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8/09/13 10:16:30
Name   Danial Plainview
Subject   회사 선택의 기준이 어떠셨나요?
이제 공채시즌이 되다 보니 회사를 고르는 데 생각이 많아집니다.

보통 이런 문제는 일단 합격한 기업 중에 고민하기 마련인데 현재는 그룹 내 계열사 중 하나만 써야 하는 상황이라 고민이 빠르게 왔습니다.

고민하고 있는 기업은 삼성전자 DS부문과 CE/IM부문인데 (세부직렬은 생략)

삼성전자DS
-연봉 높음(PSPI 높음)
-기업 분위기 합리적
-현재 유망산업을 넘어 기간산업, 규모도 커지는 편
-다만 일에 큰 보람은 없고 공장의 부품으로서 일한다는 생각이 큼

삼성전자CE/IM
-연봉 보통, 하지만 10년 정도 근무 이후 해외로 나갈 수 있는 기회 많음
-기업 분위기 합리적
-현재 산업 분위기는 좋지 않지만, 주로 완제품에 대한 품질문의를 대처하는 직무
-DS에 비해 일이 재미있을 것 같음.

입니다. 사실 차이나는 점은 DS부문이 유망산업이고, 연봉도 많이 주는데, 일이 재미없어 보인다가 크고, CE/IM은 최근 인기도 많이 떨어진 추세지만 그래도 일이 재미있어 보이고, 나중에 그런 연봉차이를 메꿀 만한 기회가 있어 보인다는 것도 매력적이네요. 합격가능성은 크게 차이가 없을 것 같고요.

이런 건 결국 제가 내려야 하는 결정인데, 홍차넷 유저분들은 어떤 식으로 직장을 선택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실제로 회사생활해 보니 어떤 요소가 중요했는지 궁금합니다. 일단 민감한 주제라서 펑 걸어둡니다.  



0


다람쥐
앗 익명이 아닙니다 ㅠㅠ
T.Robin
대신 펑글이라능......
Danial Plainview
그럼 펑으로 바꾸죠 뭐;;
사나남편
저라면 후자겠지만...전자가 편하긴할거 같습니다.


아 지금 저의 직장은 먹고 살려고 다니는거라...뭐라도움이 안될거 같습니다. 말그대로 먹고살려고 선택한직업입니다.
Danial Plainview
ㅋㅋㅋㅋㅋㅋㅋ 먹고살기 위해서 선택하는 것도 괜찮은데, 일단 먹고사는 건 둘 다 괜찮을 것 같습니다.
사나남편
먹는건 되는데 사는게 될가요? 워라벨이 괜찮나...싶긴합니다. 저 8시반출근에 4시반 퇴근합니다.

아 물론 요즘 시간외 안한다고하는말도 들리던데 제주변을 보면 다 9시 10시는 기본이더라고요.
Danial Plainview
8-5면 워라밸 좋지요. 물론 그 라이프가 육아라이프라면 그말싫...
- 시장 상황 예측에 따른 기업 선택은 사실 합리적이지는 않습니다. 시장은 늘 그렇듯이 예측할 수 없고, 시장이 좋아도 그 기업이 살아남을 수 있을지는 또 미지수라.. 이럴땐 일단 대마불사(?) 로 찍는 것도 괜찮습니다.

- 저같은 경우의 기준은 1) 직무적합성 (나랑 직무가 잘 맞는지), 2) 성장가능성 (그 회사에서 그 직무로 성장할 수 있을 만큼 뭔가 배울게 않은지), 3) 연봉 이었습니다.

- 사실 셋 다 첫 입사때는 고려를 거의 못하다 시피 붙은 곳을 가는게 급급했었지만... 경력직으로 이직할때는 충분히 숙고하고... 더 보기
- 시장 상황 예측에 따른 기업 선택은 사실 합리적이지는 않습니다. 시장은 늘 그렇듯이 예측할 수 없고, 시장이 좋아도 그 기업이 살아남을 수 있을지는 또 미지수라.. 이럴땐 일단 대마불사(?) 로 찍는 것도 괜찮습니다.

