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3/03/27 16:34:26 |
Name | 강세린 |
Subject | 이 주장이 믿을 만한가요? |
IQ는 학업성적과 진로를 예측하는 데 아주 유용한 지표다. 단, 125~135까지는 높을수록 좋지만 140~145 이상이 되면 오히려 학교생활을 힘들어하는 경우가 적지 않게 나타난다. 학업성적과 사회적 성취에 가장 유리한 IQ는 125에서 135(상위 1~5%)다. 자녀가 설령 초등학생이라 해도, IQ가 145(상위 0.1%) 이상인 경우 부모가 멘토 역할을 해줄 수 없을 가능성이 크다. 자녀의 IQ가 140(상위 0.4%) 이상이라면 평범한 지능을 가진 또래와의 관계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적지 않다. 특히 IQ가 160(상위 0.003%) 이상이라면 유치원생이 되기 전부터 평범한 지능을 가진 또래 유아들과의 관계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사람의 평균 IQ는 90~110)] 멘사코리아 전 회장 지형범 님의 말씀인데, 이분은 영재교육에 대해 책도 쓰신 분이더군요. 서울대 수학과를 졸업한 엘리트이기도 하고... 저는 15살 때 인터넷에서 멘사IQ검사(도형으로만 구성된 테스트)에서 105 나온 사람이라 고지능자나 영재에 대해 뭐라 할 말은 없습니다만, 이런 분의 말씀이라면 신빙성이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여담으로, IQ가 71~84(하위 3~14%)인 사람을 <경계선지능>이라 하는데, 이들은 학업은 물론 사회생활에도 어려움을 겪습니다. 그리고 IQ 70(하위 2%) 이하인 사람은 법적으로 지적장애인이며, 당연히 여러 복지와 배려를 받게 됩니다. 사람의 평균 IQ는 100인데, 겨우(?) 30 낮은 것만으로도 장애인으로 간주할 정도면, 반대로 100보다 30 높은 IQ 130 이상인 사람들도 평범한 지능을 가진 사람과는 다른 어려움을 겪을 수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드네요. 0
|
남편의 말에 따르면 학교에 앉아있는것이 고통이었다고...
다 아는 얘기를 계속 반복하니까요
아무 의미 없이 매일 그냥 책상 앞에 가만 앉아있는거죠
다른 책이라도 읽으면 집중하지 않는다고 혼나고요..$
다 아는 얘기를 계속 반복하니까요
아무 의미 없이 매일 그냥 책상 앞에 가만 앉아있는거죠
다른 책이라도 읽으면 집중하지 않는다고 혼나고요..$
IQ의 정의가 N(100, 15^2) 혹은 N (100, 24^2) 인 정규분포니까 30 (후자면 50) 차이면 2시그마입니다.
아이큐 높아도 사회성 좋은 이들도 있고 학교 진로에 크게 두드러지지 않은 경우도 있어서 딱히 공감가지 않습니다. 학군에서 아이큐가 높아서 영재수업 들은 아이들을 보아왔는데 그 아이들 중에 사회성 좋은 아이들이 꽤 많았어요.
물론 사회성에 어려움 있는 고지능 아이친구도 있기는했는데요. 사회성 및 아카데믹 성취도에는 여러 환경 유전적 등등 미치는 이유가 많아서 특정 하나로 연관 시키는건 경계해야할듯해요.
물론 사회성에 어려움 있는 고지능 아이친구도 있기는했는데요. 사회성 및 아카데믹 성취도에는 여러 환경 유전적 등등 미치는 이유가 많아서 특정 하나로 연관 시키는건 경계해야할듯해요.
