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6/08/03 20:08:54
Name   헤칼트
Subject   정치/사회에 대한 무관심 정도에 성별 격차가 있을까요?
전적으로 제 경험에 의존한 거지만, 여학생들이 남학생에 비해 유독 정치나 사회에 무관심한 것 같아요. 지난 총선 때도 다음날에 남학생들 대화는 주로 (잘 알든 잘 모르든)총선과 분석글들 퍼다나르기  반면에 여학생들 대화는 총선의 결과보다는 "아빠랑 팝콘 먹으면서 봐써!!" 정도였구요. 제가 아는 대학생 누나들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던 것 같고..
옳다 그르다를 떠나서 성별에 따라 경향성이 분명하니 궁금해서요.
제가 경험한 게 사실과 크게 다른 걸까요 아니면 얼추 비슷한 걸까요?
실제 이런 경향이 있다면 이유는 뭘까요?



0


Ben사랑
정치 뉴스도 다양한 이슈가 있기 때문에.. 꼭 찝어서 말하는 건 무리겠죠.
Ben사랑
확실한 건, 네이버의 정치 뉴스에 뻘플 다는 사람들은 남자가 압도적입니다. 하지만 다음 같은 쪽은 모르겠네요.
헤칼트
그건 확실한 것 같네요 ㅋㅋ
님니리님님
말씀하신 부분은 정치를 소비하는 패턴이 다른거 같을 뿐 인거 같은데요?
헤칼트
음.. 그런 걸까요?
Beer Inside
젊은 여성들은 그런 경향이 강한데, 나이든 여성들은 정치에 관심이 많습니다.

정치관련 소조직들이 나이든 여성들 위주인 경우가 꽤 있습니다.
님니리님님
제 생각엔 젊은 여성들이 사회와 부대끼는게 늦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남자는 군대라는 조직생활을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겪기 때문에 좋든 싫든 정치성향을 더 빨리 띄게 되는거죠. 내안의 맥주님 말씀처럼 결국 사회로 나와서 이리저리 치이다보면 남녀구분없이 정치성향을 가지게 된다고 봅니다.
Beer Inside
뭐 그런 것도 있고.....

정치가 삶을 바꾼다는 것을 알게 되기 때문이지요.
헤칼트
모르는 사실을 알게 됐네요. 감사합니단
실증분석이 일어나봐야 알겠지만 인상적으로는 여성쪽이 더 양극화적이에요. 아주 잘알고 공부많이하는 친구들이 있고 무관심한 친구들은 아예 무관심하고.
반면 남자는 어설프게 아는체 하고싶은사람만 너무많아요
헤칼트
이게 정답이군요(...)
카라숏
딱 이렇긴 하네요.
Event Horizon
제 주위는 오히려 여성들이 정치에 관심이 훨씬 더 많습니다... 전형적 케바케라고 생각해요
리틀미
어떤 여잔지는 모르겠지만 같이 수어사이드 스쿼드 보지 마세요
헤칼트
ㅋㅋㅋㅋㅋㅋㅋㅋㅋ의외로 괜찮을지도 모르는 거 아입니까?
리틀미
아니에요... 아, 아니야... 아니라고!!!
님니리님님
추천회로 가동 : 아니라고!!! - 아니= 라고,
라고라고라고라고라고마고?마고?마고! 마고=마고 로비=할리퀸=수어사이드 스쿼드=a

