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3/03/27 16:34:26
Name   강세린
Subject   이 주장이 믿을 만한가요?
IQ는 학업성적과 진로를 예측하는 데 아주 유용한 지표다. 단, 125~135까지는 높을수록 좋지만 140~145 이상이 되면 오히려 학교생활을 힘들어하는 경우가 적지 않게 나타난다. 학업성적과 사회적 성취에 가장 유리한 IQ는 125에서 135(상위 1~5%)다.
자녀가 설령 초등학생이라 해도, IQ가 145(상위 0.1%) 이상인 경우 부모가 멘토 역할을 해줄 수 없을 가능성이 크다. 자녀의 IQ가 140(상위 0.4%) 이상이라면 평범한 지능을 가진 또래와의 관계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적지 않다. 특히 IQ가 160(상위 0.003%) 이상이라면 유치원생이 되기 전부터 평범한 지능을 가진 또래 유아들과의 관계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사람의 평균 IQ는 90~110)]



멘사코리아 전 회장 지형범 님의 말씀인데, 이분은 영재교육에 대해 책도 쓰신 분이더군요. 서울대 수학과를 졸업한 엘리트이기도 하고...
저는 15살 때 인터넷에서 멘사IQ검사(도형으로만 구성된 테스트)에서 105 나온 사람이라 고지능자나 영재에 대해 뭐라 할 말은 없습니다만, 이런 분의 말씀이라면 신빙성이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여담으로, IQ가 71~84(하위 3~14%)인 사람을 <경계선지능>이라 하는데, 이들은 학업은 물론 사회생활에도 어려움을 겪습니다. 그리고 IQ 70(하위 2%) 이하인 사람은 법적으로 지적장애인이며, 당연히 여러 복지와 배려를 받게 됩니다.
사람의 평균 IQ는 100인데, 겨우(?) 30 낮은 것만으로도 장애인으로 간주할 정도면, 반대로 100보다 30 높은 IQ 130 이상인 사람들도 평범한 지능을 가진 사람과는 다른 어려움을 겪을 수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드네요.



0


절름발이이리
1분위 소득자들의 삶이 곤궁하다는 것이 10분위 소득자들도 곤궁함이 있을 것의 근거가 되지는 않지요. 물론 누구나 나름의 고충이 있습니다만.
그래서 저분의 말씀에 따르면, IQ가 125~135까지는 다다익선이라고 하시더군요. 여기까지는 높을수록 좋고 낮을수록 불리하다고 합니다... (IQ가 일반 사람보다 16~29 낮은 사람은 사회생활도 극히 어렵지만, IQ가 일반 사람보다 16~29 높은 사람은 사회 활동에 어려움을 겪기는커녕 남들보다 훨씬 안락한 삶을 누린다네요)
어... 저는 IQ가 높지 않은데도 또래와 어울리지 못했는데... (눙물)
강세린
ㅠㅠㅠㅠ
엄마곰도 귀엽다
남편의 말에 따르면 학교에 앉아있는것이 고통이었다고...

다 아는 얘기를 계속 반복하니까요
아무 의미 없이 매일 그냥 책상 앞에 가만 앉아있는거죠
다른 책이라도 읽으면 집중하지 않는다고 혼나고요..$
3
강세린
실례지만 남편분의 IQ를 여쭤봐도 될까요?
엄마곰도 귀엽다
멘사 테스트 158이었다고 합니다
강세린
엄청나네요..... (만약 멘사 테스트의 결과를 표준편차 24로 가정한다 해도, 웩슬러 기준 상위 0.5~1%일 텐데..)
그 정도면 명문대 수학과(또는 물리학과) 교수도 괜찮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군요
헬리제의우울
나도 국민학교때는 그랬었는데 ㅎㅎ
아저씨무시하지마
성적 뛰어난 학생이 다른책을 본다고 혼내는 용자 선생님이 있군요....
하긴 저희 시대는 그럴법했다 싶기도 하고....그냥 자기를 무시한다 싶었겠네요.
엄마곰도 귀엽다
증고등학교 가서는 조금? 나아졌는데
초등학교는 정말 고통스러웠다고 하더라고요
요즘은 영재원도 있고 그런데 그땐 그런것도 잘 없었으니...
Paraaaade
IQ의 정의가 N(100, 15^2) 혹은 N (100, 24^2) 인 정규분포니까 30 (후자면 50) 차이면 2시그마입니다.
3
아이큐 높아도 사회성 좋은 이들도 있고 학교 진로에 크게 두드러지지 않은 경우도 있어서 딱히 공감가지 않습니다. 학군에서 아이큐가 높아서 영재수업 들은 아이들을 보아왔는데 그 아이들 중에 사회성 좋은 아이들이 꽤 많았어요.
물론 사회성에 어려움 있는 고지능 아이친구도 있기는했는데요. 사회성 및 아카데믹 성취도에는 여러 환경 유전적 등등 미치는 이유가 많아서 특정 하나로 연관 시키는건 경계해야할듯해요.
1
엄마곰도 귀엽다
아 이것도 맞는 말인거 같아요
저희 남편은 눈치가 엄청나서 저보다 사회성이 높거든요

