 비어 있던터라 대기는 점점 늘어 났고 여기저기 불만이 터지기 시작했고 저도 표현은 안했지만 슬슬 짜증이 났습니다. 때마침 식사를 마친 다른 창구직원들이 합류하면서 병목은 풀렸습니다. 근데... 그게 저나 여러분들에겐 그리 어렵지 않은 내용들이었지만 할머님에겐 아니었겠죠.

노인네들 따라가려는 노력은 안하고 나는 그런거 모른다 핑계만 댄다 쉽게들 얘기해요. 저도 아니라고는 못하겠네요. 근데 저도 어느면에선 육개장 한그릇 주문하기 어려워 했던 할아버지나 은행업무에 낯설어 하시던 할머니랑 다를게 없더라구요. 어느 누군가에게 저는 세상 못따라가는 꼰대노땅일테고요.

긍까... 가끔 뒤도 돌아 보게요. 거기도 사람 있으니께요.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1-02-08 00:46)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40
  • 춫천


lonely INTJ
저도 가끔 이런 걱정합니다.세상은 휙휙 바뀌는데 내가 거기에 계속 따라갈수있을랑가...
그게 돈이되었든 문화가되었든, 정서가되었든 기술이 되었든...메이저에서 마이너로, 가운데에서 가장자리로...
소원의항구
키오스크 같은 것도... 사실 엄청 불편하죠.
메뉴 구성이나 버튼 배치도 진짜 아무렇게나 만들어놓고..

인력 줄여버리고..
Cascade
어르신 도우미용 AI 앱 만드는 회사 없나...
1
2018년에 버거킹에서 키오스크 도입하고 아예 대인 접객 주문은 안 받는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을 본 적이 있었는데(키오스크 주문이 막히면, 직원이 도와주기는 하지만) 이런저런 생각이 많이 들더라구요. 카드 결제나, XX페이류도 그렇고, 나이 든 사람이나 경제 취약계층에게는 곤란한 것들이 많죠. 카드나 통신사 할인, 앱 할인 같은 것들도 할인 적용 전의 물건/서비스 가격 자체는 올려놓는 효과도 있어서, 카드 안 쓰거나, 그런 것 못 찾아 쓰는 사람들은 역차별을 받는 느낌도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특유의 쏠림 현상 덕분인지, 카드 결제 비율도 급격히 절대적이 되었고, 페이류도 몇 년 사이 급속히 일상... 더 보기
2018년에 버거킹에서 키오스크 도입하고 아예 대인 접객 주문은 안 받는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을 본 적이 있었는데(키오스크 주문이 막히면, 직원이 도와주기는 하지만) 이런저런 생각이 많이 들더라구요. 카드 결제나, XX페이류도 그렇고, 나이 든 사람이나 경제 취약계층에게는 곤란한 것들이 많죠. 카드나 통신사 할인, 앱 할인 같은 것들도 할인 적용 전의 물건/서비스 가격 자체는 올려놓는 효과도 있어서, 카드 안 쓰거나, 그런 것 못 찾아 쓰는 사람들은 역차별을 받는 느낌도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특유의 쏠림 현상 덕분인지, 카드 결제 비율도 급격히 절대적이 되었고, 페이류도 몇 년 사이 급속히 일상적으로 쓰고 있는데, 이런 데 소외되는 계층도 항상 잊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디지털 소외 中노인들' 현금 내려다 거절당한 뒤 망연자실
https://www.yna.co.kr/view/AKR20201125082100083
1
심해냉장고
재목 맨 뒤에 잉, 붙었으면 더 좋아했으려나 싶다가 이대로도 너무 좋아서 더 좋을 게 있나 싶다가
1
전투용밀감
30년 뒤에는 저희들이 새로운 시스템 사용 못해서 허둥지둥하고 있을 것 같아요

