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9/01/04 21:39:59 |
Name | 하나 |
Subject | 3달후 아파트 전매가 풀리는데 팔까요 말까요 |
아파트 분양가 옵션포함 약 5억 3500, 중도금 약 3억 1500 대출 승인 난 상태이고 잔금은 어찌저찌 치룰 수 있습니다 현재 부채는 중도금 3억 1500+ 신용대출 4000(계약금;;)이며 잔금치룰 쯤에 신용대출은 갚을듯 하고 중도금은 주담대로 돌려야할듯합니다. 20년 만기상환으로 보니 대충 이자가 1억 5천에 월200을 갚아나가야하는데 올해 3월에 아이가 태어나서 자금이 정말 빠듯해질듯 합니다 아직 전매제한시기라 시세는 정확히 나오지 않았지만 바로 옆 신축아파트 상황과 귀동냥을 통했을 때 기대되는 시세 차익은 1억 2~3천(아마도 양도세 매도자부담)인듯 합니다. 만약 들고가면서 등기까지 치면 현재 옆 아파트 시세가 7억 후반대이므로 전매보다는 기대수익이 높으나 제가 알기로 제가 사는 지역이 등기친 물건 매매할때는 세금이 매수자부담분위기라 수중에 남는건 또이또이할듯 합니다.. 이 상황에서 전매 풀리고 적절한 시기에 팔아 치우는게 나을지 길게 가면서 20년 살 생각으로 존버하는게 나을지;; 고수님들 의견좀 부탁드립니다 ㅠㅠ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하나님의 최근 게시물 |
수도권이 아닌 광역시는 10년뒤를 예측하기도 만만치 않고 세대수가 적으면 확실히 가격은 덜 오르죠
이자를 버틸 수만 있우면 버티면서 가는 것이 최선인데 어차피 향 후 4년은 집값이 많이 오를 것 같지는 않기는 합니다
이자를 버틸 수만 있우면 버티면서 가는 것이 최선인데 어차피 향 후 4년은 집값이 많이 오를 것 같지는 않기는 합니다
https://best79.com/loan/1/300000000/4/240
여기서 3억 4%놓고 20년 원리금균등상환하니까 181만원정도 나오네요.ㅠ
생각해보니 전세로 살아도 이자 빠져나가는 돈은 있군요.. 생각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여기서 3억 4%놓고 20년 원리금균등상환하니까 181만원정도 나오네요.ㅠ
생각해보니 전세로 살아도 이자 빠져나가는 돈은 있군요.. 생각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원리금 균등상환이니까 대략 반은 원금을 갚는거죠.. 나머지가 이자로 나가는거고.. 이자자체는 크기 않습니다.. 원금을 갚는건 그냥 저축이라고 생각하시구요.
신축아파트는 입주때 대출이 집단대출로 보통 이루어집니다. 현재 기준으로 대단지의 경우 2.6-7%까지도 떨어집니다. 맥시멈 3-3.1정도로 계산해보시고 다시 고려해보시는것을 추천합니다.
그리고 보통 집단대출의 경우 5년고정 이후 변동금리로 변경되는 상품이 대부분이고 35년만기로 많이 진행합니다. 기간을 줄이기도 하지만 보통은 고정금리가 끝나는 5년마다 은행들이 새 상품을 내놓기 때문에 다들 ‘갈아타기’를 많이 하구여.
그리고 입주시점 근처에는 매물이 많아서 실제 매매가 이루어지기도 어렵고 금액도 생각하시는 금액보다 조금 낮춰야... 더 보기
그리고 보통 집단대출의 경우 5년고정 이후 변동금리로 변경되는 상품이 대부분이고 35년만기로 많이 진행합니다. 기간을 줄이기도 하지만 보통은 고정금리가 끝나는 5년마다 은행들이 새 상품을 내놓기 때문에 다들 ‘갈아타기’를 많이 하구여.
그리고 입주시점 근처에는 매물이 많아서 실제 매매가 이루어지기도 어렵고 금액도 생각하시는 금액보다 조금 낮춰야... 더 보기
신축아파트는 입주때 대출이 집단대출로 보통 이루어집니다. 현재 기준으로 대단지의 경우 2.6-7%까지도 떨어집니다. 맥시멈 3-3.1정도로 계산해보시고 다시 고려해보시는것을 추천합니다.
그리고 보통 집단대출의 경우 5년고정 이후 변동금리로 변경되는 상품이 대부분이고 35년만기로 많이 진행합니다. 기간을 줄이기도 하지만 보통은 고정금리가 끝나는 5년마다 은행들이 새 상품을 내놓기 때문에 다들 ‘갈아타기’를 많이 하구여.
그리고 입주시점 근처에는 매물이 많아서 실제 매매가 이루어지기도 어렵고 금액도 생각하시는 금액보다 조금 낮춰야 매도가 가능할 수 있습니다.
광역시권은 장기로 봤을땐 우상향이겠지만 그것이 물가상승이나 기회비용을 생각했을때 그게 반드시 이익이라는 보증이 없어서 뭐라 말씀드리기가 애매합니다.
제 개인적으론 양도세나 기타 부담이 가장 적을 때인 전매 풀리고 입주가 1년정도 남았을 때 매도가 가능하다면 그때 매도하시고 그게 아니라면 길게보고 가시는게 맞지않나합니다. 실거주 좀 하시다가 다른 좋은 기회가 있다면 갈아타는 것도 크게 나쁘진 않을 것 같구요
그리고 보통 집단대출의 경우 5년고정 이후 변동금리로 변경되는 상품이 대부분이고 35년만기로 많이 진행합니다. 기간을 줄이기도 하지만 보통은 고정금리가 끝나는 5년마다 은행들이 새 상품을 내놓기 때문에 다들 ‘갈아타기’를 많이 하구여.
그리고 입주시점 근처에는 매물이 많아서 실제 매매가 이루어지기도 어렵고 금액도 생각하시는 금액보다 조금 낮춰야 매도가 가능할 수 있습니다.
광역시권은 장기로 봤을땐 우상향이겠지만 그것이 물가상승이나 기회비용을 생각했을때 그게 반드시 이익이라는 보증이 없어서 뭐라 말씀드리기가 애매합니다.
제 개인적으론 양도세나 기타 부담이 가장 적을 때인 전매 풀리고 입주가 1년정도 남았을 때 매도가 가능하다면 그때 매도하시고 그게 아니라면 길게보고 가시는게 맞지않나합니다. 실거주 좀 하시다가 다른 좋은 기회가 있다면 갈아타는 것도 크게 나쁘진 않을 것 같구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