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4/05/18 21:37:00수정됨 |
Name | 블리츠 |
Subject | 치아 재식술 후 경과, 도와주세요!! |
안녕하세요, 저는 제 어금니 신경치료 실패 후 2년여간 고생하다가 치아 재식술(이를 뽑았다 치료 후 다시 심는 술)이란 것을 했었는데요, 임플란트는 아직 너무 하기 아까워서 이 치료를 택하게 되었었습니다. 판교의 한 개인치과에서 수술 후 현재 회복 중인데, 아직은 다 회복되지 않아서 잘 되어가고 있는지 궁금하고, 앞으로 계속 장기적으로 잘 쓸 수 있을가에 대한 걱정과 염려가 있습니다. 왜냐면 치과 의사가 환자를 그렇게 생각해주지 않는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요. 치료 도중 문제 이 외의 다른 이가 깨졌는데 이에 대해서도 환자 탓만 해서 좀 기분이 나빴습니다. 재식술이란 것이 치근단을 절제를 하고 다시 치아를 심는 시술이더라구요. 치아 끝에 감염 방지를 위해서라더나 뭐라더나. 아무튼 날카로운 치아 뿌리를 뭉뚝하게 좀 갈아내는 것이 치근단 절제술인것 같습니다. 저는 치근단을 절제한 것을 수술 후에야 알았어요. 이에 대한 의사의 설명이 없었거든요. 문제는 치근단 절제를 하면 조금 치아의 힘이 약해진다고 하더라구요. 아무래도 있던 것을 없앤것이니 좀 더 치아가 약해지겠죠. 하지만 이런 설명을 들었다면 비싼 돈(170만)을 내고 시술을 할 것인지 좀 더 고민을 해보았을 것 같습니다. 아무튼 제일 큰 문제인 수술 한 이는 현재 수술 후 4달이 경과하였는데 아직 질긴 것을 씹으면 통증이 있습니다. 엑스레이 상으론 많이 회복된 듯 보이지만 아직 통증이 있어 완전히 회복하려면 시간이 더 걸릴지, 괜찮은 것인지 잘 모르겠어요. 다만 큰 통증은 아니라 조금씩 회복되어 가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보통 치주 잇몸이 회복하는데 얼마정도 걸리는지 아시는 분 있을까요? 저는 큰 돈을 들였으니 10년~20년은 썼으면 좋겠는데요. 또 치과에서는 문제가 되면 as로 책임(다시 수술해주거나 무료로 임플란트를 해준다)져준다는 걸 유튜브에 공지해 놓았던데, 막상 가서 물어보면 정확한 as 기간은 말을 안해줍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블리츠님의 최근 게시물
|
일단 치아재식술의 5년 성공률은 그렇게 높지 않습니다. 여러 논문들에 따르면 5년 survival rate는 대략 50~80퍼센트 정도입니다.
일단 초반에 염증이 생기지 않더라도 치료하지 않은 다른 치아처럼 기능할 가능성 또한 높지 않습니다.
통상적으로 시행하는 치료는 아니며, 치아를 살리기 위한 마지막 수단이라는 개념으로 접근하게 됩니다.
일단 초반에 염증이 생기지 않더라도 치료하지 않은 다른 치아처럼 기능할 가능성 또한 높지 않습니다.
통상적으로 시행하는 치료는 아니며, 치아를 살리기 위한 마지막 수단이라는 개념으로 접근하게 됩니다.
재식중에 치근단 절제술을 하는건 당연한 과정입니다.
치근단에서 염증이 유발되고 있었기 때문에, infection source를 제거해주는 것은 필요합니다.
그때문에 치근이 짧아지는 것은 감수해야합니다.
의도적 재식이라는 술식이 대중적이지 않은 것은, 술식 자체의 어려움보다는 예지성이 낮기 때문입니다.
technique sensitivity도 크지만, 망가진 치아들의 상태가 제각각이며 씹는 힘 역시 사람들마다 다릅니다.
게다가 신경치료를 받은 치아들은 뼈에 유착되어 발치중 치근이 부러지는 경우도 상당히 많고,
온전... 더 보기
치근단에서 염증이 유발되고 있었기 때문에, infection source를 제거해주는 것은 필요합니다.
