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4/12/09 13:00:45
Name   블리츠
Subject   살아야 하는 이유?
한 번 철학적 질문을 던져보고 싶어 질문을 합니다.
정말 엄밀히 말하면 인간이 살아야 하는 이유는 없는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야 하느냐? 왜 살아야 하느냐? 라는건데...

리처드 도킨스는 그냥 우리가 유전자를 후세에 남기기 위한 기계라고 하는데,
그렇게만 보기엔 좀 부족한 것 같고.



0


없습니다. 모든 이유와 가치는 인간(개인)이 부여하는 겁니다.
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죽기 싫어서 살아요. 웹툰 챙겨보는 것도 있고 여자친구랑도 행복하게 지내고 싶고…
7
질문을 바꿔보면 굳이 죽어야할 이유도 없으니깐영.
우주가 생겨나고 별이 생기고 지구가 생기고 생명이 태어나고.. 이게 뭐 이유가 있겠습니까.
그냥 스스로 그러하기에 그러하니까 나도 그런가보다 하고 사는 것이 아닐까요.

이유를 굳이 찾겠다고 기를 쓰다 보면 결국 종교 또는 허무 둘 중 하나로 빠져들게 되는거 같은데
저같은 불가지론자 입장에선 딱히 그래야 하나 싶긴 합니다.

저는 호기심 때문에 살아요. 세상의 모든 것이 다 궁금한 사람이라, 이 우주의 소립자 하나 하나 까지 다 아는 상태가 되기 전 까진 죽을 이유라는게 없을거 같습니다.
7
블리츠
이유가 없다라..... 그럴 수도 있겠어요. 저도 그쪽에 좀 더 가까운 것 같긴 해요. 그래서 과학을 좋아하는 것 같구요.
신앙이 주어졌던 사람이라 종교적으로 많이 생각을 해보았는데 답이 없더라구요.
또 저도 호기심이 너무 많고 알면 희열을 느끼는 사람입니다.
근데 요즘엔 사회적/경제적 안정감 vs 내가 하고 싶은 것 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되네요
사실 저도 '왜 살아야 하나' 라는 질문을 어릴적에 많이 했는데 그 질문에 답을 못해서 죽어야 하나 싶던 차에
사랑하는 사람이 생기게 되니까 그 질문이 싹 없어지는걸 보고서 '아 이렇게 하찮은 고민이었구나' 싶어서 다시는 그 생각을 안하게 되었더랬죠. 답을 찾게 될지도 미지수지만 굳이 답을 찾을 필요조차 없는, (적어도 저에게 있어서 그 질문은) 하찮은 질문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사회/경제적 안정감을 이미 갖추신 분이라면 맘대로 하고 살아도 되겠지만 우리들 대부분은 그러기가 힘들긴 하죠.
그래서 그냥 팍팍한 월급쟁이 삶 속에서 뭐라도 내가 하고 싶은 쪽으로 조금씩 꿈틀꿈틀 기어가려고 애쓰고 있습니다.
1
겨울삼각형
그 이유는 스스로 만들어야죠.

마치 오픈월드게임을 하는 게이머 처럼

어떤이는 주어진 스토리를 클리어하기위해서 게임하겠고
어떤이는 그냥 세계를 탐험하는 게 좋을 수도
어떤이는 소소하게 나만의 집을 만드는게 좋을 수도