- 저같은 경우의 기준은 1) 직무적합성 (나랑 직무가 잘 맞는지), 2) 성장가능성 (그 회사에서 그 직무로 성장할 수 있을 만큼 뭔가 배울게 않은지), 3) 연봉 이었습니다.

- 사실 셋 다 첫 입사때는 고려를 거의 못하다 시피 붙은 곳을 가는게 급급했었지만... 경력직으로 이직할때는 충분히 숙고하고 결정하였습니다. 지금 다니는 곳 보다 연봉이 많은 곳도 많았지만 직무적합성과 성장가능성 측면에서 이 회사가 훨씬 나았거든요. 성장가능성 같은 경우.. 일부 회사들에서 지금 당장의 이슈를 땜빵하기 위해 대규모로 인원을 충원하는 경우가 있다거나 혹은 전혀 이쪽 분야에 관심 없는 회사인데 한 번 찔러보는 식으로 팀을 꾸리는 경우 커리어가 망하기 딱 좋은 케이스입니다.
Danial Plainview
직무적합성은 둘 다 괜찮은 것 같은데, 2)이 너무 어렵습니다. 삼성이면 대마불사는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될 것 같구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저는 문과라서 CE/IM 직무 써주신 걸 보아도 어느 부서를 말씀하시는지 잘 감이 오지는 않는데, 주재원을 생각하시는 거면 해외 나갈 기회가 쉽게 주어지지는 않을 거예요. 해외 나가서 훨씬 더 많은 연봉 받고 아이들 해외경험 시켜주고 싶은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경쟁이 치열합니다.
Danial Plainview
글로벌 QC 같은 곳인데 전 부서 중 절반 정도는 나가 있다고 합니다.
아, 생산법인이 아니라 판매법인 쪽에 해당하는 직무인가 보네요.
아래 다른 분이 적어주셨는데 가능하면 최대한 현직자 컨택을 해 보세요. 삼성급의 기업은 너무 크기 때문에 공채때 직군 고르는 수준에서는 최종적으로 일할 곳의 직무/분위기를 알기가 힘들 거예요.
그리고 혹시 나중에 이직을 해야할 수도 있으니, 그것도 같이 고려해서 산업군을 결정하시면 좋겠어요. (제 주변 삼성입사자 4명 중 3명이 5년차 되기 전에 다 퇴사했습니다..ㅎ)
맥주만땅
미래는 모르는 것이고 10년이 지나면 학교에서 배운 것은 모두 리셋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본인이 캐리어를 만들고 싶어하는 분야가 어디인지가 가장 중요할 것 같습니다.
Danial Plainview
분야 선호도가 뚜렷하다면 좋은데, 그렇지 않은게 문제겠네요. 굳이 장벽을 꼽자면, DS는 전문성이고, CE/IM은 어학능력인데요.
맥주만땅
솔직히 친구들을 보면 먹고 살만하면 대학원가서 연구원하는 것이 가장 좋아보이더군요.

글로벌 QC인지는 몰라도 과거 모바일폰 출시할 때 마다 외국가서 최적화하는 친구는 결국 나와서 다른일 하는 것을 보면...
보이차
먹고 살만하면.. ㅠㅠ
직무적합성, 업무강도, 조직문화, 회사 이름값이 내 커리어에 도움되는 정도, 연봉, 이렇게 5개 기준 꼽겠습니다.

