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6/12/10 19:52:40 |
Name | 헤칼트 |
Subject | 김훈 작가가 어땠길래 '스타 기자'였다는 건가요? |
안녕하세요 헤칼트입니다. 저는 기자, 언론인의 이름을 많이 알지 못해요. 손석희? 조갑제..? 김진..? 그리고 몇몇 JTBC 기자 분들 정도. 그런데 김훈 작가는 방송기자도 아니었고 일간지 기자였잖아요. 김진처럼 티비 출연을 많이 했을 것 같지도 않은데 어떻게 스타 기자가 될 수 있었나요? 저로서는 어떻게 그런 게 가능했는지가 안 와닿아서용..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헤칼트님의 최근 게시물
|
http://redtea.kr/pb/view.php?id=timeline&no=3346
ㅋㅋㅋㅋ 어디서 썼나 했더니 제가 썼네요 ㅋㅋㅋㅋ 여튼 여기 댓글에 있는 링크 글 읽어보세요 저도 오랜만에 또 읽어봐야지
ㅋㅋㅋㅋ 어디서 썼나 했더니 제가 썼네요 ㅋㅋㅋㅋ 여튼 여기 댓글에 있는 링크 글 읽어보세요 저도 오랜만에 또 읽어봐야지
https://namu.wiki/w/김훈(소설가)
보시면 조금은 알거 같고... 글 잘 쓰기로 워낙 유명했습니다. 일하다 싫고 짜증나면 나간다고 할 정도로 열 몇번 사표를 냈는데도 다른 신문사에서 데려가고 데려가고 했죠.
보시면 조금은 알거 같고... 글 잘 쓰기로 워낙 유명했습니다. 일하다 싫고 짜증나면 나간다고 할 정도로 열 몇번 사표를 냈는데도 다른 신문사에서 데려가고 데려가고 했죠.
http://legacy.www.hani.co.kr/section-005100034/2002/03/005100034200203210015456.html
한겨레 시절 칼럼인데 상당한 명문이었죠. 인기가 있어서 분량을 좀 늘려보지 않겠냐는 제안을 받았는데 자기는 딱 이 정도가 좋다고 했다는군요.
한겨레 시절 칼럼인데 상당한 명문이었죠. 인기가 있어서 분량을 좀 늘려보지 않겠냐는 제안을 받았는데 자기는 딱 이 정도가 좋다고 했다는군요.
뭐랄까, 읽을 다른 분들이 불편할 수도 있는 이야기입니다만.
김훈이 유명해진 건 문체도 있습니다만 전두환 시절 전통 찬양 기사를 썼습니다. 그 시절엔 이걸 거부하는 기자들을 마구 잡아가서 두들겨 팼고요. 김훈 본인 말로는 '내가 쓸테니 다른 기자들 풀어줘라'하며 앞장서서 썼다고 합니다. 뒤져보면 나올 겁니다. 김훈은 쿨하게 인정하고 있구요. 아마 이것도 김훈의 이름을 남기는 데 한몫 했을 거라 생각합니다. (전 김훈을 좋아하니 갈구진 말아주십 ㅠㅠ)
이어령은 스물여섯에 일간지에 칼럼 썼는데 기자 김훈이 글 잘 써서 유명해... 더 보기
김훈이 유명해진 건 문체도 있습니다만 전두환 시절 전통 찬양 기사를 썼습니다. 그 시절엔 이걸 거부하는 기자들을 마구 잡아가서 두들겨 팼고요. 김훈 본인 말로는 '내가 쓸테니 다른 기자들 풀어줘라'하며 앞장서서 썼다고 합니다. 뒤져보면 나올 겁니다. 김훈은 쿨하게 인정하고 있구요. 아마 이것도 김훈의 이름을 남기는 데 한몫 했을 거라 생각합니다. (전 김훈을 좋아하니 갈구진 말아주십 ㅠㅠ)
이어령은 스물여섯에 일간지에 칼럼 썼는데 기자 김훈이 글 잘 써서 유명해... 더 보기
뭐랄까, 읽을 다른 분들이 불편할 수도 있는 이야기입니다만.
김훈이 유명해진 건 문체도 있습니다만 전두환 시절 전통 찬양 기사를 썼습니다. 그 시절엔 이걸 거부하는 기자들을 마구 잡아가서 두들겨 팼고요. 김훈 본인 말로는 '내가 쓸테니 다른 기자들 풀어줘라'하며 앞장서서 썼다고 합니다. 뒤져보면 나올 겁니다. 김훈은 쿨하게 인정하고 있구요. 아마 이것도 김훈의 이름을 남기는 데 한몫 했을 거라 생각합니다. (전 김훈을 좋아하니 갈구진 말아주십 ㅠㅠ)
이어령은 스물여섯에 일간지에 칼럼 썼는데 기자 김훈이 글 잘 써서 유명해진 게 뭐 그리 특별한 일(?)인가요. 충분히 존재할 수 있는 일입니다.
그렇게 따지면 소설가나 시인은 갑툭튀 해도 화제가 안 돼야 하잖아요. 근데 갑툭튀 해서 화제를 몰고 온 작가들이 발에 채입니다. 이 작은 나라에서도 말이지요.
김훈이 유명해진 건 문체도 있습니다만 전두환 시절 전통 찬양 기사를 썼습니다. 그 시절엔 이걸 거부하는 기자들을 마구 잡아가서 두들겨 팼고요. 김훈 본인 말로는 '내가 쓸테니 다른 기자들 풀어줘라'하며 앞장서서 썼다고 합니다. 뒤져보면 나올 겁니다. 김훈은 쿨하게 인정하고 있구요. 아마 이것도 김훈의 이름을 남기는 데 한몫 했을 거라 생각합니다. (전 김훈을 좋아하니 갈구진 말아주십 ㅠㅠ)
이어령은 스물여섯에 일간지에 칼럼 썼는데 기자 김훈이 글 잘 써서 유명해진 게 뭐 그리 특별한 일(?)인가요. 충분히 존재할 수 있는 일입니다.
그렇게 따지면 소설가나 시인은 갑툭튀 해도 화제가 안 돼야 하잖아요. 근데 갑툭튀 해서 화제를 몰고 온 작가들이 발에 채입니다. 이 작은 나라에서도 말이지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