근데 생각해보면 눈치가 너무 좋아서 오히려 사람을 만나면 피곤한거 같았어요.

그러니까 정리하자면 어느정도 어리가 좋으면 인간관계에 큰 어려움이 없는데
그걸 상회하면 스트레스가 더 큰... 그런 의미로다가 ㅎㅎ

머리가 엄청 좋다고 사회성이 막 꽝인건 아닙니다
아저씨무시하지마
네 저희형이 아이큐 150이었는데(정확한 검사는 아니었을 수도 있지만요)
학업적으로는 중학교 2학년 정도까지는 공부 하나도 안하고 수업만 듣고도 상위권을 유지했고
그러다보니 공부하는 습관이 안들어서 고등학교때는 성적이 떨어지더라구요.
그런데 공부 거의 안하고도 지거국 그냥 들어간거보면 머리 좋은건 확실했던 듯...
그런데 사회성은 오히려 저보다 높아서 아직까지도 자주 만나고 교류하는 초중고시절 친구가 있고 그러네요 ㅎㅎ
다니던 고등학교 특성상 sd24 (멘사 테스트 기준) 기준으로 130-140 대는 발에 채이게 많았고(학교 평균이 130대...) 150 이상도 두자리수였는데

- IQ와 학업성적이 정비례 하지 않더라고요. 최고 찍은 친구가 164 였는데 재수해서 지방대 낮은과 턱걸이로 감. 이친구는 머리는 진짜 좋다는게 느껴지는데 (소위 말해서 시험 며칠전 수학 교과서 좀 훑어보고 만점 맞는 수준) 문제는 그 머리로 리니지에 빠져버리니 절대적 공부시간이 필요한 과목들은 커버가 안되더라고요. 수학도 노력을 안하니 수능 이상 수준도 안감. 반대로... 더 보기
다니던 고등학교 특성상 sd24 (멘사 테스트 기준) 기준으로 130-140 대는 발에 채이게 많았고(학교 평균이 130대...) 150 이상도 두자리수였는데

- IQ와 학업성적이 정비례 하지 않더라고요. 최고 찍은 친구가 164 였는데 재수해서 지방대 낮은과 턱걸이로 감. 이친구는 머리는 진짜 좋다는게 느껴지는데 (소위 말해서 시험 며칠전 수학 교과서 좀 훑어보고 만점 맞는 수준) 문제는 그 머리로 리니지에 빠져버리니 절대적 공부시간이 필요한 과목들은 커버가 안되더라고요. 수학도 노력을 안하니 수능 이상 수준도 안감. 반대로 IQ 110으로 서울대 법대가서 변호사 된 친구도 있고요.

- 공통점은 이해력이 미친듯이 빠르다는거. 다른 사람들은 설명을 들어야 이해하는데 위에서 말한 친구들은 걍 뭔가를 보면 거의 그자리서 이해하더라고요. 아니면 짧은 설명을 들으면 바로 이해하거나

- 다들 어릴 때는 정서적으로 힘들어하긴 했는데(위에서 말씀하신 대로 주변 또래들한테 이해받지 못해서...) 그 애들만 모아놓은 사회 안에서는 오히려 안정되는거 같더라고요. 공통적으로 말하는건 초등-중등학교 수업이 너무 재미없고 지루했다. 영재교육원 수업이 재밌었다. 이런 정도?