공대식으로 말하면 각각을 x, y, z, u, v라고 할 때
ax + by + cz + du + ev ≥ K,
x ≥ K1, y ≥ K2, z ≥ K3, u ≥ K4, v ≥ K5 가 기준 엌ㅋ
Danial Plainview
다면체는 결정됐고 효용함수만 정하면 될텐데...
1
아 그리고 삼성전자는 사업부 하나하나도 엄청 큰 회사다보니 하는 직무와 조직문화도 일률적이지 않고 케바케일거에요.
잘 결정하시겠지만, 직무적합성/업무강도/조직문화 따질때는 꼭 거기서 그 직무를 하는 현직자의 의견을 들어보시길..
Danial Plainview
그럼요. 저건 일부러 두루뭉실하게 적다 보니 저렇게 되어버렸네요. 인생 달린 결정이니 현직자랑 더 과감하게 컨택해 봐야겠습니다.
살찐론도
적어주신 것만 보면 후자 택하겠습니다 ㅎㅎ
제가 택하는게 무슨 의미가 있겠냐만은.....
Danial Plainview
혹시 직업을 고르실 때 어떤 기준으로 고르셨고, 혹은 처음에는 안 중요해 보였는데 나중에 중요해진 기준이 있으신가요?
살찐론도
저한테는 주재원 기회가 큽니다.
삼성이면 돈은 먹고살고 남을만큼은 될거고, 그렇다면 개인적 욕구 충족이나 미래준비 해야지 않겠습니까 ㅎㅎ
돈이 최고입니다. 어지간한 비전이나 원하는 근무환경이 명확하게 있지 않다면요. 경력이 아니라 공채면 더 그렇구요.
졸려졸려
다행히 시간이 남아서 조금 더 풀어보자면, 저는 코인신을 믿기 때문에 시장환경, 업종의 비전, 본인의 직무 및 팀 분위기는 언제든 바뀔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공채라면요. 그래서 이 부분은 크게 가중치를 두지 않습니다.
그럼 결국 남는건 진입하려는 산업군, 그룹/업체의 문화, 근무환경, 업계 위치, 본인의 직급 및 연봉 정도입니다. 이 중 계량하기 가장 쉬운게 연봉이기 때문에 나머지를 자기만의 가중치로 계량해서 연봉에 더해서 평가합니다.
그리고 이직할 경우 현재연봉이 기준이기 때문에 공채라면 (근무환경을 버틸 수 있다면) 무조건 대기업&연봉 높은데를 추천하는 편입니다. 내려가는건 쉬운데 올라가는건 어렵거든요.
Danial Plainview
그렇군요. 연봉 차이는 호봉은 같을 것 같고, 성과급에서 차이가 있는데 그게 시장상황이라;;
졸려졸려
반도체는 많이줍니다. 글로벌 엔지니어 연봉도 있고,
올해는 특보도 있다던데요.
Danial Plainview
영끌하면 초봉 7천도 넘을 것 같더라구요.
1
졸려졸려
부럽읍니다 ㅎㅎ 결국 연봉이 그 사람의 시장가치이니까요.
Under Pressure
2가 1보다 오래 갈 분위기가 아니라면 1이 낫지 않을까요. 삼성전자 같은 큰 기업이라면 어딜 가든 오래 있기 쉽지 않잖아요.
Danial Plainview
아 인력교체가 잦은가 봅니다.
T.Robin
임원 될거 아니면 무조건 만 45세 전 퇴직입니다.
- 현 삼성전자 근무자 친구
45세 넘는 사람들 꽤 많은데요..
Azurespace
호오... IM부문이 신규채용을 하긴 하나요? 그쪽에 엔지니어 남는다고 타계열사로 전배가고 하던데
Danial Plainview
그냥 전 제품군 대상으로 품질관리 하는 그런 부서입니다. ㅎㅎ
저라면 조금이라도 재밌다고 적어주신 후자를 선택할 것 같습니다. 결국 일이 재밌지 못하면 어딜가든 일은 일이 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워크도 라이프의 일부로 받아들일 수 있어야 진짜 워라밸이 생기는 것 같아요. 저는 방송국에서 일하는데 무슨 일을 하든 내가 이 경험으로 어떤 프로그램을 만들수 있을까 고민하거든요. 이런 식으로 일이 삶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편입되야만 일도 즐겁고 삶도 즐거워지는 것 같습니다.

