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7/03/09 23:59:14
Name   구름비누
Subject   자연계는 현재 전망이 어두운편인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계속 고민했고 궁금했던 점입니다ㅎㅎ 저는 지구과학을 좋아해서 제 진로를 지구과학 계열로 잡았습니다. 일단은 대기(기상학)나 천문학 쪽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건 이겁니다. 현재 자연과학 분야는 전망이 정말 어두운건가요? 지질학이야 전망 없다고 많이 들었는데, 해양이나 천문,대기 쪽 분야도 마찬가지인지 궁금합니다 :)

기초과학 취급이 안좋다는거야 많이 들어봤던거지만 정말 생계를 걱정해야할 정도로 심각한가요ㅠㅠ

친구가 그러길, 자연과학 전공하면 너 아사한다고... 부모님은 전망 안좋다고, 꼭 자연과학 쪽으로 갈거면 화학과 가서 약사되거나 물리학과 가라고 하시는터라 고민이 됩니다!



0


캡틴아메리카
지금은 자연과학이 문제가 아니라 어느 분야든 다 어렵습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는 오히려 인문계열이 어렵다고 봐야지, 자연계열은 나을거라고 봅니다.

결정적으로 (구름비누님이 취업을 맞닥드리게 될 몇 년 후에는 어떻게 될 진 모르겠지만,) 일단 현재는 국내 여러 기관에서 대기과학 쪽으로 인재를 많이 뽑고 있습니다.
고등학교에서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으로 선택 과목을 만들어서 학생들의 오해를 불러 일으키곤 하는데 지구과학은 일종의 응용과학이에요. 기상학은 연세대에 있을 것이고 지구과학은 서울대에 있을텐데 실제로 지구과학에서 배우는 것을 학과로 열어두고 있는 대학은 거의 없을 거에요.

천문학은 물리학과의 세부 과목 중 하나라고 상상하면 될 거구요. 기상, 해양, 지질 이런데는 전공을 살리려면 연구원이 되거나 공무원이 되어야 하는데, 공부도 오래 해야 하고 돈도 잘 못 벌고 힘든 측면이 있죠. 그런데 이건 요즘 어느 대학의 무슨 과를 ... 더 보기
고등학교에서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으로 선택 과목을 만들어서 학생들의 오해를 불러 일으키곤 하는데 지구과학은 일종의 응용과학이에요. 기상학은 연세대에 있을 것이고 지구과학은 서울대에 있을텐데 실제로 지구과학에서 배우는 것을 학과로 열어두고 있는 대학은 거의 없을 거에요.

천문학은 물리학과의 세부 과목 중 하나라고 상상하면 될 거구요. 기상, 해양, 지질 이런데는 전공을 살리려면 연구원이 되거나 공무원이 되어야 하는데, 공부도 오래 해야 하고 돈도 잘 못 벌고 힘든 측면이 있죠. 그런데 이건 요즘 어느 대학의 무슨 과를 가든 마찬가지.