b=강한 부정=강한 긍정

결론=a+b=수어사이드 스쿼드 추천합니다.
정치얘기를 잘들어주는 여자는 둘중하나입니다.
나를 좋아하거나 정치에 관심 많거나...
님니리님님
정치에 관심이 많은거네요.
헤칼트
들어주다가도 결혼하면 안 들어주고 그러나요?
님니리님님
들어주실 여자분의 상태가...?
아니요
결혼전에 여자한테 정치얘기라니 당치도 않습니다. 여자들이 좋아하는 군대얘기랑 축구얘기 해줘야죠.
헤칼트
ㅋㅋㅋㅋㅋ
대학 가서 소개팅하면 잘 써먹겠습니...
...
군입대전에 소개팅은 없으신걸로..
헤칼트
내가 아는 형한테 들었는데~~~
Beer Inside
결혼하면 대화를 할
소노다 우미
수 없고 듣기만 해야합니다
케바케죠. 관심사의 차이..
DoubleYellowDot
20대 총선을 예로 보면, 20대, 30대 투표율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습니다...군대가 멱살잡고 끌어올려서 20대 초반은 남성이 높지만 25-39세 구간은 그렇습니다. 정치에 대한 관심이 성별에 따라 유의미하게 차이난다고 믿는 건 스테레오 타입일 가능성이 더 높아 보입니다
그러고보니 올해 총선 투표율이... 서구 민주국가들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여성 투표율 상회현상의 발아처럼 보여요. 다음 선거가 기대돼요.
전반적으로 여성이 정치에 무관심하다,는 것은 깨뜨리기 어려운 선입견이긴 하지요. 일상생활에서 그것을 입증하는 듯한 사례들에 너무 자주 부딪치기 때문인데요.
올해 총선 시기에 메갈리아에 들어가서 선거 내지 정치 관련 검색을 좀 해봤었는데, 아무리 해도 관련 게시물을 찾지 못해서 약간 놀랐던 적이 있어요. 아니 이거뜰은 진짜로 정치에 관심이 없네? 물론 그때 메갈리아가 빈집이 되어서 그랬을 수도 있고 검색기능 자체가 불안해서 그럴 수도 있고요. 일부러 그런 글을 배제하는 분위기라서 그럴 수도 있고... 다른 여초 사이트들에서도 대개 ... 더 보기
전반적으로 여성이 정치에 무관심하다,는 것은 깨뜨리기 어려운 선입견이긴 하지요. 일상생활에서 그것을 입증하는 듯한 사례들에 너무 자주 부딪치기 때문인데요.
올해 총선 시기에 메갈리아에 들어가서 선거 내지 정치 관련 검색을 좀 해봤었는데, 아무리 해도 관련 게시물을 찾지 못해서 약간 놀랐던 적이 있어요. 아니 이거뜰은 진짜로 정치에 관심이 없네? 물론 그때 메갈리아가 빈집이 되어서 그랬을 수도 있고 검색기능 자체가 불안해서 그럴 수도 있고요. 일부러 그런 글을 배제하는 분위기라서 그럴 수도 있고... 다른 여초 사이트들에서도 대개 정치 이슈는 소수 남성 유저들이 리드하는 경향이 있지요. 아직까지는요.
보통 사람들은 제도권 정치 또는 선거(공학)을 정치라고 부르는데요. 역사적으로 남성의 영역이라고 간주되어온 그 영역에서 자기 가치를 폄하당하지 않기 위해 남성들은 좀더 열심히 관심을 갖는 편이고. 여성들에게는 그럴 만한 특별한 모티베이션이 없는 거지요. 앞으로는 달라질 거예요. 문화지체가 좀 오래 가겠지만...
Ben사랑
인터넷 사이트의 여론은 참고 사항으로 삼기는 좀 그렇습니다.

모티베이션이 없다기보단, 정치적인 발언을 할때 신중을 더 기하는 것일 수 있죠.
소노다 우미
관심/무관심이라기보다는 정치라는 화제를 얼마나 말하기 쉽냐의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여자는 일반적으로 정치와 같은 문제에 대해서는 말을 잘 안하는 성향이 큽니다. 누군가의 말에 따르면 무언가 말을 하면 그대로 약점이 되기 때문에 약점이 될만한 것들을 말하지 않는 여자집단의 생태계때문이라고도 하는데 제가 여자가 아니다보니 볼수도 증명할수도 없습니다.
굳이 따지자면 깊이있게 파들어가는 측면에서는 아무래도 평소에 사람들끼리 말을 많이 하는 남자들이 좀더 앞선다고는 생각하지만, (키배는 성장의 밑거름이죠) 관심 자체는 성별에 무의미하지 않나 생각하거든요. 사실 결과론인 투표율을 보면 별 차이가 없으니까요.
구밀복검
위에서도 언급된 것인데, 실제로 청년층의 투표율로 보면 큰 차이는 없습니다. 도리어 여성들이 더 높을 때도 있고...