물론 삼성전자 같은 큰 기업은 직무도 중요한데 팀별로, 부서별로 워낙 케바케라서 재미를 항상 느낄 수는 없겠지만 조금이라도 본인이 즐거울것 같은 일을 하는게 저는 더 좋은것 같아요.
Danial Plainview
말씀을 들어보니 돈과 재미, 그리고 생존가능성이 중요한 것 같아요.
기쁨평안
저는 일이 재미있던 적이 한번도 없어서요..
취업할 때는 아무데나 붙는데 갔고요.
직장생활을 하면서 내가 대체불가한 능력과 커리어를 쌓아갈수 있느냐가 중요했습니다.
그게 없으면 파리목숨이더라고요. 어쩔수 없이 정치를 해야하고, 눈치를 보게될수 밖에 없는데,
대체불가한 영역으로 들어가면 큰 사고 없는 한은 월급을 받을 수 있으니까요.
Danial Plainview
중요하신 포인트인 것 같습니다.
근데 뭐 시장 전망은 아무도 모르죠..
반도체만 해도 10년전엔 기피부서였는데 ㅎㅎ
3
타는저녁놀
밖에서 보는 기업 분위기는 큰 의미 없습니다. 회사 분위기의 경향성이라는 건 있을 수 있겠지만.. 전반적인 회사 분위기보다 팀장이 어떤 사람이냐 사수가 어떤 사람이냐가 훨씬 더 중요해서요. 취업사이트 같은 곳에선 분위기 좋고 합리적인 이미지인 기업 중에 실제로는 굉장히 막장스러운 곳도 있습니다.
직무도 그렇고 분위기도 그렇고 결국 들어가서 업무 받아보고 일을 해봐야 확인되는 것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현직자 얘기를 들어본다고 해도 사람마다 생각이 다르고 느끼는 게 다르기도 하고요. 소스만 확실하다면 여기서 가장 정확한 건 연봉이겠... 더 보기
밖에서 보는 기업 분위기는 큰 의미 없습니다. 회사 분위기의 경향성이라는 건 있을 수 있겠지만.. 전반적인 회사 분위기보다 팀장이 어떤 사람이냐 사수가 어떤 사람이냐가 훨씬 더 중요해서요. 취업사이트 같은 곳에선 분위기 좋고 합리적인 이미지인 기업 중에 실제로는 굉장히 막장스러운 곳도 있습니다.
직무도 그렇고 분위기도 그렇고 결국 들어가서 업무 받아보고 일을 해봐야 확인되는 것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현직자 얘기를 들어본다고 해도 사람마다 생각이 다르고 느끼는 게 다르기도 하고요. 소스만 확실하다면 여기서 가장 정확한 건 연봉이겠군요. 적어주신 것 중에 1은 중요하게 보셔도 되겠고 3은 1이 같다면 참고는 해볼 (산업자체가 아예 고꾸라지거나 갑자기 치솟거나 하는 경우가 있긴 하지만 대부분은 평범한 직장인이 산업에 큰 영향을 받는 경우는 많지 않더라고요.) 것 같고 2,4는 중요한 문제긴 하지만 현시점에서 정확하게 예상할 방법이 없을 것 같습니다.
1
선생님껜 2번 권하고 싶습니다. 해외 파견 기회가 중요하다면 후자가 낫죠.
Danial Plainview
감사합니다. 과연...나갈 수 있을까요?
제 스스로에게도 늘 묻고 있습니다. 방향을 확실히 하고 조금씩이라도 움직이다보면 어느 순간 가 있지 않을까요?
April_fool
직장 골라서 갈 수 있는 능력자가 부럽습니다 ㅠㅜ
Danial Plainview
아뇨 ㅋㅋ 자소설 쓰는 건데요;;
트리플헤더
아 어렵네요. 먼저 떠오르는건 입사하고 1년만에 만났던 반도체 친구들 얼굴인데, 사람의 것이 아니긴 했습니다. 근데 또 그건 한참 전 이야기이기도 하고... 위에서 적어주셨던 내용중에서 사실 확실하다!! 고 말할게 많아보이진 않습니다. 산업분야는 개인과 무관하게 업다운이 있을것이고, 생각보다 직무변화는 잦고, 근무환경은 어떤 회사이냐보다 어떤 부서에서 어떤 상관 및 동료와 만나느냐가 더 크게 작용할것 같습니다. 저라면 그나마 당장 1,2년에 받을거라 보이는 돈외에는 확실한게 없어보여서 일단은 1)에 조금 더 무게를 두고 싶습니다.
배바지
무조건 돈 보고 가야합니다.