- IQ도 높은데 동기부여도 잘 되고 노력도 많이 하는 친구가 몇 있었는데 현재 대부분 고시 패스해서 높은 자리에 있거나 의사로서 높은 자리에 가 있거나 합니다.
강세린
놀랍군요...
실례지만 다니신 고등학교가 어딘지 여쭤봐도 될까요?
오래 전에 평준화 지역이 되어서 지금은 저렇진 않습니다 ㅎㅎ
이름을 직접 적긴 좀 그래서....
수학의 정석 저자이신 홍성대님이 동문입니다.
1
강세린
아하...... 알겠습니다.
켈로그김
아이큐는 게임지능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ㅋㅋㅋㅋ
다 잘하는건 아니고 장르별로 좀 갈리긴 하더군요.
켈로그김
주로 TCG, 퍼즐, 대전격투, 슈팅, 야겜정도를 잘 하는거 같읍니다(제가 그럼 ㅋㅋㅋㅋ)
의외로 또 RTS 잘하는 친구들도 있습니다 ㅋㅋ (학교 후배인 최연성이라던가....)
Four Roses
다른 팩터들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IQ 학업성적이 inverted U의 관계를 가진다고 이야기 하기는 쉽지않고, 큰 인사이트도 없는 것 같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질문 게시판 이용 규정 11 토비 15/06/19 25585 4
16948 여행기내용 메모리폼 목베개를 아예 의료용 경추부목으로 사는 건 어떨까요 5 2025 25/08/19 246 0
16946 가정/육아보일러실 청소를 위해 청소업체를 이용하고 싶은데 추천해주실 만한 곳이 있으실까요? 눈사람 25/08/18 163 0
16945 기타올해 입사한 신입인데 아직도 계속 혼나면서 적응을 못하는 것 같아요.. 29 + [익명] 25/08/17 990 0
16944 IT/컴퓨터챗 gpt 같은 ai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4 어둠달골짜기 25/08/16 469 0
16943 기타광주광역시 맥줏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4 호미밭의파스꾼 25/08/16 321 0
16942 여행부산 맛집 추천부탁드립니다 4 연구개발 25/08/15 323 0
16941 의료/건강뇌가 짱 쉬는 법 23 골든햄스 25/08/15 909 0
16940 여행제주 중문 근처 아기랑 가기 좋은 음식점 3 Xeri 25/08/15 296 0
16938 여행경남 남해 관광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15 OshiN 25/08/13 492 0
16937 IT/컴퓨터Office 2021에서 자동저장 켤 수 있나요? 6 루루얍 25/08/13 313 0
16936 의료/건강아이가 틱인지 아닌지 구분이 안갑니다. + 상담 좀 6 2025 25/08/12 617 0
16935 기타중고 냉장고 어디서 구매 하면 좋을까요!? 4 닉넴멀루하지 25/08/11 374 0
16934 IT/컴퓨터모니터 HDMI 케이블을 연결했을 때 노트북 상판에 전기가 흐르는 현상? 1 달씨 25/08/11 300 0
16933 댓글잠금 의료/건강마트롤환은 어떤 약인가요 1 [익명] 25/08/11 474 0
16932 체육/스포츠10월 9일까지 10.9km 뛰는 몸 만들기 어느 정도 난이도일까요 28 kaestro 25/08/10 662 0
16931 기타회사에 대한 개인의 의견제시. 할까요 말까요? 11 연구개발 25/08/10 668 1
16930 IT/컴퓨터폴드7용 차량 거치대 어떤 것이 좋을까요? 6 다군 25/08/10 314 0
16929 가정/육아자취를 시작하려는 아는 동생에게 선물 36 kaestro 25/08/09 801 0
16928 기타자소서 표절률이 1 물리물리 25/08/09 512 0
16927 체육/스포츠스마트워치 추천해 주실 수 있을까요? 12 두부곰 25/08/08 542 0
16926 기타세탁기 구매 질문입니다 2 맥주만땅 25/08/07 313 0
16925 기타공주 9/27 1박 숙소 질문드립니다. 8 Omnic 25/08/07 325 0
16924 IT/컴퓨터랩탑 파우치 추천 3 pils 25/08/07 304 0
16923 의료/건강서울 수면클리닉 관련 질문 2 거소 25/08/07 293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