다만 실질적으로 정치를 향유하는 양태의 차이는 있는데, 남성은 정치를 레포츠로 소비합니다. 그래서 실제로 정치에 큰 우선순위를 두지 않는 사람도 이렇다저렇다 이야기하기 좋아하죠. 남성들이 정치인과 정당을 응원하는 것은 스포츠 클럽과 스포츠 스타를 응원하는 것과 별로 차이가 없습니다. 마치 레알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 브록 레스너와 언더테이커의 대립을 즐기는 것처럼. 가령 김무성의 옥새런은 즐라탄의 매복의 독과 ... 더 보기
위에서도 언급된 것인데, 실제로 청년층의 투표율로 보면 큰 차이는 없습니다. 도리어 여성들이 더 높을 때도 있고...

다만 실질적으로 정치를 향유하는 양태의 차이는 있는데, 남성은 정치를 레포츠로 소비합니다. 그래서 실제로 정치에 큰 우선순위를 두지 않는 사람도 이렇다저렇다 이야기하기 좋아하죠. 남성들이 정치인과 정당을 응원하는 것은 스포츠 클럽과 스포츠 스타를 응원하는 것과 별로 차이가 없습니다. 마치 레알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 브록 레스너와 언더테이커의 대립을 즐기는 것처럼. 가령 김무성의 옥새런은 즐라탄의 매복의 독과 똑같이 받아들여지죠. 반면 여성들 사이에서는 대개 이런 레포츠적 접근은 의미를 가지지 못합니다. 그래서 즉흥적인 '쾌'에 우선순위를 두는 여성들 - 남성들은 이런 유형들을 생각없는 애라고 취급하며 지적 우위를 확인하기 좋아하지요 - 사이에서는 정치 이야기가 나올 건덕지가 없지요. 그보다는
1) 특정 정치인에 대한 아이돌적 신봉 : 이렇게 보면 엑소와 문재인의 차이는 없는 것이죠.
2) 정치윤리적 단호함을 통한 자기만족 : 특히 지식인 여성의 경우가 그렇죠. PC가 지식인 여성층에게 가장 열렬히 소비되는 아이템인 것은 이와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3) 정치담론을 함께 나누는 그룹이 주는 유사 종교 커뮤니티적 고양감 : 개신교회의 최열성계층이 여전도회 주부 신도들인 것과 맥이 닿지요.
이 셋 정도가 여성들이 정치에 관심을 가지는 주된 동기죠.