내가 피상적으로 생각한 직무와 실제 접하는 직무는 완전히 다르고, 그 직무에 내가 맞는지 여부는 또 다른 문제입니다.

또, 직무(일 재미)는 경력을 희생해서라도 바꿀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연봉은 이직 이외에는 바꾸기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인사 고과 시스템이 제대로 정립 안 되어있는 환경에서는 이직만이 연봉 대상승의 기회죠.
곰곰이
(부서마다 케바케지만) 전반적으로 CE/IM도 부품처럼 일하는 건 마찬가지입니다.
그리고 삼성전자는 대기업답지 않게 조직 변동 주기가 빠르고 업무 환경의 변동이 다이나믹합니다.
대부분 당장 1~2년 후 어디서 무슨 일을 할 지 모르고 다니는데, 10년 후를 보는 건 너무 먼 것 같습니다.
그리고 돈을 못 버는 부서(CE/IM)는 어떻게 해도 분위기가 정말 우울하기 때문에
앞으로 한 동안 DS가 장미빛인 건 사실입니다.

여기까지는 그냥 개론이고,
어느정도 관련 부서의 내부 정보를 많이 알고 계신 것 같은데
정말 해외... 더 보기
(부서마다 케바케지만) 전반적으로 CE/IM도 부품처럼 일하는 건 마찬가지입니다.
그리고 삼성전자는 대기업답지 않게 조직 변동 주기가 빠르고 업무 환경의 변동이 다이나믹합니다.
대부분 당장 1~2년 후 어디서 무슨 일을 할 지 모르고 다니는데, 10년 후를 보는 건 너무 먼 것 같습니다.
그리고 돈을 못 버는 부서(CE/IM)는 어떻게 해도 분위기가 정말 우울하기 때문에
앞으로 한 동안 DS가 장미빛인 건 사실입니다.

여기까지는 그냥 개론이고,
어느정도 관련 부서의 내부 정보를 많이 알고 계신 것 같은데
정말 해외로 갈 수 있는 기회가 많고 일이 재밌다면 확실히 큰 장점인 것 같습니다.
PSPI 차이가 크긴 하지만 그래도 대기업 연봉이니 꼭 DS가 아니어도 도전해볼 만한듯요.
Bettersuweet
현직자인데 글쓴분의 전공, 세부 지원 사항에 따라 회사생활이 너무 천차만별입니다.
Danial Plainview
오픈해도 될까요?

전공은 산업공학과고 생각하는 곳은 삼성전자 CE/IM 글로벌 CS센터, 글로벌 기술센터, 삼성전자 DS 메모리 평가 및 분석입니다.
보이차
10년 뒤에 해외 나가시는 거면 가족이랑 떨어져 계셔야겠네요...
Danial Plainview
아직까지 결혼 생각은 없어서 괜찮을 것 같습니다.
란테르트
DS가 좀 더 끌리네요 요즘 분위기도 그렇고..
아니면 각 사업장이 큰 차이는 없겠지만 집 가까운 곳이 좋아요. 하다못해 통근버스 정류장이라도 가까은 곳으로 가시길.
마술사
솔직히 삼전은 너무너무너무 큰회사라 솔직히 직무적합성 이런건 거의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DS로가든 IM/CE로가든 어떤일을 하게될진 거의 운빨이에요. 다만 연봉만 보면 PS/PI/특보때문에 DS가 올해는 이천만원 정도는 높을겁니다. 내년엔 어떨지 모르겠지만 천만원은 차이날 가능성이 높을거에요.
CONTAXS2
저는 저를 받아주는 단 한 곳.

