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3/03/17 09:42:24
Name   아재
Subject   비슷한 업종인데 매출이 더 높은 비즈니스를 더 쳐주는 이유가 뭘까요?
같은 비즈니스라도 수수료먹고 영업이익만 챙기는 비즈니스보다 크게 매출까지 왕창 챙기는 비즈니스가 낫다는 건 결과로는 알고 있지만,
이유를 잘 모르겠네요.

예를 들면
일반적인 네이버스토어나 G마켓같은 오픈마켓들은 쇼핑몰 입점을 통한 수수료만 받고
쿠팡은 자체 물류를 통해 발생되는 모든 매출을 다 먹는 구조를 가지죠.

두 경우의 영업이익이 동일하다. (혹은 후자가 영업손실 상태고 매출만 왕창 가져가는 형태면)면
매출이 높은 후자의 경우를 높게 쳐주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그냥 생각해보기로는

1. 많은 프로세스에 손을 대는 만큼 규모의 경제를 이룩하면 많은 부분에서 비용 절감을 이룩할 수 있다.
2. 큰 매출을 일으킨 만큼 플랫포머로서의 입지를 다질 수 있다

라는 정도를 생각해 볼 수 있을거 같은데,
Only 재무적인 입장에서 납득이 덜 가긴 해서요.
그럼 그냥 매출만 많고 미래 성장세를 바라보기 힘들면, 매출 높은걸 괜찮게 쳐주길 힘들려나 싶기도 하구요.

회사 내에서 비슷한 상황이 있는데 말하기가 어려워,
예시로 질문을 드려봅니다.

답변 미리 감사합니다!



0


스톤위키
말씀하신 대로 회사 내부의 재무적인 측면만 바라보면 그렇죠.

하지만 외부적인 측면에서 보면, 매출이 큰데 이익률이 낮다는 건 그만큼 중간단계 비즈니스가 많이 엮여있다는 것이고

그 쪽으로도 돈이 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그러면 그 쪽에도 고용을 비롯한 여러가지 경제효과가 있다고 여겨지기에

사회적으로 좀 더 쳐주는게 맞습니다.

일단 규모가 크기 때문에 덜 망하기도 하고, 망해도 중간에 건져서 살려놓을 게 많고,
오너가 마음 변해서 사업 접고 튀기도 어렵고, 망한척 하고 튀기도 어렵기 때문에

신용도 높아... 더 보기
말씀하신 대로 회사 내부의 재무적인 측면만 바라보면 그렇죠.

하지만 외부적인 측면에서 보면, 매출이 큰데 이익률이 낮다는 건 그만큼 중간단계 비즈니스가 많이 엮여있다는 것이고

그 쪽으로도 돈이 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그러면 그 쪽에도 고용을 비롯한 여러가지 경제효과가 있다고 여겨지기에

사회적으로 좀 더 쳐주는게 맞습니다.

일단 규모가 크기 때문에 덜 망하기도 하고, 망해도 중간에 건져서 살려놓을 게 많고,
오너가 마음 변해서 사업 접고 튀기도 어렵고, 망한척 하고 튀기도 어렵기 때문에

신용도 높아서 대출도 잘 되는 편입니다.
플라이휠 전략, 영업 레버리지 효과, 네트워크 효과, 네트워트 효과 오류 등을 키워드로 찾아 보시면 어떨까요?
절름발이이리수정됨
GMV와 영업이익이 비슷하다면, 매출인식만 크게 한다고 특별히 후자를 더 높게 쳐주지 않습니다.
오픈마켓(중개만 하는)형과 사입형 모델 역시도 특별히 후자가 우월하다고 보기 힘들고, 일장일단이 있는 겁니다. 굳이 개인적인 의견을 내자면 사업 모델로써는 전자가 훨씬 난이도가 낮고 수익성이 좋은 편입니다.
이러사우호
그 돈가지고 뭘 할수도 있으니까 아닐까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715 경제투룸 빌라 월세줬는데 질문입니다 8 아서 모건 23/04/19 2990 0
14707 경제아버지가 전세사기를 당하셨어요. 3 [익명] 23/04/16 3071 0
14650 경제투자에 대해 공부하려고 합니다. 13 참된깨달음 23/03/31 2867 0
14620 경제MS는 있고 구글은 없는 국내 ETF 있을까요? 2 아침커피 23/03/26 2957 0
14619 경제단기1~3개월 4억정도 예치할 은행 추천부탁드립니다. 6 jobdescription 23/03/26 3092 0
14594 경제비슷한 업종인데 매출이 더 높은 비즈니스를 더 쳐주는 이유가 뭘까요? 4 아재 23/03/17 3099 0
14593 경제대형 광고에 대한 효과를 어떻게 계산하나요? 8 ㅢㅘㅞ 23/03/17 2423 1
14590 경제신축 아파트 매매 질문입니다 7 노량진8년차공시생 23/03/16 2983 0
14574 경제집 임대 줘 보신 분들께 질문입니다 8 아서 모건 23/03/11 2994 0
14495 경제좀 식상한 질문같지만 신용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15 스라블 23/02/17 3114 0
14483 경제이 지폐는 장당 천원 이상의 가치가 있을까요? 5 mathematicgirl 23/02/13 5003 0
14441 경제영끌의 기준이 어느정도일까요? 25 다마네기 23/02/03 3735 0
14440 경제 삼성증권 유령주식 사태 이후 후속 보완 제도가 생긴 것이 있나요? moneyghost 23/02/03 2703 0
14438 댓글잠금 경제알뜰히 돈 아끼는 생활 습관, 방법 여쭤봅니다. 11 studentforever 23/02/03 3964 0
14433 경제집안 현금 30억 재산이면 좋은점이 뭘까요? 107 studentforever 23/02/02 6700 0
14408 경제1억 이상 근로소득자 분들 세태크 어떻게 하시나요? 15 [익명] 23/01/26 3556 0
14378 경제부동산 구매관련 질문입니다. (자금조달계획 및 소명) 16 [익명] 23/01/15 2821 0
14376 경제퇴직금 받았습니다 질문있습니다!! 6 쿠바왕 23/01/14 3546 0
14361 경제IRP 새액공제 귀속년도 2 치킨마요 23/01/11 2430 0
14340 경제퇴직 연금 문의드립니다 5 쿠바왕 23/01/07 2794 0
14332 경제신용카드를 하나 뚫어야 할까요? 9 레디미르 23/01/05 3251 0
14276 경제특정주식의 반대매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1 [익명] 22/12/21 2618 0
14265 경제금융소득종합과세를 피하는게 좋을까요? 5 [익명] 22/12/19 2852 0
14235 경제카드 질문입니다. 5 whenyouinRome... 22/12/08 2840 0
14209 경제전세 만기 전에 집주인이 집을 팔려고 합니다 7 [익명] 22/12/03 3851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