"에고, 이 할미는 뇌파인식 몬하겠다.... 터치 스크린 갖다줘~"
저도 그런 생각 자주 해요. 전 이번 달에야 처음으로 배달앱이란 거 사용에 성공했어요. 예전에 홍차넷 번개에 한 번 나갔는데 참석자들이 집에 가는 길에 다 스마트폰으로 송금을 하더라고요. 전 당연히 PC 앞에 앉아야 할 수 있는 거라 생각했는데... 그래서 토스란 앱을 배웠습니다. 신입사원 때 파워포인트나 엑셀 때문에 일할 때마다 불러서 부탁하시던 관리직 분들 어느 정도 맘 속으로 무시하던 마음이 있었는데, 이제 제가 젊은 동료분들께 그러고 있네요. 그것도 어려워지면 은퇴해야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언젠가는 주민센터 같은데 스마트폰 기능이나 앱 사용에 막힌 사람이 찾아가면 이용법 알려주는 IT 복지상담사가 한 명 생기면 좋으려나 하는 생각도 들어요...;;
1
파란아게하
이거 저도 절감함요
점점 더 심해지는 거 같아요
조지 포먼
늙어갈수록 행동과 공부의 원천인 기력은 떨어지죠
어느 노인분은 끊임없이 공부하고 시대를 따라가는 노력의 분투를 한다면 다른 노인분은 그냥 성질만 내고 시대가 나한테 맞춰야지 하는데 솔직히 둘 다 이해는 가지만 전자처럼 늙어가는게 바람직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라키다
마음이 안 좋아요 그리고 불안해요 세상은 점점 더 편해진다는데 왜 저는 점점 더 어렵고 무서워지는 걸까요
정부에서도 문제를 인식하여 2020년에 '디지털 포용 추진계획' 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https://news.kbs.co.kr/mobile/news/view.do?ncd=4476419

지역사회 커뮤니티에서 디지털 역량 교육, 키오스크의 접근성 보장 범위 단계적 의무화 등이 포함되어 있는데 노인이나 장애인 등 디지털 소외계층에 대한 개선 및 지원정책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는 시기인 것 같아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79 IT/컴퓨터<소셜 딜레마>의 주된 주장들 9 호미밭의 파스꾼 21/04/06 5229 13
1078 게임스타여캠) 안시성 14 알료사 21/04/05 5922 12
1077 철학/종교사는 게 x같을 때 떠올려보면 좋은 말들 34 기아트윈스 21/04/02 8488 31
1076 역사왜 멕시코는 북아메리카에 속하는가? 19 아침커피 21/03/31 6419 11
1075 일상/생각200만원으로 완성한 원룸 셀프인테리어 후기. 30 유키노처럼 21/03/28 5587 50
1074 여행[사진多]한나절 벚꽃 여행기 8 나단 21/03/27 4490 18
1073 일상/생각그냥 아이 키우는 얘기. 5 늘쩡 21/03/25 4557 19
1072 기타그럼에도 사랑하는 너에게. 9 쉬군 21/03/22 4850 34
1071 정치/사회우간다의 동성애에 대한 인식과 난민사유, 그리고 알려는 노력. 19 주식하는 제로스 21/03/17 5719 32
1070 일상/생각대학원생으로서의 나, 현대의 사제로서의 나 5 샨르우르파 21/03/15 4966 17
1069 정치/사회미래 우리나라의 정치지형에 대한 4개의 가설 27 이그나티우스 21/03/14 5522 17
1068 일상/생각제조업(일부)에서의 여성차별 71 Picard 21/03/12 7731 16
1067 요리/음식중년 아저씨의 베이킹 도전기. 27 쉬군 21/03/08 5095 29
1066 일상/생각소설 - 우렁각시 18 아침커피 21/03/07 5124 13
1065 정치/사회수준이하 언론에 지친 분들을 위해 추천하는 대안언론들 20 샨르우르파 21/03/03 8562 24
1064 문학지난 두달동안 읽은 책들 간단리뷰 5 샨르우르파 21/02/28 5764 22
1063 일상/생각30평대 아파트 셀프 인테리어 후기 28 녹차김밥 21/02/22 7511 31
1062 정치/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10) - 성노동에는 기쁨이 없는가? 35 소요 21/02/21 6007 18
1061 정치/사회일용근로자 월가동일수 기준 축소에 반대한다 7 주식하는 제로스 21/02/16 5316 19
1060 여행1박 2일 서울 방문 단상. 17 whenyouinRome... 21/02/12 5093 16
1059 일상/생각나도 누군가에겐 금수저였구나 15 私律 21/02/06 7304 72
1058 문학오늘부터 5월까지 덕수궁미술관에서는 20 순수한글닉 21/02/04 5394 24
1057 일상/생각Github Codespaces의 등장. 그리고 클라우드 개발 관련 잡담. 18 ikuk 21/01/26 6049 20
1056 IT/컴퓨터주인양반 육개장 하나만 시켜주소. 11 Schweigen 21/01/24 6324 40
1055 게임랑그릿사와 20세기 SRPG적 인생 14 심해냉장고 21/01/23 6234 34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