있는것처럼

인생도 마찬가지 이겠죠
6
Mandarin
왜는 잘 모르겠고
태어났으니 그냥 살고있습니다..
1
집에 가는 제로스
우리는 흔히 왜 사느냐고 인생의 의미를 묻습니다. 그러나 삶에는 의미가 없습니다. 의미를 갖고 사는 게 아니라 그냥 사는 거예요. 삶에 너무 많은 의미를 부여하지 마세요. 그러면 또 하나의 굴레만 늘어나게 됩니다. ‘인간은 특별한 존재다, 인생은 특별해야 한다.’ 이런 생각 때문에 자신의 하루하루 삶에 만족하지 못해서 늘 초조하고 불안하고 후회하는 것이지요. 우리 인생은 저 길에 피어 있는 한 포기 풀꽃과 같습니다. 길가의 풀처럼 그냥 살면 됩니다. 자신이 특별한 존재가 아닌 줄을 알면 인생에서 괴로운 문제의 대부분이 사라져 버립니... 더 보기
우리는 흔히 왜 사느냐고 인생의 의미를 묻습니다. 그러나 삶에는 의미가 없습니다. 의미를 갖고 사는 게 아니라 그냥 사는 거예요. 삶에 너무 많은 의미를 부여하지 마세요. 그러면 또 하나의 굴레만 늘어나게 됩니다. ‘인간은 특별한 존재다, 인생은 특별해야 한다.’ 이런 생각 때문에 자신의 하루하루 삶에 만족하지 못해서 늘 초조하고 불안하고 후회하는 것이지요. 우리 인생은 저 길에 피어 있는 한 포기 풀꽃과 같습니다. 길가의 풀처럼 그냥 살면 됩니다. 자신이 특별한 존재가 아닌 줄을 알면 인생에서 괴로운 문제의 대부분이 사라져 버립니다.

다만 어떤 마음가짐을 가지고 사느냐에 따라서 괴롭고 화나고 짜증나는 불행한 인생이 있고 즐겁고 가볍고 행복한 인생이 있는 거예요.

오늘 아침에 눈을 떠 살아있다는 것에 감사하고, 하루 세 끼 밥 먹을 수 있는 것에 감사하고, 나가서 일할 곳이 있다는 것에 감사하세요. 눈으로 온갖 색깔을 볼 수 있는 것에 감사하고 귀가 있어서 새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것에 감사하고 내 이로 음식을 씹어 먹을 수 있는 것에 감사하세요. 또 두 손이 있어서 내 필요한 일을 할 수 있고 아직 두 다리가 멀쩡해서 산에 오를 수 있는 것에 감사하세요.

이런 감사의 마음을 내면 내 인생이 행복하고 내가 특별한 존재가 됩니다. 특별한 존재가 아님을 알면 특별한 존재가 되고 특별한 존재라고 잘못 알고 있으면 어리석은 중생이 되는 거예요. 하루 세 끼 먹는 것에 만족하면 행복해질 수 있는데 하루 세 끼 먹는 것 말고 뭔가 특별한 걸 요구하기 때문에 어리석은 중생의 울타리를 벗어나지 못합니다.

‘왜 사는가?’ 하고 묻지 말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하고 물으세요. 사는 것은 그냥 사는데 ‘어떻게 살 것인가?’ 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입니다. 왜냐하면 어떻게 사느냐에 따라 행복하게도 불행하게도 살 수 있으니까요.

/법륜스님 말씀입니다.
5
그렇다면 결국 이 세계가 형성된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캉디드가 물었다.
우리를 괴롭히기 위함이다. 마르탱이 대답했다.
-볼테르, '캉디드'
2
자공진
죽지 못해서 살죠... 근데 어제 트위터에서 <모노노케 히메>의 아시타카 명대사를 패러디해서 누가 그러더라고요. '살아라, 선거는 1인 1표다'(...)
4

이런거라 생각합니다...
3
침묵의공처가
이 세상 모든 것이 무상하여 생겨나고 변하고 없어지는 와중에 우리는 무엇을 추구해야하는가, 그 답을 얻기 위한 여정이라고 생각합니다.
2
다마고
모든 사람은 단순히 죽음이 두려워서 삽니다.

