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7/07/02 17:03:29
Name   작은 아무무
Subject   '침습성'의 정의에 대해
며칠 전에 있던 일 때문에 생긴 궁금증인데


항문에 검사 키트를 넣어서 검사하는 건 침습성 처치인가요 아닌가요?

아무리 봐도 침습성이라고 보기에는 애매하지...않나요?



0


엄밀히 말하면 침습이라고 보아야 합니다
의학용어로 침습성이라면 기구를 신체 내부 혹은 공간으로 넣는 것 둘 다 의미하거든요
항문 어디까지 들어갔느냐에 따라 논란이 있을 수는 있겠네요
레지엔
침습성의 조건은 기본적으로 조직 손상이고... 엄밀하게 따지면 대부분의 검사는 다 침습적입니다. 예컨대 항문에 면봉 스왑도 점막 손상이 일어나긴 하니 침습성이 0이라고 할 수는 없죠. 그러나 임상적으로 의미가 없는 손상이고, 침습성의 레벨이라는 것 자체가 다분히 통념적인 요소에 의해 결정되므로 저 검사를 침습적 시술로 분류하지는 않습니다.
선생님, 논란의 여지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엄밀히 보면 invasive로 보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Minimally_invasive_procedures
A medical procedure is defined as non-invasive when no break in the skin is created and there is no contact with the mucosa, or skin break, or internal body cavity beyond a natural or artificial body orifice. For example, deep palpation and percussion are non-invasive but a rectal examination is invasive.
(위키를 가져온 것은 신뢰성보다는 그냥 찾기 쉬워서... 다른 의학사전에도 비슷합니다)
레지엔
어떠한 시술이 invasive 하냐와 이 시술이 invasive procedure에 들어가느냐는 좀 다른 질문으로 의사들이 접근하고 있지 않느냐는 생각이 있습니다. 위의 리플도 그 부분을 고려해서 쓴 것인데, 예컨대 방사선을 사용한 진단 검사의 경우 고전적으로는 noninvasive procedure로 봤지만 지금은 관점이 바뀌고 있는 상황이고, 구강 혹은 항문의 면봉 스왑 역시 시술의 방식을 볼 때 이게 침습성이 존재한다는 것은 누구나 알 수 있지만 막상 이 검사를 invasive procedure로 분류해서 그에 맞는 조치를 취한다고 볼 수 있겠냐면 아닌 것 같습니다. 의학보다는 생물학쪽 이야기긴 한데, 구강 면봉 스왑으로 조직 채취해서 DNA 검사를 할 경우에 고전적인 혈액/생식세포 채취에 대비해서 noninvasive procedure나 noninvasive method로 부르기도 합니다. 그 점에서 invasive하냐와 invasive procedure에 들어가냐를 나눠서 보는 게 맞지 않나 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424 IT/컴퓨터'물건 정리'에 활용하기 좋은 소프트웨어는 뭐가 있을까요? 8 똘빼 22/05/29 4627 0
1759 게임'미궁' 게임 아시는 분 계시나요? 7 Toby 16/11/11 3376 0
5970 진로'보통 한국 남자' 에 대한 거부감/ 공포감 7 [익명] 18/11/27 3024 0
1233 의료/건강'세라토닉' 명칭 관련 질문입니다 3 얼그레이 16/06/27 10999 0
1414 의료/건강'소아정신의학'은 언제부터 배우나요? 본과? 7 jklljh 16/08/13 4943 0
1850 교육'손은 눈보다 빠르다'를 어떻게 영어로 설명할까요? 49 tannenbaum 16/12/01 8268 0
10883 과학'악령이 출몰하는 세상'과 비슷한 책이 있을까요? 3 [익명] 21/01/23 3926 0
6344 의료/건강'약재'에 대해 여쭤봅니다. 4 snobbism 19/01/20 3718 0
1325 체육/스포츠'어깨가 식는다.' 라는 말은 정확히 뭘 말하는건가요? 9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7/25 6422 0
6809 기타'어중간한 놈' 대회에서 우승하면 어중간한 걸까요? 6 [익명] 19/03/21 2761 0
11386 기타'어짜피' 를 실제 대화에서 사용하는 분 혹은 사용을 목격하신 분 계신가요? 19 arch 21/04/19 5767 0
4109 IT/컴퓨터'예쁜' 사무용 무선 키보드 추천부탁드립니다. 12 리페이스 18/02/06 5705 0
16711 기타'이게 맞아?'라는 표현이 언제부터 유행했을까요? 2 토비 25/05/02 488 0
9839 기타'지구 온난화'에 의심이 많은 편입니다 28 토비 20/07/27 5020 0
5840 기타'지킬 거 다 지키면 못 해'가 많은 이유가 뭘까요? 16 김우라만 18/11/06 4361 0
2995 의료/건강'침습성'의 정의에 대해 4 작은 아무무 17/07/02 4798 0
1107 기타'특이점' 이 온 ~!@#$%^&*() 의 어원은 무엇인가요? 9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5/23 4317 0
13931 경제'한 장'은 얼마인가요? 8 서당개 22/09/30 6713 0
11415 기타‘내가 스물 넷에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하나씩만 말씀해 주세요 홍차넷 선생님들!! 50 21/04/24 5845 1
5108 기타‘서점에서 책한권 다읽기’ 어떻게 생각하세요? 11 현타247 18/07/21 6341 0
11145 의료/건강‘의자는 비싼 거 써야 한다’는 통념이 얼마나 사실인가요? 25 21/03/07 8453 0
11207 기타‘좋은’ 사람과 친해지고 싶은 욕망은 보편적인 건가요? 9 [익명] 21/03/19 4750 0
4081 의료/건강‘체력’이 궁금합니다. 5 우분투 18/01/30 4539 0
5170 기타"-읍니다" 유행어(?)의 근원지가 어디인가요? 18 [익명] 18/07/31 4684 0
11400 기타"구동존이"라는말 아세요? 18 주식하는 제로스 21/04/21 5745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