다니던 고등학교 특성상 sd24 (멘사 테스트 기준) 기준으로 130-140 대는 발에 채이게 많았고(학교 평균이 130대...) 150 이상도 두자리수였는데
- IQ와 학업성적이 정비례 하지 않더라고요. 최고 찍은 친구가 164 였는데 재수해서 지방대 낮은과 턱걸이로 감. 이친구는 머리는 진짜 좋다는게 느껴지는데 (소위 말해서 시험 며칠전 수학 교과서 좀 훑어보고 만점 맞는 수준) 문제는 그 머리로 리니지에 빠져버리니 절대적 공부시간이 필요한 과목들은 커버가 안되더라고요. 수학도 노력을 안하니 수능 이상 수준도 안감. 반대로... 더 보기
- IQ와 학업성적이 정비례 하지 않더라고요. 최고 찍은 친구가 164 였는데 재수해서 지방대 낮은과 턱걸이로 감. 이친구는 머리는 진짜 좋다는게 느껴지는데 (소위 말해서 시험 며칠전 수학 교과서 좀 훑어보고 만점 맞는 수준) 문제는 그 머리로 리니지에 빠져버리니 절대적 공부시간이 필요한 과목들은 커버가 안되더라고요. 수학도 노력을 안하니 수능 이상 수준도 안감. 반대로... 더 보기
다니던 고등학교 특성상 sd24 (멘사 테스트 기준) 기준으로 130-140 대는 발에 채이게 많았고(학교 평균이 130대...) 150 이상도 두자리수였는데
- IQ와 학업성적이 정비례 하지 않더라고요. 최고 찍은 친구가 164 였는데 재수해서 지방대 낮은과 턱걸이로 감. 이친구는 머리는 진짜 좋다는게 느껴지는데 (소위 말해서 시험 며칠전 수학 교과서 좀 훑어보고 만점 맞는 수준) 문제는 그 머리로 리니지에 빠져버리니 절대적 공부시간이 필요한 과목들은 커버가 안되더라고요. 수학도 노력을 안하니 수능 이상 수준도 안감. 반대로 IQ 110으로 서울대 법대가서 변호사 된 친구도 있고요.
- 공통점은 이해력이 미친듯이 빠르다는거. 다른 사람들은 설명을 들어야 이해하는데 위에서 말한 친구들은 걍 뭔가를 보면 거의 그자리서 이해하더라고요. 아니면 짧은 설명을 들으면 바로 이해하거나
- 다들 어릴 때는 정서적으로 힘들어하긴 했는데(위에서 말씀하신 대로 주변 또래들한테 이해받지 못해서...) 그 애들만 모아놓은 사회 안에서는 오히려 안정되는거 같더라고요. 공통적으로 말하는건 초등-중등학교 수업이 너무 재미없고 지루했다. 영재교육원 수업이 재밌었다. 이런 정도?
- IQ도 높은데 동기부여도 잘 되고 노력도 많이 하는 친구가 몇 있었는데 현재 대부분 고시 패스해서 높은 자리에 있거나 의사로서 높은 자리에 가 있거나 합니다.
- IQ와 학업성적이 정비례 하지 않더라고요. 최고 찍은 친구가 164 였는데 재수해서 지방대 낮은과 턱걸이로 감. 이친구는 머리는 진짜 좋다는게 느껴지는데 (소위 말해서 시험 며칠전 수학 교과서 좀 훑어보고 만점 맞는 수준) 문제는 그 머리로 리니지에 빠져버리니 절대적 공부시간이 필요한 과목들은 커버가 안되더라고요. 수학도 노력을 안하니 수능 이상 수준도 안감. 반대로 IQ 110으로 서울대 법대가서 변호사 된 친구도 있고요.
- 공통점은 이해력이 미친듯이 빠르다는거. 다른 사람들은 설명을 들어야 이해하는데 위에서 말한 친구들은 걍 뭔가를 보면 거의 그자리서 이해하더라고요. 아니면 짧은 설명을 들으면 바로 이해하거나
- 다들 어릴 때는 정서적으로 힘들어하긴 했는데(위에서 말씀하신 대로 주변 또래들한테 이해받지 못해서...) 그 애들만 모아놓은 사회 안에서는 오히려 안정되는거 같더라고요. 공통적으로 말하는건 초등-중등학교 수업이 너무 재미없고 지루했다. 영재교육원 수업이 재밌었다. 이런 정도?
- IQ도 높은데 동기부여도 잘 되고 노력도 많이 하는 친구가 몇 있었는데 현재 대부분 고시 패스해서 높은 자리에 있거나 의사로서 높은 자리에 가 있거나 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