딱 한군데서 서류 통과되고, 거기서 1차 면접되고, 거기서 2차 면접돼서 선택의 기준이 없었죠.
힘법사
공채의 경우 실제로는 어떤 직무로 들어가서 그거랑은 전혀 상관없는 다른 직무로 배치되기도 하는지라, 고려할만한건 산업 성장가능성 정도나 될듯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67 기타회사 소개서 영작 부탁합니다. (전문가에게 의뢰중) 2 ArcanumToss 16/06/06 3671 0
803 기타회사 세콤 카드 분실(?) 시 3 레이드 16/02/02 17272 0
5445 진로회사 선택의 기준이 어떠셨나요? 57 Danial Plainview 18/09/13 10222 0
11980 진로회사 선택과 관련하여 고견을 구하고 싶습니다. (완료) 11 [익명] 21/08/01 4915 0
4504 진로회사 생활 질문입니다 8 [익명] 18/04/22 3048 0
10257 IT/컴퓨터회사 사무용 모니터를 구매'요청'하려 합니다. 18 거참귀찮네 20/10/12 5014 0
6802 진로회사 문화, 분위기 관련 고민입니다. 11 [익명] 19/03/20 2678 0
5917 IT/컴퓨터회사 메일 백업 할 좋은 방안 아이디어 모집합니다 16 별빛 18/11/19 4638 0
13269 기타회사 동료분 부친상 부조금이 걱정되네요. 13 노바로마 22/04/20 6798 0
2977 의료/건강회사 동료(여자)가 '얼굴곰팡이'로 고생중입니다. 14 소맥술사 17/06/29 7827 0
16512 기타회사 대표도 건강보험 직장가입자가 될 수 있는지요? 8 홍당무 25/02/07 715 0
4973 기타회사 대주주 부친상? 5 CIMPLE 18/07/05 3124 0
6197 기타회사 다니면서 투잡하는 분들 세금은 어떻게 하시는지요...? 3 [익명] 18/12/31 8158 0
9914 진로회사 높으신 분이 계속 연애를 권합니다 21 [익명] 20/08/10 4656 0
15874 IT/컴퓨터회사 노트북과 가정 PC 파일 공유 5 [익명] 24/05/22 1410 0
14205 IT/컴퓨터회사 내부 망에 있는 웹 시스템 접속할 때 https 사용하시나요? 12 달씨 22/12/01 4259 0
6893 기타회사 관련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8 crowley 19/04/04 3707 0
6042 진로회사 계약서 작성 후 다른 곳으로 갈 수 있나요? 17 이초파 18/12/07 10022 0
8318 법률회사 건물이 흔들릴 때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을까요? 4 [익명] 19/11/21 5179 0
4521 진로회사 2:1 면접은 어떤 느낌일까요. 5 [익명] 18/04/25 4135 0
13900 기타회복 술사 의 재시작 무 검열 다운 8 나를위해조 22/09/22 5314 0
761 교육회계원리/민법 인강 및 좋은 책 2 *alchemist* 16/01/23 5532 0
445 기타회계에 대한 지식이 얼마나 쓸모있을까요? 10 kpark 15/11/12 4503 0
8072 진로회계사...해도 될까요? 19 덕후나이트 19/10/20 5056 0
3244 진로회계사 준비를 하고 싶습니다. 15 [익명] 17/08/22 6719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