화학과 가서 약사가 되는 길은 안정적이고 좋다고 생각해요. 그렇지만 지금부터 벌써 안정적인 직장을 고민하고 그러면 너무 재미 없잖아요. 그럴 단계는 아니고요. 이것 저것 가능성을 다 열어두시고 흥미랑 열정을 최대한 여기저기에 다 느껴보려고 시도하고 나중에 원서 쓸 때 또 홍차넷 아저씨들한테 물어보는 걸로.
전에도 이야기했었나요? 저도 지구과학 좋아해서 전교에서 단 3명밖에 없는 지구과학2 응시자였거든요. 어쩌다 그때 좋아했던 건 다 놓치고 이 꼴이 됐는지 모르겠네요... 일단 이공계가 인문계보다 취업 여건이 훨씬 좋은 건 아시죠? 이 이공계 중에서도 공대가 잘 되는 것도요. 이 공대들 가운데에도 참 많은 과가 있는데 그 중 '전화기'라고 불리는 3대장이 있어요. 전자, 화공, 기계의 세 개 과가 공대에서도 가장 취업이 잘 됩니다. 먹고 사는 걱정에서 가장 멀리 있는 과들이죠. 물론 이 과들도 요즘 워낙 어려워 옛날보다는 어려워졌죠. ... 더 보기
전에도 이야기했었나요? 저도 지구과학 좋아해서 전교에서 단 3명밖에 없는 지구과학2 응시자였거든요. 어쩌다 그때 좋아했던 건 다 놓치고 이 꼴이 됐는지 모르겠네요... 일단 이공계가 인문계보다 취업 여건이 훨씬 좋은 건 아시죠? 이 이공계 중에서도 공대가 잘 되는 것도요. 이 공대들 가운데에도 참 많은 과가 있는데 그 중 '전화기'라고 불리는 3대장이 있어요. 전자, 화공, 기계의 세 개 과가 공대에서도 가장 취업이 잘 됩니다. 먹고 사는 걱정에서 가장 멀리 있는 과들이죠. 물론 이 과들도 요즘 워낙 어려워 옛날보다는 어려워졌죠. 그 외에 나머지 공대 학과들도 시국에 따라 등락을 거듭하고 있습니다만 공대생들은 그럭저럭 취업이 잘 되는 편이에요. 말씀하신 것처럼 전공을 택하려면 자연대에 가게 될 겁니다. 공대에서 배우는 게 공학이라면 자연대에서 배우는 건 과학이에요. 공학은 과학을 현실에 어떻게 써 먹어 보자는 거고, 과학은 자연이 이렇구나 음음하는 거니까요. 자연히 밥벌이에 있어 공대보다 떨어지게 마련입니다. 순수학문은 그렇죠. 그럼에도 일단 비슷한 입장인 인문대보다는 훨씬 낫고요. 개중 화학과 같은 곳은 꽤 나은 편입니다. 꼭 약대 진학을 하지 않더라도요. 또 다른 관점으로 특히 공대에서 졸업하고 취업하시려면 대학원 진학을 고려하셔야 합니다. 학사로 졸업해서 유명한 대기업들 취직하면 돈 잘 벌고 좋습니다만, 대신 생산관리 분야를 맡게 되는 게 흔해요. 이게 일이 많아 피곤한 건 둘째치고, 자기가 이렇게 단순한 일 하려고 그 공부를 했나 자괴감이 드는 경우가 많다는군요. 보통 이공계에 떠올리는 연구직에 취직하려면 최소한 석사는 해야 하다 보니 대학원 진학을 택하는 이들도 많습니다. 근데 대학원 진학까지 지금 생각하시기에는 좀 멀죠? 거기다 대학원 진학 때는 또 새로 전공을 택하는 셈이기도 하거든요. 심지어 다른 학교 대학원도 가니까요. 그러니까 그건 나중으로. 저도 三公 님 말씀처럼 아직은 열어두고 생각하시는 쪽이 좋다고 생각해요. 저분도 제가 알기로는 -.- 화학도였다가 의대생으로 전업하신 분이거든요. 아닌감?.? 암튼 꼭 저분 아니라도 제 동기 가운데 화학과였다가 제가 군대 갔다오니 의대생으로 전직한 놈 있음. 그러니까 인생 어떻게 될지 아직 모름, 멀었음.

그러니까 요약하면, 지구과학 계열에서 밥벌이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비단 자연과학뿐 아니라 순수학문으로 밥 먹기 원래 어려웠고요. 그러나 아직 좀 더 고민해 보시고, 말씀하신 대기나 기상 분야로는 앞으로 환경 이슈가 더 중요해질 수 있으니 지금보다는 많이 나아지리라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잘 먹게 될 것 같지는 않고 -.-ㅋㅋㅋ
곧내려갈게요
사실 학사학위 딸때 전공이 취업후 업무랑 이어지기는 힘들죠...
곧내려갈게요
그와 별개로 지금 구름비누님께서 관심있어 하시는 분야들은 사기업에서는 별로 관심이 없는 분야이긴 하네요.
박사학위를 가지고 있어도 상대적으로 취업이 잘되는 분야가 있고 아닌 분야가 있는데,
지금 언급하고 계신 분야는 박사학위를 가지고 있어도 직업의 선택지가 다양할 것 같지는 않은 분야네요.
의외로 물리나 화학 전공자들은 선택지가 많아요. 사기업들에서 필요로 하거든요.
저도 작가되겠다고 하면 애들이랑 선생님들 난리났어요 굶어죽기 딱좋다곸ㅋㅋㅋㅋ..ㅜㅜ
근데 뭐 어때요 국문과 가도 다 길은 있다는데. ㅎㅎ
걍 하고싶은거 하세용. 전 상향 지른게 붙어버려서 사회과학계열로 와버렸지만요..ㅋㅋㅋ
Beer Inside
자연과학과 인문학은 전망이 좋았던 적이 없었습니다.

