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7/07/29 15:10:46 |
Name | rdc66 |
Subject | 말을 많이 해서 목이 아픕니다 ㅠ |
말을 많이 해서 목이 아픕니다.. 제가 현재 생초보 강사로 일을 하고 있습니다.. 일이 처음이다 보니깐 일자체도 아직 미숙하고 부족한강의력인데 목까지 말을 많이 해서 그런지 아파서 이비인후과에 가보니 특별히 문제되는 부분은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급한대로 약국에서 목에 좋다는 베타딘, 목앤스프레이 등을 약사님께 추천받아 사용중인데요.. 이렇게 약같은 임시적인 방법보다는 제 발성방법이나 목에 좋은 습관 등등을 알고 싶습니다. 따뜻한 물은 여름이라도 정수기로 꾸준히 마시고 있구요, 커피는 하루에 딱 한잔만 마시구요, 술 담배는 특별히 많이 하지 않습니다(술은 한달에 한두번, 담배도 스트레스 받을때만 일주일에 한갑도 아니고 한까치 정도만 피우고 있습니다) 이곳이라면 전문적인 분들이 많아서 많은 분들의 충고를 듣고 싶습니다 많은 분들의 충고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rdc66님의 최근 게시물 |
발성법은 한 번 교정받아보시는 것도 괜찮습니다. 사람마다 자기 성대에 부하를 최저로 주는 음이 있는데 그 음을 말하는 음으로 잡고, 결국 두성으로 말하는게 제일 오래 가거든요. 레크리에이션 강사분들 경력 오래되신 분들 상당수가 두성으로 말을 하시더군요. 어차피 노래가 목적이 아니라 장시간 큰 소리 내는게 목적이니까 길게 교정받으실 필요도 없고...
베타딘 스프레이나 가글은 뭐 쓰긴 써야 되지만 자극이 강하고 주변이 마르기 때문에 강연 전에 하시는건 추천하지 않습니다. 끝나고 하시는게 좀 더 나을거에요. 요새 여름이라서 에어컨 틀고... 더 보기
베타딘 스프레이나 가글은 뭐 쓰긴 써야 되지만 자극이 강하고 주변이 마르기 때문에 강연 전에 하시는건 추천하지 않습니다. 끝나고 하시는게 좀 더 나을거에요. 요새 여름이라서 에어컨 틀고... 더 보기
발성법은 한 번 교정받아보시는 것도 괜찮습니다. 사람마다 자기 성대에 부하를 최저로 주는 음이 있는데 그 음을 말하는 음으로 잡고, 결국 두성으로 말하는게 제일 오래 가거든요. 레크리에이션 강사분들 경력 오래되신 분들 상당수가 두성으로 말을 하시더군요. 어차피 노래가 목적이 아니라 장시간 큰 소리 내는게 목적이니까 길게 교정받으실 필요도 없고...
베타딘 스프레이나 가글은 뭐 쓰긴 써야 되지만 자극이 강하고 주변이 마르기 때문에 강연 전에 하시는건 추천하지 않습니다. 끝나고 하시는게 좀 더 나을거에요. 요새 여름이라서 에어컨 틀고 있는 곳에 있으실 확률이 큰데 이게 목 근처의 온도 변화로 이어지면서 부상이 나기 쉽기 때문에 목에 수건 하나 정도는 걸고 계시는게 낫고요(강의때는 힘들겠지만 강의 사이에 쉬실 때). 물 많이 드시는 것도 중요한데 쉴 때 입 안에 물을 조금 머금은 상태로 있는 것도 괜찮습니다. 입 안을 덜 마르게 하고 말을 적게 하게 만들거든요.
베타딘 스프레이나 가글은 뭐 쓰긴 써야 되지만 자극이 강하고 주변이 마르기 때문에 강연 전에 하시는건 추천하지 않습니다. 끝나고 하시는게 좀 더 나을거에요. 요새 여름이라서 에어컨 틀고 있는 곳에 있으실 확률이 큰데 이게 목 근처의 온도 변화로 이어지면서 부상이 나기 쉽기 때문에 목에 수건 하나 정도는 걸고 계시는게 낫고요(강의때는 힘들겠지만 강의 사이에 쉬실 때). 물 많이 드시는 것도 중요한데 쉴 때 입 안에 물을 조금 머금은 상태로 있는 것도 괜찮습니다. 입 안을 덜 마르게 하고 말을 적게 하게 만들거든요.
목소리내는 법은 차이점보다 공통점이 많은데요,
가실 수 있는 곳 중
성우학원 - 성인연극 취미반 - 아나운서 아카데미 등등 비슷하고,
말씀하신 것으로는 스피치학원이 가장 직접적이지 않을까 합니다.
(정작 저는 스피치학원은 가본적이 없습니다만)
가면 복식호흡과 발성을 같이 배우실 건데
보통 일반인이 목소리 내는 것과 가장 큰 차이는 큰 소리를 낼 때 목에 힘을 주어 억지로 크게 내는 것이 아니라
배에 든 공기를 더 많이, 더 세게 튕겨냄으로서 소리를 냅니다.
목, 성대는 소리를 통과시키는 기관이라고 할까요.
성우,... 더 보기
가실 수 있는 곳 중
성우학원 - 성인연극 취미반 - 아나운서 아카데미 등등 비슷하고,
말씀하신 것으로는 스피치학원이 가장 직접적이지 않을까 합니다.
(정작 저는 스피치학원은 가본적이 없습니다만)
가면 복식호흡과 발성을 같이 배우실 건데
보통 일반인이 목소리 내는 것과 가장 큰 차이는 큰 소리를 낼 때 목에 힘을 주어 억지로 크게 내는 것이 아니라
배에 든 공기를 더 많이, 더 세게 튕겨냄으로서 소리를 냅니다.
목, 성대는 소리를 통과시키는 기관이라고 할까요.
성우,... 더 보기
목소리내는 법은 차이점보다 공통점이 많은데요,
가실 수 있는 곳 중
성우학원 - 성인연극 취미반 - 아나운서 아카데미 등등 비슷하고,
말씀하신 것으로는 스피치학원이 가장 직접적이지 않을까 합니다.
(정작 저는 스피치학원은 가본적이 없습니다만)
가면 복식호흡과 발성을 같이 배우실 건데
보통 일반인이 목소리 내는 것과 가장 큰 차이는 큰 소리를 낼 때 목에 힘을 주어 억지로 크게 내는 것이 아니라
배에 든 공기를 더 많이, 더 세게 튕겨냄으로서 소리를 냅니다.
목, 성대는 소리를 통과시키는 기관이라고 할까요.
성우, 아나운서의 목소리 등과 본인 목소리를 비교해 들어보셔요.
가실 수 있는 곳 중
성우학원 - 성인연극 취미반 - 아나운서 아카데미 등등 비슷하고,
말씀하신 것으로는 스피치학원이 가장 직접적이지 않을까 합니다.
(정작 저는 스피치학원은 가본적이 없습니다만)
가면 복식호흡과 발성을 같이 배우실 건데
보통 일반인이 목소리 내는 것과 가장 큰 차이는 큰 소리를 낼 때 목에 힘을 주어 억지로 크게 내는 것이 아니라
배에 든 공기를 더 많이, 더 세게 튕겨냄으로서 소리를 냅니다.
목, 성대는 소리를 통과시키는 기관이라고 할까요.
성우, 아나운서의 목소리 등과 본인 목소리를 비교해 들어보셔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