그 단순함을 못 견뎌서 자살하는 사람도 있긴 합니다만, 죽음에 대한 두려움은 나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죽을 때를 모른다는 사실에 어떻게 대처하며 살 지가 개인의 가치를 결정한다고 믿습니다.
2
송파사랑
아침에 눈떠지니 산다고 생각합니다.
1
*alchemist*
요새 좀 살기 싫... ㅠ
1
dolmusa
저도 죽기 싫어서 삽니다.
1
눈사람
저도 몇몇 분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죽는 게 무서워서 삽니다.
1
Velma Kelly
예전엔 죽기 싫어서였는데 지금은 이유가 많이 생겼읍니다
귀여운 고양이 보고 쓰다듬고, 맛난거 많이 먹고, 재밌는 게임 하고, 친구들이랑 많이 놀고, 또이또이한 학생들 많이 가르치고, 취미생활 해보고 싶은거 찍먹해보고...
1
오디너리안
평범하지만 저는 제 존재 자체가 감사합니다
2
홍차넷에 답글을 쓰기 위해서...!
1
미카엘
그냥 태어났으니 사는 거죠 뭐. 왜 사는지 고민할 정도로 여유가 있으신 분들이 부럽습니다.
1
꿀래디에이터
살아야할 이유를 물어봐야할 이유도 없는것 아니겠습니까
이유는 스스로 만드는 것이지 외부에서 나의 태도를 정해주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1
그르니에
종교의 영향이지만 삶은 축복이라고 생각합니다. 살면서 좋은 것들을 많이 받았고, 좋은 것들을 갚기 위해 살고 있습니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6429 여행도쿄 3박 4일 추천 부탁드립니다. 8 danielbard 25/01/04 892 0
16428 여행속초 물회맛집 알려주십시오 6 쉬군 25/01/02 951 0
16427 의료/건강쥐가 얼마나 더러운가요? 물건 버려야 되는지 6 조홍 25/01/02 1381 0
16426 기타상처로 인한 분노에서 벗어나는 방법이 무엇인가요 6 [익명] 25/01/02 1206 0
16425 가정/육아싱크대 배수구 생김새 질문 2 은하꾸리 25/01/01 737 0
16424 IT/컴퓨터부모님 가정용 pc 견적 9 Beemo 25/01/01 931 0
16423 IT/컴퓨터PC 카톡에서 메시지 보낼때.. 6 어제내린비 25/01/01 1096 0
16422 기타카니발 vs 펠리세이드 풀체인지 최종 고민 질문입니다. 36 쉬군 24/12/31 1567 0
16421 기타1600년 세계 화포술 궁금합니다 4 영원한초보 24/12/31 895 0
16420 IT/컴퓨터스마트워치 주 사용 용도가 어떻게 되시나요? 29 오리꽥 24/12/31 1180 0
16419 과학전자기기 고수님들 들어와보십시오 42 Mandarin 24/12/31 1315 0
16418 경제아파트 매매 고민중입니다. 16 무지개그네 24/12/30 1317 0
16417 진로이민 가야할까요? 40 [익명] 24/12/29 2111 0
16416 기타남자 스킨케어 제품 추천 부탁드립니다. 24 쉬군 24/12/29 1154 0
16415 IT/컴퓨터인터넷 악성 광고 차단 질문 5 whenyouinRome... 24/12/29 866 0
16414 진로실패한 인생이라는 느낌이 들어 아무것도 못하겠어요 8 [익명] 24/12/29 1650 0
16413 연애- 17 [익명] 24/12/28 1398 0
16412 IT/컴퓨터적당한 키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19 분투 24/12/28 1108 0
16411 문화/예술적당한 분량의 인도 역사책 추천해주세요 3 열한시육분 24/12/28 835 0
16410 기타공기업 취업했는데, 취업사기를 당한거 같아 너무 힘듭니다. 30 [익명] 24/12/26 2439 0
16408 IT/컴퓨터얼리어답터가 많이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 없을까요? 5 열한시육분 24/12/25 1331 0
16407 연애연애? 질문! 근데 제가 아니라... 9 얼그레이 24/12/24 1550 0
16406 문화/예술선물용 와인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DogSound-_-* 24/12/24 1113 0
16405 의료/건강수면유도제 장기복용 기준이 어느정돈가요? 3 John Petrucci 24/12/24 1188 0
16404 기타현명한 인간관계 대응방법이 고민입니다. 13 [익명] 24/12/23 1442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