선망되는 취직자리가 교수였으니까요.
자연대 교수는 진짜 좋아 보이더군요. 그 길은 말씀드리지 않겠습니다만..
사나남편
1920년대에는 자연과학이 섹시 아이콘일 정도로 유망과목이였으나...현재는 시궁창입니다. 그냥 자연과학 공부하고 싶으며 하세요. 대학교 공부는 하고 먹고 사는 일은 다른거 하면되죠. 다 살아지더라고요.
Dr.Pepper
취업 안됨의 끝판왕 철학과 등판합니다.

저도 취업해서 먹고 살아요!
정말 찢어지게 가난하거나, 알바를 해서 돈 벌기가 곤란한 상태의 환경이 아니라면
학부 때 전공은 하고싶은걸 하는게 최고인 것 같습니다.

석사로 뭐든 해서 밥은 벌어먹고 살 수 있게 됩니다.
일정정도의 누구나 하는 노력만 담보된다면 말이죠.

하고 싶은거 하세요!
그게 짱이에요! 대학 졸업해도 스물셋인데 뭔 걱정인가요 ㅋㅋㅋㅋ

너무 낙천적인가? ㅋㅋㅋ
대기(기상) 전공했습니다.
지금은 전공에서 빠져나와 다른 일을 하고 있긴하지만 궁금한점 있으면 쪽지보내주세요.
자연과학 전공해도 굶어 죽지는 않더군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질문 게시판 이용 규정 11 토비 15/06/19 24576 4
16705 IT/컴퓨터유심 재활용할 수 있는 통신사가 있나요? 4 카라멜마끼아또 25/04/27 321 0
16704 여행강원도 (철원) 여행 팁 부탁드립니다 3 빈둥 25/04/27 151 0
16703 진로금융권 IT 인프라 직무 커리어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전차남 25/04/27 212 0
16702 문화/예술영화 혹은 드라마를 하나 찾고 있습니다. 4 알로에비누 25/04/26 336 0
16700 기타살려주세요 사무실이 넘 더워요 22 니나 25/04/25 732 0
16699 경제퇴직금 중도해지요 2 [익명] 25/04/24 411 0
16698 의료/건강실비보험에 대해 5 야얌 25/04/24 488 0
16697 기타30대 남자 선물용 질문드립니다 12 유하 25/04/24 470 0
16696 IT/컴퓨터생성형AI로 파워포인트 슬라이드도 잘 만들어지나요? 3 열한시육분 25/04/24 404 0
16695 의료/건강사무실에서 할 수 있는 유산소 운동이 있을까요? 27 보이차 25/04/23 683 0
16693 여행일본 (벳부) 여행 일정 한 번만 더 조언 부탁드립니다. 10 쉬군 25/04/22 327 0
16692 교육학교에서 아들이 다쳤습니다. 12 [익명] 25/04/22 732 0
16691 IT/컴퓨터가정용프린터기 추천부탁드려요 9 Evergreen 25/04/22 370 0
16690 IT/컴퓨터만약 어떤 커뮤니티가 전부 AI 필터링을 한다면 29 단비아빠 25/04/21 690 0
16689 의료/건강하소연 겸 질문입니다. 편찮으신 어머니 문제 8 [익명] 25/04/20 802 0
16688 기타거울로 반사된 빛으로 곰팡이를 퇴치할 수 있나요? 1 2025 25/04/20 501 0
16687 기타이런 영상은 어떤 장비로 찍은 것일까요? 6 홍당무 25/04/19 595 0
16686 게임급 슈퍼패미컴 미니 클래식이 끌리는데 2 퍼그 25/04/19 359 0
16684 진로IB 업무 중 진로 고민 8 움직여 25/04/19 623 0
16683 진로아이 진로에 관한 고민 7 단비아빠 25/04/18 491 0
16682 문화/예술관광으로 중국 도시를 택할 메리트가 있을까요 11 열한시육분 25/04/18 616 0
16681 기타강력접착된거 떼는방법이 있을까요..? 14 even&odds 25/04/18 457 0
16680 기타차량 폐차 관련 질문입니다. 26 메존일각 25/04/17 598 0
16679 법률부동산 복비 관련 문의드립니다. 6 [익명] 25/04/17 442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