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0/04/13 09:00:53
Name   원영사랑
Subject   연차 질문입니다.
연차가 1년에 15개 발생하고 2년에 1개씩 늘어난다던데
1년차 입사자의 경우 연차 15개 + 11개가 더 주어져서 저희 회사 같은 경우는 신입사원이 오히려 특혜를 받는다고 26개의 연차수당은 못 받게하고
1년차의 경우 11개는 필히 다 소진하고 15개의 연차수당만 받게끔 하더라구요.

그래서 저는 11개 다 소진하고 15개의 연차수당만 받았는데, 이거 불법이라서 억울해서가 아니라 이렇게 되면 오래 일한 직원보다 1년차 직원이 유리한 방향 같은데, 왜 1년차 직원에게 총 26개의 연차가 지급되는 법률이 생겼는지 궁금하네요.



0


다람쥐
[ 1년차 입사자의 경우 연차 15개 + 11개가 더 주어져서 ]
법이 그런게 아니고 그 회사 규정이 그런겁니다
법은 1년차까지는 1개월 근무시 1개월 유급휴가 지급이에요
그 회사는 신입에게 연차를 잘 쳐주는 내부 취업규정을 가지고 있군요....!!!!
1
다람쥐
아 예전에는 근로기준법 상 신입의 경우 연초 입사자와 연말 입사자 사이에 연차산정이 불합리한 점이 있어서 법 개정이 되긴 했어요
근데 말씀하신 건 법적으로 정해진 부분은 아니에요 ㅎㅎ

제60조(연차 유급휴가) 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개정 2012. 2. 1.>
②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개정 2012. 2. 1.&... 더 보기
아 예전에는 근로기준법 상 신입의 경우 연초 입사자와 연말 입사자 사이에 연차산정이 불합리한 점이 있어서 법 개정이 되긴 했어요
근데 말씀하신 건 법적으로 정해진 부분은 아니에요 ㅎㅎ

제60조(연차 유급휴가) 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개정 2012. 2. 1.>
②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개정 2012. 2. 1.>
③ 삭제 <2017. 11. 28.>

이 삭제된 3항은 원래는 이랬습니다
③ 사용자는 근로자의 최초 1년 간의 근로에 대하여 유급휴가를 주는 경우에는 제2항에 따른 휴가를 포함하여 15일로 하고, 근로자가 제2항에 따른 휴가를 이미 사용한 경우에는 그 사용한 휴가 일수를 15일에서 뺀다.

그러니까 예전 기준으론 2019년 1월 입사자와 2019년 12월 입사자는 모두 동등하게 입사일부터 2020년 12월까지 다 합쳐서 15일을 받은거에요 차이가 너무 심하잖아여
그래서 3항이 삭제됐습니다
그러므로 현재 법률에 따르면 입사 첫 해에는 한달 만근시 한 개의 연차가 발생하고
입사 다음 년도부터 15개가 나옵니다앙

그래서 선생님 회사에서 1년차에게 11개+15개를 주는건 근기법 이상으로 연차를 많이 주는 것이라고 판단되고, 내부 규정이 그런 것이라고 보이네요 ㅎㅎ
원영사랑
아 이해가 쏙 되네요. 원래 15개의 연차 못 받아도 되는건데 규정이 유리해서 더 받게된거네요. ㅎㅎㅎㅎㅎ
1년차 미만은 1달 만근 = 1개가 생깁니다.
입사하자마자 15개가 생기지 않습니다. 연차 0개부터 시작합니다.

1년이 지나야 15개부터 출발합니다.

회사 규정이 신입 직원들에게 좋게 되어 있을 뿐, 실제 연차규정은 저렇지 않습니다.
1
원영사랑
감사합니다. 이해가 됐어요.
ebling mis
덧붙여서, 올해 지급받는 연차는 작년의 근로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올해 언제 퇴사하든 모든 연차를 다 소진하는 것은 전혀 문제없고, 소진하지 않고 퇴사하는 경우에도 남은 연차에 대한 연차수당을 다 받을 수 있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384 법률시급 7천원 받는 편의점 알바도 세금 때나요?? 7 [익명] 20/05/12 6292 0
9381 법률인터넷에서 본 짤인데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4 [익명] 20/05/12 2953 0
9376 법률채무가 있는 상태에서 연금 분할하고 이혼하면 압류가 어디까지 들어오나요? 1 [익명] 20/05/11 3178 0
9371 법률근로소득자가 소액의 3.3프로 개인소득(사업소득?)이 생기면 11 공기반술이반 20/05/11 5925 0
9341 법률편의점 근무 중 폭행을 당했습니다. 2 [익명] 20/05/05 3689 0
9340 법률민방위 4년차인데 군복 버려도 될까요? 11 [익명] 20/05/05 8614 0
9309 법률사람 습격하는 개 어떻게 처리할 수 있나요 10 [익명] 20/05/01 3251 0
9263 법률현직 교통사고 피해자입니다. 6 [익명] 20/04/23 3496 0
9261 법률허위사실에 관해서 문의있습니다 2 [익명] 20/04/23 2866 0
9253 법률교통사고를 당했는데 경황이 없습니다 5 [익명] 20/04/23 3247 0
9252 법률고 노무현 대통령의 자살과 그 후에 대해서 17 [익명] 20/04/22 3886 0
9206 법률아파트 증축 리모델링 조합설립 결의서가 날아왔는데요. 9 원영사랑 20/04/17 4875 0
9201 법률검찰개혁에 대해 쉽게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6 [익명] 20/04/17 3279 0
9171 법률연차 질문입니다. 6 원영사랑 20/04/13 4732 0
9157 법률큰 병원이나 회사에서는 human error를 어떻게 처리하나요? 7 불타는밀밭 20/04/10 4053 0
9111 법률차량 구매로 이모 두분에게 돈을 빌릴 예정인데 세금문제가 있을까요?? 6 [익명] 20/04/03 3293 0
9109 법률소년법, 그리고 엄벌주의 16 [익명] 20/04/02 3118 0
9099 법률전세 만기 전 이사하려는 임대인의 중개수수료 질문입니다. 3 [익명] 20/04/01 3123 0
9071 법률n번방(이나 유사한 방들) 사건과 관련한 궁금한 점 12 [익명] 20/03/29 4962 0
9067 법률아파트 재건축 입주권과 추후 상속 문제 6 [익명] 20/03/27 4003 0
9035 법률n번방 사건 피의자의 공개소환 요구에 관한 질문 1 [익명] 20/03/21 3138 0
8960 법률제가 친구한테 서운하다고 했는데요. 33 원영사랑 20/03/12 3084 0
8950 법률이번 투표 어떻게 해야 하나요? 5 불타는밀밭 20/03/11 3454 0
8913 법률영미법 잘 아시는 분께 질문 14 먹이 20/03/06 4312 0
8869 법률월세 - 묵시적갱신 이후 임대인의 이사 요청, 대처법? 4 데이비드권 20/02/27 4993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