그때문에 치근이 짧아지는 것은 감수해야합니다.
의도적 재식이라는 술식이 대중적이지 않은 것은, 술식 자체의 어려움보다는 예지성이 낮기 때문입니다.
technique sensitivity도 크지만, 망가진 치아들의 상태가 제각각이며 씹는 힘 역시 사람들마다 다릅니다.
게다가 신경치료를 받은 치아들은 뼈에 유착되어 발치중 치근이 부러지는 경우도 상당히 많고,
온전... 더 보기
재식중에 치근단 절제술을 하는건 당연한 과정입니다.
치근단에서 염증이 유발되고 있었기 때문에, infection source를 제거해주는 것은 필요합니다.
그때문에 치근이 짧아지는 것은 감수해야합니다.
의도적 재식이라는 술식이 대중적이지 않은 것은, 술식 자체의 어려움보다는 예지성이 낮기 때문입니다.
technique sensitivity도 크지만, 망가진 치아들의 상태가 제각각이며 씹는 힘 역시 사람들마다 다릅니다.
게다가 신경치료를 받은 치아들은 뼈에 유착되어 발치중 치근이 부러지는 경우도 상당히 많고,
온전한 형태로 발치가 어려운 경우도 많습니다.
덕분에 재식은 아직은 consensus가 명확하게 확립되지 않았습니다. 많은 case의 결과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성공해서 수년 이상 자연치처럼 잘 쓰는 분도 있고, 가끔 이러한 최상의 결과가 나오기도 합니다만, 항상 그렇지는 않습니다.
재식 후에도 통증이 사라지지 않거나, 동요도가 생겨서 발치를 하게 되는 경우도 꽤 있습니다.
현재의 시점에서는 임플란트라는 예지성 높은 옵션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재식은 대중적인 술식이 되기 어렵고 consensus역시 나오기 힘들것으로 보입니다.
재식을 하면 평생 쓸 수 있다 : X
재식을 해서 평생 쓸 수도 있다 : O
재식은 발치 전 마지막으로 해볼 수 있는 치료이다 : O
재식을 시작할 때에는 발치 후 임플란트까지 고려해야 한다: O
저는 동종업계 종사자의 평가와 토론을 피하는 사람이 타인에게 신뢰를 줄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나만 옳다는 사람이 옳은 경우도 가끔 있습니다만, 대부분은 그렇지 않습니다.
치근단에서 염증이 유발되고 있었기 때문에, infection source를 제거해주는 것은 필요합니다.
그때문에 치근이 짧아지는 것은 감수해야합니다.
의도적 재식이라는 술식이 대중적이지 않은 것은, 술식 자체의 어려움보다는 예지성이 낮기 때문입니다.
technique sensitivity도 크지만, 망가진 치아들의 상태가 제각각이며 씹는 힘 역시 사람들마다 다릅니다.
게다가 신경치료를 받은 치아들은 뼈에 유착되어 발치중 치근이 부러지는 경우도 상당히 많고,
온전한 형태로 발치가 어려운 경우도 많습니다.
덕분에 재식은 아직은 consensus가 명확하게 확립되지 않았습니다. 많은 case의 결과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성공해서 수년 이상 자연치처럼 잘 쓰는 분도 있고, 가끔 이러한 최상의 결과가 나오기도 합니다만, 항상 그렇지는 않습니다.
재식 후에도 통증이 사라지지 않거나, 동요도가 생겨서 발치를 하게 되는 경우도 꽤 있습니다.
현재의 시점에서는 임플란트라는 예지성 높은 옵션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재식은 대중적인 술식이 되기 어렵고 consensus역시 나오기 힘들것으로 보입니다.
재식을 하면 평생 쓸 수 있다 : X
재식을 해서 평생 쓸 수도 있다 : O
재식은 발치 전 마지막으로 해볼 수 있는 치료이다 : O
재식을 시작할 때에는 발치 후 임플란트까지 고려해야 한다: O
저는 동종업계 종사자의 평가와 토론을 피하는 사람이 타인에게 신뢰를 줄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나만 옳다는 사람이 옳은 경우도 가끔 있습니다만, 대부분은 그렇지 않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