결론적으로, 남성들에게 있어 정치가 진지한 소재일 수도 있지만 그 이상으로 심심풀이 오락거리가 될 수 있다면, 여성들에게는 어떤 식으로든 간에 꽤나 하드한 덕질거리입니다. 그러다보니 정치무관심층의 반응이 다른 거고요. 이것이 위에 거론된 '여성들의 정치적 관심도가 양극화되는 경향'과 맥이 닿아있다고 생각합니다.
님니리님님
저도 동의합니다. 정치라는게 소 한마리로 봤을때 의회정치는 안심이고, 정치철학은 등심, 정당론은 갈비, 국제정치는 부채살 등등 굉장히 다양하게 나뉩니다. 그런데 우리가 언론을 통해서 아주 일부만, 모듬구이 형식으로 딱 알맞게, 아주 단순하게 소비하기만 합니다. 그게 나쁜건 아니지만, '꽃등심 안먹어봤으면 고기먹었다는 소리 하면 안돼' 혹은 '소꼬리 안먹는데 쟤는 소고기 싫어하나?'라는 식의 태도가 나오기 쉽습니다. 그런건 지양해야 된다고 봅니다.
헤칼트
아 그런 것 같네요. 좋은 설명 감사합니당
눈부심
구밀복검님 댓글보니까 여성들의 정치향유양태가 왜 종교적, 아이돌적 신봉의 양상을 띠는지 알 것 같아요. 보통 정치담론에 참여하는 건 투쟁에 임하는 것과 같이 리스크가 큰데 남성들은 여성보다 더 리스크를 개의치 않는 성향이 있잖아요. 그래서 종교적 광신분위기가 횡행할 때 이의를 제기할 확률이 여성보다 남성이 높기 때문에 그런가봐요. 그러니까 남성이 비이성성에 대한 노출을 과감하게 저질러서 그런 건 아닌 것 같아요. 그런데 약간 보이는 이런 성별차이가 전체적으로 한 나라의 정치방향을 결정짓는 건 아닌 것 같거든요. 지엽적으로 봤을 때랑 거시적으로 봤을 때 차이가 나는 건 인간이 지엽적인 현상을 보고 쉽게 일반화하기 때문일까요. 남자나 여자나 똑같다고 너무 PC스럽게 이야기하다 보면 괜히 한쪽이 보호받는(?) 것 같고 기분이 희한한데 말씀 참 시원하게 잘 하시는 것 같아요 ㅎㅎ.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58 IT/컴퓨터크롬에서 유튜브 버튼이 작동하지 않습니다 5 Vinnydaddy 16/08/01 5311 0
1359 문화/예술 수어사이드스쿼드 깜짝 놀라는 장면 있나요? 8 Toby 16/08/01 4649 0
1360 체육/스포츠헬스 3주차입니다! 질문있습니다! 3 쉬군 16/08/01 4053 0
1361 기타하이패스 단말기 구입 질문입니다. 6 Toby 16/08/01 2886 0
1362 IT/컴퓨터책을 이북 형태로 스마트폰에 집어넣을수 있을까요?? 13 jklljh 16/08/01 4966 0
1363 의료/건강그래 44 jklljh 16/08/02 6153 15
1364 의료/건강의자위에 올려서 앉는 체형교정 보조의자... 효과 있나요? 4 누가말했나 16/08/02 6284 0
1365 의료/건강단기간에 물을 많이 마시는 것에 대해서 20 Ben사랑 16/08/02 5942 0
1366 의료/건강땀을 줄일 수 있나요? 4 장난감 16/08/02 4870 0
1367 의료/건강사무실에서 갑자기 더위를 먹을 수 있나요? 4 얼그레이 16/08/02 4194 0
1368 의료/건강비위를 기를 수도 있나요? 6 선비 16/08/02 3637 0
1369 기타취미나 교양으로 수학 공부 하시는 분 계신가요? 28 하얀늑대 16/08/02 27933 1
1370 기타타임라인 게시판 많이 보시나요? 11 범준 16/08/02 3091 0
1371 기타상암 CGV 질문입니다 2 김치찌개 16/08/03 2604 0
1372 과학상대성이론보다 양자역학이 더 본질에 가깝나요? 37 Ben사랑 16/08/03 6213 0
1373 기타정치/사회에 대한 무관심 정도에 성별 격차가 있을까요? 39 헤칼트 16/08/03 3723 0
1374 문화/예술가요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고 싶은데요 4 nickyo 16/08/03 3172 0
1375 가정/육아'82COOK'이란 사이트를 아시나요? 4 OshiN 16/08/03 6864 0
1376 의료/건강비뇨기과 질문입니다. 3 쿠바왕 16/08/04 3471 0
1377 IT/컴퓨터램 4gb와 8gb 차이가 큰가요? 10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8/04 52870 0
1378 의료/건강알러지철마다 유스타키오관이 막혀서 귀가 먹먹해지는데요 3 elanor 16/08/04 4257 0
1379 진로통계학 이중전공 관련 고민입니다. 5 hunnyes 16/08/04 4396 0
1381 의료/건강간 수치 중 ALT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7 loliloli-love 16/08/05 17930 0
1382 게임[스1] 김태형 해설이 울었던 게 언제였나요? 2 매일이수수께끼상자 16/08/05 3581 0
1383 문화/예술중국, 중국인, 중국에서의 처세에 관한 책? 3 Ben사랑 16/08/06 3741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